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0. 마이동풍(馬耳東風)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0. 마이동풍(馬耳東風)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20-02-27 11:1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숫타니
전날 온 문자를 다음날 아침에 봤다. 전날이 쉬는 날이어서 점심때부터 술을 진탕 마시고 잔 때문이다. 덕분에 누적된 피로는 풀렸지만 기타 지인들의 전화와 문자 등은 확인이 늦어졌다.

아무튼 작년에도 도전한 바 있으나 낙방한 바 있는 경찰청 정책기자단 1차 합격자에 올해도 내 이름이 들어 있었다. 문자는 그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제 관건은 면접이다. 작년에 낙방한 경험이 있는 터여서 자신은 있다.

올해도 도전한 까닭은 작년의 불합격이라는 '불명예'를 씻고자 함에서였다. 나의 또 다른 신앙은 '도전은 미루지 마라!'이다. 아울러 나 자신의 능력을 믿는다는 것이다. 그제 직장의 지인이 [불교 최초의 경전 숫타니파타]를 선물했다.

법정 스님이 썼고 도서출판 이레에서 발간했는데 꽤 세월이 지난 책이다. [숫타니파타]는 1,149수의 시를 70경에 정리하여, 5장으로 나눈 것으로, 발전하고 수정되기 전의 소박하고 단순한 초기의 불교가 그대로 심어져 있다.



후기의 불교에서 이루어진 경전처럼 현학적이고 번거로운 교리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부처님은 이처럼 단순하고 소박하게 인간으로서 가야 할 길을, 모순과 갈등으로 이루어진 이 세계에서 해탈의 저 세계에 이르는 길을 말씀하신다.

이 책의 P.71에 다음과 같은 대목이 나온다. <스승은 대답하셨다. "이 세상에서 믿음이 으뜸가는 재산이다. 덕행이 두터우면 안락을 가져오고, 진실이야말로 맛 중의 맛이며, 지혜롭게 사는 것이 최상의 삶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장처럼 내가 나 자신을 믿지 못하면 다른 사람들도 덩달아 불신한다. 작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덜덜 떨고 있다.

날이 바뀌면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중국인의 입국 불허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다. 의사협회에서 그렇게나 중국인의 입국을 금지시켜야 된다고 수차례 건의했건만 정부에겐 마이동풍(馬耳東風)이었다.

시중에선 마스크가 사라졌으며 시장에는 사람이 증발했다. 이런 와중에 여당의 당정청협의회에서 나온 '대구·경북(TK) 봉쇄조치' 발언 파문이 확산되어 대구와 경북도민들이 들끓고 있다고 했다.

심각한 여론 이반에 화들짝 놀란 문 대통령은 대구를 방문하여 당정청 회의에서 '대구·경북에 대한 최대한의 봉쇄정책을 시행한다'는 표현이 포함된 것을 거론하며 "지역적인 봉쇄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전파와 확산을 최대한 차단한다는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면서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것 같아서 다시 한번 설명드린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럼에도 여론이 쉬이 식지 않는 까닭은 70만 명이 넘는 청와대 국민청원마저 무시했는가 하면, 두려워 말고 일상생활을 그대로 하라고 종용해 놓고는 막상 방역실패로 확진자가 급증하자 종교 단체 탓으로 전가하는 모양새까지 보였기 때문이다.

물론 그 특정종교 단체가 잘했다는 건 아니다. 또한 코로나19의 감염원이자 숙주인 중국인들은 홍수처럼 입국할 터인데 그들에 대한 빗장을 걸기는커녕 애먼 우리 한국인들만 조심하라며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스타일을 보자면 마치 비오는 데 걸레질하고 있는 형국이란 느낌이다.

다른 국가들처럼 중국인의 입국을 막았더라면 사태가 이 지경까지 오진 않았을 것이라는 게 국민들의 중론이다. 적반하장(賊反荷杖)이라더니 한국에서 출발해 중국 웨이하이국제공항으로 2월 25일 입국한 탑승객 전원이 격리 대상이 되었다고 한다.

도둑이 매를 든 격이다. 글을 쓰다 보니 시류를 비판하는 글이 되었는데 이는 시국이 그만큼 엄중한 때문이다. 다시 [숫타니파타]로 회귀한다. 이 책의 P.12에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글이 등장한다.

= "홀로 행하고 게으르지 말며 비난과 칭찬에 흔들리지 말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지금 우리 정부가 귀담아 들어야 할 경구(警句)라고 생각한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내방] 구연희 세종시교육청 부교육감
  2.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6년 장애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접수 시작
  3.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4. 재난위기가정 새출발… 희망브리지 전남 고흥에 첫 '세이프티하우스' 완공
  5. 수능 앞 간절한 기도
  1. [한 장, 두 장 그리고 성장] 책을 읽으며 사람을 잇고 미래를 열다
  2. 고물가에 대전권 대학 학식 가격도 인상 움직임…학생 식비부담 커질라
  3. 대전 2026학년도 수능 응시자 1만 6131명… 교육청 "수험생 유의사항 필독해야"
  4.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5. 충남 청년농 전용 '임대형 스마트팜' 첫 오픈… "돈 되는 농업·농촌으로 구조 바꿀 것"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