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영세 안동시장.=중도일보DB |
안동시의 예산 규모는 1조 3250억 원으로 커졌다.
긴급추경은 코로나19로 생계 곤란을 겪는 저소득층과 자영업자들을 신속하게 지원하고 4대 관광거점 도시 조성과 미래 신산업, 생활 쓰레기 처리 등 긴급현안 해소를 위한 예산도 반영했다.
바이러스로 인한 직.간접적 위기를 신속한 재정투입을 통해 극복하고자 일반회계 증액분 544억원의 66.5%인 362억 원을 코로나 극복예산으로 편성했다.
재난 긴급생활비 등 직접 지원비와 소상공인 지원, 일자리 창출, 코로나 종식에 대비한 관광객 등 외지인을 끌어들이기 위한 예산을 주로 반영했다.
코로나19로 생계가 어려워진 가구를 위해 225억 원을 반영했다.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에는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예산 109억 원이 지원된다.
저소득층 한시 생활지원비 49억 5000만원과 아동양육 한시 지원 28억 5000만원, 격리자 생활지원비 20억 5000만원, 긴급복지지원 17억 8000만원 등도 편성했다. 긴급생활 지원비는 시의회에서 예산이 확정되는 즉시 집행 절차에 돌입하며 지역사랑 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소비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예산도 45억 5000만원에 이른다.
소상공인들의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특례보증 출연금 5억 원과 이차보전금 1억 5000만원을 반영했다.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14억 5000만원과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금 7억 5000만원, 안동사랑 상품권 할인액 보전과 환전수수료 등 8억 50000만원도 소상공인과 바닥 경제를 살리기 위한 예산이다.
경북형 사회적 경제 청년 일자리 사업 4억 2000만원과 공공근로사업비 7억원 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예산도 13억 4000만원을 반영했다.
코로나19 사태 종식과 함께 외지인을 끌어들여 지역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한 예산도 실었다.
권영세 안동시장은 "이번 추경은 코로나 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을 위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하며 긴급하게 편성한 예산"이라며 "재정을 통해 시민들의 고충을 모두 해소할 수는 없겠지만 예산이 확정되는 즉시 집행 절차에 돌입해 시민들의 고충을 최대한 빨리 덜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