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수험생들은 수능 성적이 발표되기 전까지 원점수와 예상등급 기준으로 가채점 결과를 분석해 자신의 성적에 대한 객관적 위치 파악을 해야 한다. 수능 성적은 12월 4일 발표된다.
입시 전문가들은 "수능 이후 논술, 면접 등 수시 대학별 고사에 응시할 것인지, 정시 지원 대학 지원 대학선은 어느 정도인지 판단해야 한다"며 "정시에 지원한다면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확인하고, 영역별 원점수와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어느 대학에 지원 가능한지 따져보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수능 가채점 결과에 따라 예상 점수가 낮아 정시에서 원하는 대학 지원이 어렵다면 수능 이후 수시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최근들어 논술, 면접 등 대학별 고사는 고교 교육과정에 맞춰 대체로 평이하게 출제되는 경향이다. 지원 대학 및 계열별로 올해 실시한 모의 논술고사 문제와 전년도 기출 문제등을 참고해 대비해야 한다.
한기온 제일학원 이사장은 "논술고사가 다소 평이해지고 있지만 주어진 논제에 맞춰 답안을 작성하기는 여전히 쉬운 일이 아니다"며 "지망 대학의 출제유형에 맞춰 직접 글을 써 보는 연습을 많이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수능 성적이 기대보다 좋다면 수시전형에 응시하지 않아야 정시지원이 가능하다. 가채점 결과에 따른 지원 전략으로 정시 지원 대학선을 예행연습 하는 것이 좋다.
정시에서는 수능 성적이 가장 중요하다. 올해에도 대다수 대학들의 정시모집에서 수능 성적으로 선발한다. 일부 대학들은 학생부와 수능성적을 합산해 선발한다.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에서는 면접·구술고사를 시행한다. 따라서 수능을 포함한 전형요소별 반영방법을 꼼꼼히 확인해 지원전략을 세워야 한다. 절대평가인 영어는 정시 비중이 대폭 줄었다. 정시에서 영어를 반영하는 방법은 등급에 점수를 부여해 일정 비율을 반영하는 대학이 많고, 총점에 가산점을 부여하거나 감점하는 대학도 있다.
수능 성적 반영은 표준점수와 백분위 중 하나를 활용한다. 대체로 상위권 대학은 표준점수를, 중하위권 대학에서는 백분위를 적용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유리한 지표를 잘 선택해야 한다. 정시에서 가, 나, 다 모집군별 3번의 복수지원 기회가 있다. 서울소재 대학에 지원하려면 가군과 나군의 대학중에서 반드시 한 개 대학은 합격해야 한다.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는 "수험생 수준대별로 상위권 학생들은 모집인원의 특성상 가군, 나군에 지원하면 좋고 중위권 이하 수험생들은 모집군별로 가, 나, 다군에 걸쳐 소신, 적정, 안정지원을 적절하게 배합해 지원해야 될 것"이라며 "표준점수, 백분위와 반영 영역 수, 영역별 반영 비율 정도에 따라 자산의 점수와 가장 잘 부합되는 대학 및 모집단위로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최종 성적 발표 후 수시전형에 모두 불합격한 경우를 대비해 정시 지원 전략을 짜야 한다"며 "정시에서는 원점수가 아닌 표준점수 및 백분위가 반영되기 때문에 지원 전략에는 한계가 있지만 원점수 및 예상 등급 정도로 대략적인 지원 대학선을 정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