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방역까지 코로나19에 뚫리자 학부모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지난 중순부터 대전에서 빠르게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대면 수업에 대한 우려가 커졌지만, 교육부의 방침을 이유로 대면수업 원칙을 고수한 대전 교육청의 안전의식에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원장 1명이 확진자로 판명된 후 대전시내 전 어린이집의 휴원 조치에 들어갔던 대전시와는 해당 학교의 등교 조치만 내린 것에 대해서도 시와 교육당국의 방역 엇박자란 비판이 일고 있다. 컨트롤 타워 없이 부서별로 전담업무만을 수행하면서 선제적, 능동적 대처가 없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를 재정비하면서 코로나19 유행이 확인된 대전 지역은 2단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2단계에서는 등교·원격수업을 병행하면서 등교 인원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당장 이들 학생이 다닌 학교 인근 초등학교의 원격 수업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학생 안전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학생 안전을 위한 교육 당국의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