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자력연구원은 원인 분석을 위해 내부 정밀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원자력연 제공 |
대전시와 원안위는 "21일 원자력연으로부터 일부 시설에서 인공방사성핵종이 시설 주변 우수관으로 방출된 사건을 보고받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하 KINS) 사건조사팀을 파견해 조사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원자력연이 원안위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0일 원자력연 정문 앞 등 하천 토양에서 시료를 채취해 지난 6일 방사능 농도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평균값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4분기 방사선 환경조사 차원에서 진행됐다.
원자력연 정문 앞 배수구 지점의 '세슘137' 핵종의 방사능 농도는 25.5㏃/㎏으로 3년간 평균값인 0.432㏃/㎏보다 높게 나타났다. 원자력연은 원인 파악을 위해 자체 조사를 확대 시행한 결과 연구원 내부 하천 토양에서 세슘137 농도가 최고 138㏃/㎏으로 측정됐다.
연구원이 추적한 세슘137 증가 지점으로 미루어 봤을 때 자연증발시설 앞 맨홀 내에서 최대 3.4μ㏜/h의 방사선량률이 측정돼 자연증발시설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KINS 사건조사팀은 연구원 측에 맨홀 구역 방사선 준위 분석을 위해 시료 채취와 오염 토양 제거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해 해당 구역을 밀봉하도록 했다. 또 주변 하천토양의 위치별 방사성물질 농도를 측정하고 환경영향평가 등 모든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원안위 관계자는 "사건조사팀의 조사 결과를 검토해 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자력연 관계자는 "이번 방사성 핵종 이상 증가 현상은 연구원의 자체 방사선 환경 감시 과정에서 인지한 것으로 규제기관에 즉시 보고했다"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밀조사가 진행 중이다. 규제기관과 함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조사결과는 즉시 공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상문·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