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공청정기 연도별 출원현황(특허청 제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바이러스 차단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미세먼지 이외에 바이러스까지 없앨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개발과 디자인 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확산하면서 실내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것도 한 이유다.
12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공기청정기 디자인 출원은 메르스가 유행하던 2015년에는 113건이었지만, 2017년 166건, 2018년 269건으로 점차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는 451건이 출원됐다.
이는 메르스 때와 비교해 299%, 약 4배가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한 올 5월까지는 약 110건이 출원됐다.
최근 출원되는 공기청정기의 디자인은 미세먼지,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공기청정 효과에 가습기능, 조명기능 등을 더하고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인테리어 효과를 높인 디자인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거공간의 실내공기 정화뿐 아니라, 이동 간에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디자인의 출원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지난 2018년 22건에서 지난해 33건으로,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같은 기간 21건에서 30건이 출원됐다.
문삼섭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코로나 등 감염병의 확산으로 위생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깨끗한 공기의 소중함이 더 강조되어, 공기청정기 디자인의 출원은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의 총칭으로 공기중의 미세한 먼지, 가스, 냄새, 연기를 포집하기 위해 건식 필터나 전기 집진 장치와 순환 송풍기를 내장한 유니트, 혹은 공기흡입구와 냉각기 사이에 설치하는 필터를 말하는 경우가 있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