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구의 브랜드로 '김호연재' 부활하나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대덕구의 브랜드로 '김호연재' 부활하나

대전을 대표하는 여성시인, 42년동안 200작품 남겨
박정현 대덕구청장 문학상 등 전국 사업 고려 중
문학계와 대덕문화원 "가치 발굴 의미 있는 사업"

  • 승인 2019-06-23 17:29
  • 신문게재 2019-06-24 6면
  • 김유진 기자김유진 기자
hisrelic_597_517
소대헌.호연재 고택. /대전시립박물관 홈페이지 갈무리
17세기를 대표하는 대전의 대표 시인 '김호연재'가 대덕구를 중심으로 부활할 조짐이다.

김호연재는 대전을 대표하는 여성 예술가지만 그동안 신사임당이나 허난설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품의 가치나 인물에 대한 재조명은 극히 드물었다.



이에 대덕구와 문학계는 김호연재의 가치를 발굴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면서 향후 김호연재 브랜드 가치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김호연재는 동춘당의 주인인 송준길 선생의 증조 며느리다. 송촌동에 위치한 동춘당에는 송준길의 생가는 물론 시인으로 활동했던 김호연재 선생의 생가와 시비도 조성돼 있다.



이 가옥은 현재 문화재청이 소유로 문화재청 산하 기관이 관리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평생교육원이 위탁 운영 중이었으나 곧 기간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이에 대덕구는 김호연재를 대덕구의 대표 브랜드로 입지를 굳히기 위해 위탁운영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박정현 대덕구청장은 "생가나 시비 관리를 구에서 운영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것 같다"며 "김호연재 선생이 남긴 작품이 굉장이 많다. 이를 활용해 여류문학 사업을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시대적으로 김호연재 선생이 드러나실 때가 됐다. 대표적으로 김호연재 문학상과 같은 전국적으로 알릴 수 있는 사업을 고려 중에 있다"고 강조했다.

문학계는 김호연재 재조명을 환영하고 있다.

김호연재라는 인물이 시인보다는 문중의 여인으로 치부되며 가치를 발견할 기회를 매번 놓쳐왔기 때문이다. 김호연재 선생은 42년의 생애 동안 200여 편이 넘는 작품을 남겼다. 작품에는 양성평등 의식과 문중의 여성이 가지고 있는 한 등을 풀어냈다.

박진용 대전문학관장은 "김호연재 선생이 남기신 작품의 가치에 비해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연구가들의 한결같은 주장"이라 설명했다.

이어 "연구, 발굴 사업은 환영할 만한 사업이다. 김호연재 선생을 시작으로 근현대 문학에서 대전과 연고가 있는 여성작가들을 발굴하고 재조명하는 대대적인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대덕구는 지난 2010부터 동춘당 문화재와 별개로 김호연재 선생을 기리는 여성문화축제를 가을께 열고 있다.

대덕문화원은 올해 9월에도 김호연재 여성문화축제를 개최하고 전국적인 여성 축제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종철 대덕문화원장은 "조선 중기는 여성이 문학 활동을 하기에 어려운 시절이었다. 이 시기에 다작을 남겼다는 것은 굉장히 큰 의미가 있다"며 "김호연재 여성문화축제를 독립된 축제로 키우고, 잊힌 여성 시인을 발굴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유진 기자 1226yuji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