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코로나를 이기는 대전관광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코로나를 이기는 대전관광

이현재 대덕대 호텔외식서비스과 교수

  • 승인 2020-06-30 13:51
  • 신문게재 2020-07-01 19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이현재 교수
이현재 대덕대 호텔외식서비스과 교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전 세계 관광산업은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의 불황을 넘어 공황 상태로 진입했다. 코로나는 '여행의 종말'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지구촌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특히 관광산업은 벼랑 끝에 서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 산하 세계관광기구(UNWTO)에 따르면 올해 국제 관광객이 지난해보다 80% 가까이 급감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니 '투어리즘 제로(Tourism Zero)' 시대로 표현되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



코로나19 여파로 국경을 넘나드는 해외여행은 급감했고 국내여행이 그나마 이를 대체하는 추세이다. 이제 일상을 벗어나 관광지를 찾는 장거리 여행보다 공원 등 일상에서 여가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깨끗한 숙소와 쾌적한 자연에서 짧고 가까운 여행을 즐기는 '스테이케이션', '호캉스'와 같은 형태의 여행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관광공사가 실시한 '코로나19 국민 국내여행 영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존 여행 질서를 뒤집는 새로운 여행패턴이 등장한다.



'여행지 선정 기준', '여행 횟수', '여행 테마', '여행 일정', '여행 수단' 등 전반적인 부문에서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이른바 '비대면' 여행패턴이 나타났고 특히 그 중 '사람이 많이 몰리지 않는 숨겨진 여행지를 선호하며 '여행횟수 줄이기', 그리고 '과거보다 개인위생에 신경 쓰는 여행'이 가장 두드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한국관광공사는 코로나 종식 이후 해외관광 재개에 대비하기 위한 디지털 기반 캠페인을 통해 한국관광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하고 있다.

비대면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사업방식의 전환과 동시에 우수한 K-방역 시스템과 연계하여 관광 마케팅을 선도하는 동시에 자유롭고 개성 넘치며 자존감이 강한 밀레니얼 세대와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 삶의 재미와 만족을 추구하는 Z세대(Gen Z)가 향후 여행 트렌드 변화를 이끌어 나갈 핵심세대로 예측하고 이들을 타깃으로 '재미'와 '경험'에 기반한 관광 상품 개발 방안도 제시하였다.

앞으로의 여행패턴은 급격히 변화할 것이다. 여행에서의 안전이 담보되지 않을 경우 관광목적지로서의 선택을 받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생활 속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그동안 해외여행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단체 패키지여행'이 줄고 가족단위 개별여행객(FIT)이 늘어나고 미술관, 박물관, 공연장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밀폐된 공간이 아닌 다른 여행객들과 동선이 겹치지 않는 자연친화적인 생태관광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여행 수단도 이전의 철도, 버스 등 대중교통이 아닌 자가용, 렌터카 등 개별 이동으로 변화하고 여러 목적지를 순회하는 것이 아닌 한 곳에 머무르는 정주형 여행상품을 선호하게 될 것이다.

다가오는 여름 휴가철에 대비하여 해양수산과학부는 모바일 기반 관광정보 서비스 제공과 이용객 쏠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해수욕장 혼잡도 신호등', '해수욕장 예약제' 등을 도입함으로써 빅테이터 기술을 활용, 실시간 맞춤형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등 스마트관광 활성화를 지원한다고 한다.

코로나19로 위기를 맞은 관광산업의 조기 부활을 위해 지역의 고유 관광자원을 활용한 로컬관광 활성화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지역 경기 침체 및 소비 급감을 이겨내기 위해서 지역 고유의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활용한 '로컬관광 활성화'가 그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19-2021 대전방문의 해'를 선포하며 대전관광의 붐업을 위해 지난해 야심차게 첫발을 내딛었으나 관광객 증대라는 양적 성장에 치우진 정책과 사업은 아니었는지 돌이켜보고 코로나 19로 인한 여행 패턴의 변화가 '대전 방문의 해' 의 질적 성장을 이끄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현재 대덕대 호텔외식서비스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2.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한성일이 만난 사람]김용교 전 아산시 부시장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