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통학버스 31%가 주행거리 20㎞넘어

  • 전국
  • 천안시

천안 통학버스 31%가 주행거리 20㎞넘어

  • 승인 2019-11-09 13:56
  • 김한준 기자김한준 기자
천안지역 어린이들의 통학을 담당하는 버스 10대 중 3대의 주행거리가 20만㎞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 교통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됐다는 지적이다.

천안교육지원청이 충남도의회 교육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천안지역 42개 유치원과 초등학교 특수학교에서 61대의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들 통학버스 중 19대가 누적 주행거리가 20만㎞를 넘기는 등 교통안전사고 우려가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A유치원의 통학버스의 주행거리는 46만8119㎞였으며 B초등학교의 통학버스는 41만6342㎞, C초등학교의 통학버스는 36만3402㎞를 주행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사실상 폐차수준의 차량이 어린이들의 통학을 책임지는 위험한 주행을 벌이고 있다.



주행거리 20만㎞를 넘긴 차량 19대 중 10대가 40인승 이상의 버스로 사고 시 대형 인명피해를 피할 수 없다는 게 교육계 여론이다.

아울러 주행거리 20만㎞를 넘긴 차량은 모두 임차인 것으로 나타나 차량 교체 등을 강제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천안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총주행 거리가 많다고 해서 차량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고 임차든 관용이든 모든 통학 차량은 주기적으로 안전점검을 받기 때문에 운영에는 문제가 없다"라며 "주행거리에 대한 제한을 둘 경우 업체와의 계약이 어려워질 수도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충남도의회 조철기 의원은 "최근 아산에서 발생한 김민식 군의 사망사고로 인해 학생들의 통학 안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아이들이 타고 다니는 통학버스 운영사항 역시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로 천안 61대의 통학버스 중 19대가 20만㎞ 이상의 노후 버스인 것으로 나타나는 데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지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안=김경동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5.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1.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2.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3.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4. 금은방 새벽 침입했지만, 금고는 못열어…절도미수 40대 징역형
  5. 대전기상청, 폭설 재난문자 신설하고 지진 조기경보 강화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