![]() |
지난 11월 22일 허태정 대전시장과 이춘희 세종시장, 이시종 충북도지사, 양승조 충남도지사가 세종시에서 개최된 충청권행정협의회에 참석해 지역 공조를 강조했다. 중도일보DB |
12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테크노파크는 이날 '대전·세종·충청권 상생협력을 위한 대세밸리 조성 전략수립정책 연구용역'을 대전세종연구원과 계약을 체결했다.
대세밸리는 허태정 대전시장의 공약 사업으로 대전~세종의 접경지에 충청권 상생협력 산업단지를 조성해 중부권 광역경제 협력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내용이다. 충청권 핵심 도시들의 지역적 특성 연결과 자산의 자유로운 이동 촉진할 경제 거점을 조성하는 것.
대전의 유성구 안산산단, 대동·금탄, 신동·둔곡를 포함해 세종의 금남면 일원이 사업 대상지다.
대전은 대덕특구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 역할을 세종을 비롯해 넓게는 충북과 충남까지 기능지구 역할을 하게 된다. 대전의 연구단지와 중이온가속기 등 과학 벨트 시설이 세종 정부부처와 국책연구기관을 만나 밸리를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주변 공간에는 산업단지를 만들거나 첨단과학지식산업 집적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세종시와 상생산업단지 조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돼 있다는 입장이다. 이춘희 세종시장도 스마트시티 산업을 주축으로 대전과 충북, 충남을 잇는 '충청권 4차산업 밸리 구축'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다. 세부 내용이 다를 뿐 큰 틀에서는 대세밸리와 유사하다. 더욱이 세종시는 인근에 KTX 세종역을 추진하고 있어 대세밸리가 조성될 경우 추진 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관건은 대전시와 세종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간 양보와 합의가 필요하다. 2015년에도 지금과 유사한 충청권 상생협력단지 조성이 추진됐었다. 당시 4개 시·도의 부족한 부족한 산업용지 공급과 지역 간 기업 유치 갈등을 극복하자는 차원에서 추진됐다. 특수성을 감안한 맞춤형 산업 육성에 중점을 둘 경우, 대전-세종-충남·북을 잇는 '실리콘 밸리'의 기능을 갖출 수 있다는 기대감도 높았다. 하지만, 논의만 됐을 뿐 구체적으로 실행까지 이어지지 않았다. 원론적으로는 공감했지만, 충남은 계룡·논산 국방클러스터 조성에, 세종은 천안과 인접한 북부권 개발이 우선돼야 한다는 자기 입장을 우선으로 내세웠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과 세종, 충남과 충북의 장점들을 활용한 하나의 산업 벨트를 형성한다면 각 지역 발전에 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면서 "대세밸리는 이제 막 걸음마 단계로 세종을 비롯해 충청권이 잘 협의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