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톡] 오정숙, 그는 어떤 화가인가?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문화 톡] 오정숙, 그는 어떤 화가인가?

김용복/ 극작가, 예술 평론가

  • 승인 2019-08-1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꽃 작가라고?

맞는 말이다. 꽃 작가이되 자신을 꽃의 분신으로 보고 꽃과 함께 살아가는 기이한 화가다. 그림을 그리되 사진을 변형시켜 꽃으로 옷을 입히고, 압화로 외출복을 만들어 입고, 세상을 바로 보는 것이 미안해 아예 눈 한쪽을 없애버렸다.



그래서 말이다. 실제 인물 오정숙과, 한쪽 눈을 없애버리고 꽃 속에 둘러싸여 있는 작품속의 오정숙과는 어떤 관계일까?

스페인의 대 문호 세르반데스는 돈키호테와 산초 판사를 내세워 두 사람이 서로 다른 점을 보완하며, 인간성의 양면을 그려냈다. 따라서 두 사람의 보편적인 인간성은 국적 ?인종 ?나이 ?성별을 초월하여 모든 사람에게 친근감과 공감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오정숙

그래서 물어보자. 오정숙 작가에게.

작품속의 인물과 실제 인물인 오정숙을 왜 차별화 시켰으며, 지적인 얼굴에 따스함마저 갖춘 아름다운 얼굴을 왜 보기 흉하게 한 쪽 눈을 없앤 이유가 무엇이며, 무엇을 풍자하려 하였는가? 마치 작품속의 인물을 돈키호테에 비유하고 자신을 산초 판사에 비유하려 했던 게 아니었는가? 말해보라. 한쪽 눈으로 세상을 보니 어떠한가?

그 결과 30여 년간 꽃과 함께 꽃 누르미(압화)를 통한 작품을 선보여 2014 세계미술작가창작공모대전에서 종합대상을 받았던 것인가? 꽃과 함께 살기를 30여 년, 쉽게 말해 반평생이다.

이런 괴짜 오정숙 화가가 대전시 중구 대흥동 183-5(대흥동 성당 뒤)에 있는 '카페, 봄 갤러리'에서 두 달간 8월 말까지 개인전을 열고 있다.

오정숙 작가는 2014 세계미술작가 창작공모대전에서 '여인의 향기'라는 작품으로 종합대상을 수상했다 한다. 플로리스트와 작가로 꽃을 계속 감상할 수 있는 작품으로 만든 그의 새로운 기법은 새로운 장르의 개척이라는 호평을 받고 있는 것이다.

 

KakaoTalk_20190819_075131341

 

그는 자신을 모델로 삼아 사진 작업을 한 후 컴퓨터로 그래픽 한 다음, 압화를 붙여가며 여러 가지 꽃으로 장식해 자신을 또 다른 모습으로 변신시켜 내세웠다 한다.


작품에 들어간 꽃 종류도 다양해 압화를 비롯해 20여 가지 종류의 꽃이 이 한 작품에 들어갔다는 것이다.

지적인 매력의 오정숙 화가.

그는 결혼 한 후 큰애가 태어나서 걸음마 걷기 시작할 때부터 꽃과 친해졌다 한다. 꽃과 사귄다는 것은 주부들이 아이를 키우면서 집안에서 할 수 있는 고상한 취미인 것이다.

특이한 미술을 감상하고 싶은 분들은 이곳에 가 보라.

조계사 탑전 꽃꽂이도 있고, 돈키호테를 비웃는 듯한 애꾸눈 오정숙 분신도 있는 것이다.

-어서 가 산쵸 판사가 되어 변신한 오정숙과 대화를 나눠보라.

 

김용복 칼럼니스트-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3.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4.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5.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