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군 발왕산 정상에 ‘평창 평화봉’ 지명 제정, 국가지명위원회 최종 확정

  • 전국
  • 강원

평창군 발왕산 정상에 ‘평창 평화봉’ 지명 제정, 국가지명위원회 최종 확정

  • 승인 2019-10-24 11:17
  • 신문게재 2019-10-25 8면
  • 한상안 기자한상안 기자
2. 발왕산 평화봉 일원
발왕산 평화봉 일원(사진제공: 평창군)
2019년 10월 16일 평창군 대관령면 수하리 산1번지 발왕산 정상 산 봉우리에 이름이 정해졌다. 그동안 무명이었던 발왕산 주봉이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산인 '평화 올림픽'을 기념하고, 한반도 평화의 발원지인 발왕산 정산에 '평창 평화봉' 이름이 정해지면서 그동안 염원했던 강원평화특별자치도 강원도민과 평화 도시 평창군민의 염원으로 자긍심이 고취되었다.

강원 평창군은 2019년 2월부터 평창 평화봉 지명 제정을 위해서 문헌 및 자료수집을 완료하고 지명사용을 위한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4월에는 주민 의견을 수렴한 결과 78% 이상이 대부분 긍정적인 의견이었다. 5월 14일 평창군 지명위원회에서 의결되고 7월 29일 강원도 지명위원회 의결 후 10월 16일 국가지명위원회에서 최종 의결됨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9-4044호로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수하리 산1번지 봉우리에 '평창 평화봉'지명을 결정 고시하였다.



한왕기 평창군수는 발왕산이 2018평창 동계 올림픽의 장소 적인 상징성도 있지만, 평창은 이미 그 이름 속에 평화라는 뜻이 내재 되어 있다. 평창(平昌)이라는 지명을 그대로 풀이하자면 평화와 번영이다. 평평하다 평화롭다는 의미의 평(平)과 창성 하다 흥성 하다는 뜻의 창(昌)이라는 글자의 조합이다. 평화와 번영을 의미하는 평창에서, 발왕산 정상에 '평창 평화봉'은 발왕산을 찾는 평창과 강원도를 방문하는 수 많은 사람들에게 평창과 평화, 동계 올림픽을 기억하는 '평화 도시 평창'의 유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평창=한상안 기자 dhlfy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1. 국외 입양인들, 세종서 모국 문화 체험 "색다른 감동"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4.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