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공청정기 연도별 출원현황(특허청 제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바이러스 차단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미세먼지 이외에 바이러스까지 없앨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개발과 디자인 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확산하면서 실내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것도 한 이유다.
12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공기청정기 디자인 출원은 메르스가 유행하던 2015년에는 113건이었지만, 2017년 166건, 2018년 269건으로 점차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는 451건이 출원됐다.
이는 메르스 때와 비교해 299%, 약 4배가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한 올 5월까지는 약 110건이 출원됐다.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공기청정기는 공기중 미세먼지를 비롯해 가스, 냄새, 연기 등을 정화하는 전자기구다.
코로나 19 확산으로 가정용 공기청정기에 의해, 차량용 공기청정기, 휴대용 공기 청정기 등 다양한 종류의 공기 청정기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 출원되는 공기청정기의 디자인은 미세먼지,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공기청정 효과에 가습기능, 조명기능 등을 더하고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인테리어 효과를 높인 디자인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거공간의 실내공기 정화뿐 아니라, 이동 간에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디자인의 출원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지난 2018년 22건에서 지난해 33건으로,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같은 기간 21건에서 30건이 출원됐다.
문삼섭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코로나 등 감염병의 확산으로 위생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깨끗한 공기의 소중함이 더 강조되어, 공기청정기 디자인의 출원은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특허청은 특허·실용신안·디자인·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심판 및 변리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산업재산권의 적기 보호로 산업기술 개발의 촉진을 지원하고, 산업재산권 행정체계를 구축해 기술경쟁 시대에 대처하기 위해 지난 1977년 설립됐다.
기술적 창작물에 대한 심사 및 특허권 부여, 발명진흥 시책 수립·시행, 특허심판제도 운영 등의 업무를 관장하고 있으며 지난 2006년 5월 1일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개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 최초로 기업형 중앙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됐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