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전광역자활센터(센터장 이현수)와 (사)대전지역자활센터협회(회장 고철영), 대전세종연구원(원장 박재묵)은 18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자활사업 수행기관과 관계자들이 함께 한 가운데 대전의 자활사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날 주제발제자로 나선 대전대 사회복지학과 양혜진 교수는 전국 자활사업 지원현황 비교를 중심으로 '대전지역 자활사업 발전방안'을 제안했다. 양 교수는 전국의 자활기금 활용 현황, 자활지원 조례, 시도 사업지원 현황, 공공자원 연계사업 현황, 종사자 처우 등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대전지역의 과제와 발전 방안을 제시해 참석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토론에는 류만희 상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상익 중앙자활센터 자립기반팀 차장, 박진수 서울광역자활센터 사무국장, 우하영 대전지역자활센터협회 부회장이 참여했고, 송혜자 대덕대 사회복지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토론자인 류만희 상지대 교수는 자활기금의 조성 목적과 용도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제시하며 “현재 자활기금 활용을 가로막는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고 기금을 목적에 맞게 탄력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상익 중앙자활센터 차장은 공기업 등 공공자원 연계사업을 중심으로 자활사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며 “현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진수 서울광역자활센터 사무국장은 서울시의 자활지원조례, 지역투자형 자활근로사업, 판로지원 등 우수사례를 언급하며, “민과 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해야만 현장에서 필요한 제도와 정책들이 개발되고 작동될 수 있다”고 했다.
우하영 대전지역자활센터협회 부회장은 대전의 자활사업에 대한 객관적이고 냉철한 분석과 더불어 “대전시와 5개 구, 자활센터, 자활협회가 더욱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력하는 체계가 필요하며, 공공부문과 연계해 대전형 자활사업의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철영 대전지역자활센터협회 회장은 "앞으로 대전의 자활사업 발전을 위해 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며 “. 민과 관, 자활센터 참여자와 종사자, 유관기관들과 잘 협력해 오늘 토론회에서 논의된 과제들을 풀어가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