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에 대전체육계 극심한 침체기

  • 스포츠
  • 스포츠종합

'코로나19' 장기화에 대전체육계 극심한 침체기

전반기 33개 행사 모조리 취소 또는 연기... 연말 일정 장담 못해
하반기 행사 대거 몰릴 경우 대관문제 우려

  • 승인 2020-04-09 16:36
  • 수정 2021-04-29 18:00
  • 신문게재 2020-04-10 5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KakaoTalk_20200121_160724233 - 복사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지역 체육계도 극심한 침체기에 시달리고 있다.

이달까지 예정된 체육 행사가 모조리 취소 또는 연기된 상황에서 연말 계획된 일정 소화도 장담키 어려운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체육계 일각에선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져 체육계가 다시 기지개를 켠다고 해도 하반기 행사가 대거 몰리는 데 따른 대관 문제 등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9일 대전체육회에 따르면 올해 지역 내 예정된 각종 체육 행사는 110여 개로 참가 규모만 12만여 명에 달한다.



하지만, 연초부터 터진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이달까지 예정된 33개 대회 모두 '올스톱' 됐다.

지난달 말부터 시행한 정부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는 이달 말까지 연장돼 모든 행사가 멈춰 섰고, 5월 이후로 연기한 대회도 사실상 하반기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

체육행사의 경우 기본 계획부터 참가자 모집까지 짧게는 한두 달 준비한다고 과정 하면 물리적으로 시간상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어 당장 행사 개최를 결정해야 상황이다.

한 종목단체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체육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침체 돼 있다. 당장 다음 달 행사가 예정돼 있지만, 이런 상황에서 개최하기는 쉽지 않다"면서 "우리의 경우 일정이 빡빡해 대회 연기가 아닌 취소를 해야 한다. 이러한 분위기가 지속한다면 앞으로 남은 행사 개최 여부도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른 종목단체 상황도 마찬가지다. 최근 한 종목단체가 행사 개최를 위해 시체육회에 공문을 통해 질의한 상태지만, 승인은 어려워 보인다.

특정 종목을 해제해 줄 경우 다른 단체들도 함께 승인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또 지난 1월 코로나19 위기경보 '심각'단계 해지 시까지 행사 자제 방침을 세웠던 만큼 바꾸기 쉽지 않다.

시체육회 관계자는 "4월까지 예정된 모든 대회가 연기되면서 하반기 쏠림이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연기된 33개 대회의 경우는 향후 일정을 '미정'으로 둘 만큼 대관 문제가 우려된다"면서 "앞으로 남은 예산과 대관 등 민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현명하고 슬기롭게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2.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