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23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대전형 뉴딜 기본 계획'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은 대전시 |
▲한국형 뉴딜의 중심지 '대전'= 민선 7기 후반기 전략인 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 그린 시티로의 전환이 정부의 디지털·그린 뉴딜계획이라는 절호의 기회를 만났다. 대전시는 서비스업 중심 산업구조의 고착화로 성장정체 지속과 일자리 미스 매치로 구인·구직난이 쌍방에서 발생하는 이중적인 구조 문제가 심화 됐다. 또 대덕특구, KAIST 등 연구개발 자원 집약도는 높으나, 지역사회 내 사업화나 성과 확산은 미흡하고 창업률에 비해 생존율은 저조한 상황이다. 여기에 신종코로나바이러스라는 유례없는 감염병 사태에 따른 경제 직격탄이 거시적으로는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 침체로 이어지고 대전도 피할 수 없는 위기 상황에 놓였다. 정부가 한국판 뉴딜 정책을 추진하면서 지역 중심을 강조했다. 대전은 디지털·그린 인프라 및 일자리 투자로 경제 역동성을 회복하고, 미래 성장동력 확충, 수요 맞춤형 사회안전망 강화로 포용가치를 확산할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 경제 전환으로 산업구조 혁신 및 지역 잠재력 폭발, 스마트 그린 도시 구현으로 지속가능한 저탄소 시대에 돌입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13조2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13만4000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 |
전국 최초로 상용화되는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모습. 사진제공은 대전시 |
AI 모델도시 구축을 위해 인프라 구축, 인재 양성, 창업·기술사업화 지원, 시민 삶의 질 향상 등 4대 전략 12개 과제를 추진한다. 국립중앙과학관 주차장 부지 활용, 인공지능 실증 체험시설 및 스마트 지하주차장을 조성하고, 3대 하천 주변 특구 지정으로 드론산업 인프라 구축, 서비스 개발 등 실용화·사업화도 촉진한다. 지역 내 엑셀러레이터 및 벤처캐피털과 협력, 신산업 관련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대전형 뉴딜 펀드를 조성하고, 중소기업 육성기금 및 은행협력자금으로 신설해 스타트업, 벤처창업 한도상향 등 우대 지원한다. 또한, 도시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가공해 민간에 제공, 데이터 기반산업 육성한다.
특히 1조 5000억원을 투입해 융합연구, 혁신창업 환경 조성, 공동 R&D 캠퍼스 조성, 개방형 혁신공간 확충 등 4차 산업혁명시대 국가 혁신거점으로 재창조할 계획이다.
![]() |
대전역세권 개발 예상 조감도. 사진제공은 대전시 |
3대하천 도시재생 그린뉴딜을 통해 자연과 인간이 공생하는 치수환경 조성, 테마가 있는 시민들의 여가·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 또한, 재정매입 대상 미집행 도시공원을 활용 도시농업지원센터, 도시텃밭, 스마트팜 등 조성한다. 학교 주변 무질서한 전선·통신선지중화, 보도 일제정비에 따른 보행환경 개선에도 나선다. 갑천지구 5블록 등에 에너지 효율향상, 태양광 적용 등 스마트 그린 주거단지를 조성하고, 금고동 위생매립지역 확대 및 하수처리장 이설 등 증가하고 있는 폐가스를 수소 생산-저장-운송-사용 등 수소전주기 밸류체인 조성에도 나선다. 특히 트램 차량, 궤도, 신호 등 전문산업 육성·지원으로 친환경 대중교통수단인 트램 산업 활성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 도시철도 2호선 트램(7492억원),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2307억원) 건설로 철도 중심 친환경 대중교통체계 구축하고, 전기·수소 보급도 확대한다. 구내 태양광 소재·부품·장비의 공정 및 성능 양산 전 단계 검증, 신재생에너지의 대규모 R&D 및 실증으로 태양광 확산기반을 만들고, 신규 조성되는 평촌지구 금형산업 특화단지 내 스마트 녹색공장 구축 및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 구축으로 스마트그린 산단으로 조성한다.
![]() |
갑천변 물길 조성사업 모습. 사진제공은 대전시 |
원도심 혁신도시 조성 및 신경제중심지화로 지역 내 균형을 맞추고,충청권 거점 도시로서 광역협력를 주도하는 국가균형발전 모델을 창출한다. 대전역세권과 연축지구를 스마트그린 혁신도시로 조성, 공공기관 유치로 새로운 혁신 성장거점을 구축하고, 대전~세종~충청을 과학기술 기반 혁신클러스터로 구축, 국가 혁신거점으로서 초광역 신 경제축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대전역~정부세종청사(25㎞, 12분), 대전역~청주공항(44㎞, 20분)을 연결하는 철도광역교통망 확충으로 세종, 청주를 단일 생활권화, 상생협력 기반 및 공동번영을 도모하고, 북대전IC ~ 신동·둔곡 지구 ~ 금남 ~행복도시 연결로 대전·세종 양 도시 간 상생발전에 힘쓴다.
![]() |
4차산업특별시 선포를 한 문재인 대통령 모습. 사진제공은 대전시 |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