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세상] 와이료(蛙餌料)의 교훈을 되새기며

  • 정치/행정
  • 충남/내포

[아침세상] 와이료(蛙餌料)의 교훈을 되새기며

유병국 충남도의회 의장

  • 승인 2018-10-21 09:41
  • 신문게재 2018-10-22 22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유병국 의원(천안10, 민주)
유병국 충남도의회 의장
중국 고사 우화(寓話)에서 꾀꼬리와 뜸부기가 서로 다투는데 이유는 각자 자기 목소리가 휠씬 아름답다는 것이다. 둘만으로 서는 승부를 판가름 할 수가 없어 이웃의 황새를 심판으로 내세우고 그 결과를 3일 뒤에 듣기로 했다. 자신이 만만한 꾀꼬리는 3일 동안 기다리고만 있었고 뜸부기는 황새가 가장 좋아하는 개구리를 잡아 꾀꼬리 모르게 매일같이 바쳤다.

3일 후 황새는 개구리를 뇌물(賂物)로 바친 뜸부기가 꾀꼬리 목소리보다 더 좋다는 판정을 내리고 말았다. 결국 뜸부기는 황새에게 먹으라고 개구리를 주면서 잘 봐달라고 와이료(蛙餌料)를 쓴 것이다. 일상생활 중에 지금도 흔히 회자되고 있는 일본어의 와이로(わいろ)라는 말로 남용되기도 한다. 조선 시대를 보더라도 정승부터 아전에 이르기까지 뇌물은 중형으로 다스렸다고 하나, 오늘날까지도 그 인습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지난 달, 청탁금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지 2년이 되었다. 한 언론사 보도에 따르면, 2년 동안의 평가를 내린 결과에 국민 10명 중 8~9명은 청탁금지법 시행에 찬성하고 있으며 이 법이 우리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아울러 법 시행 이후 각자내기(더치페이)에 대한 인식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했는데 각자내기 하는 것이 편해지고 아울러 상대방이 각자내기 하는 것도 한층 자연스러워졌다고 한다.

그리고 사회적 영향과 관련한 조사 결과에는, 법 시행이 우리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정상적인 사회생활 및 업무수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반 국민, 공무원, 언론인 등 모두가 법 시행으로 인맥을 통한 부탁·요청이나 직무관련자의 접대·선물이 감소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등 법 시행에 따른 부패예방 체감효과가 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청탁금지법의 가장 큰 성과는 반부패·청렴이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돼야 한다고 보는 이른바 청렴으로의 의식전환에 있다. 그리고 공직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도 혈연·지연·학연 등 인맥을 통한 부정청탁과 금품수수 등의 낡은 관행을 생활속에서부터 근절해야 할 것이다.

한편,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의원의 발표에 따르면, 청탁금지법의 주무부서인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국'에서 법 시행 이후 올해 6월까지 3만원이 넘는 식사를 11번이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 위반을 감시하는 주무부서에서도 그 기준을 못 지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아직은 근본적인 해결과 사고의 전환없이는 갈 길이 요원한 상황이다.

현행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등 관련 법령에는 공직자의 청렴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청렴이 국가경쟁력을 나타내는 새로운 지표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공직자의 청렴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최고로 중요한 가치이며 기본적인 덕목중 하나다. 아울러 청렴하지 않으면 국민에게 신뢰받을 수 없으며 청렴은 사회 전반의 윤리성을 측정하는 잣대 임에 틀림없다. 결과적으로, 청렴성과 도덕성이 높을수록 개인의 경쟁력 또한 높아진다는 사실을 모든 공직자들은 주지해야 할 것이다.

흔히들 돈에는 장사가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돈이면 모든 것이 다 되는 세상도 아닐뿐더러, 특히나 부정한 돈은 늘 감시 받게 돼있다. 이것이 세상의 이치이다. 요컨대 개인과 가정, 그리고 국가사회를 위해 청렴결백하게 살아야 하며, 더욱이 정당하게 피와 땀과 눈물어린 값진 돈을 벌면서 살아갈 때 하늘의 도움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와이료가 통하지 않는 사회, 즉 청백리(淸白吏) 정신을 선도하며 건전한 사회를 견인하는 선봉주자는 바로 공직자이다. 이런 의미에서 와이료의 교훈을 되새기며 청탁금지법이 앞으로도 공정하고 투명한 사회로 나아가는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3.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4.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5.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1.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2. 사회안전 지키는 우수 교정공무원 44명 포상…교정의날 80년
  3. 대전 유성 엑스포아파트 재건축 지구지정 입안제안 신청 '임박'
  4.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학교, 대전생활과학고
  5. [춘하추동]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출발점, 기후변화 상황지도

헤드라인 뉴스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한국시리즈(7전 4선승제) 원정 두 경기를 LG 트윈스에 패배한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9일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3차전을 7-3 승리로 장식하며 반격을 시작했다. 한화는 29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LG를 맞아 7-3으로 승리했다. 먼저 앞서나간 건 한화다. 2회 말 채은성과 하주석의 연이은 안타로 1사 1, 2루 기회에서 최재훈은 좌전 안타로 상대 좌익수 포구 실책을 유발하며 선취점을 뽑았다. 그러나, 1·2차전을 모두 승리한 LG의 반격은 날카로웠다...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인 29일 한미 정상이 만나 난항을 겪던 한미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대미 금융투자 3500억 달러(497조700억원) 중 2000억 달러(284조1000억원)는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투자 상한을 200억(28조4040억원)으로 제한하는데 합의했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29일 오후 경북 경주에 마련된 ‘2025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관세 협상 세부내용을 합의했다"며 협상 내용을 발표했다. 세부 내용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3500억..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10월 최저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 '붕어빵'을 찾는 발길이 분주하다. 예년에는 11월 말부터 12월 초쯤 붕어빵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올해는 때이른 추위에 일찌감치 골목 어귀에서 붕어빵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고 있다. 29일 대전 최저기온이 5도를 가리키는 등 날씨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인 붕어빵이 지역 상권마다 등장하고 있다.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먼저 장사를 시작한 김 모(41) 씨는 "보통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면 붕어빵 장사를 했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