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면, 국립대전미술관, 충청내륙권 도시여행 광역관광 인프라 사업 등은 제외됐다. 대전시는 미반영 예산에 대해 소관부처 협조 요청과 함께 지역국회의원과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대전시는 2021년 정부예산안에 주요 현안 대부분이 반영됐다고 1일 밝혔다. 시가 이날 국무회의를 통해 확정된 내년 정부예산안을 확인한 결과다.
그동안 허태정 시장을 비롯한 부시장, 실국장 등이 국비확보 활동을 펼치는 한편, 박병석 국회의장을 비롯한 지역 국회의원과 공조해 시 요구 사업 대부분이 정부예산안에 반영됐다는 평가다.
시는 정부예산안에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사업, 바이오, 4차 산업 등 과학도시 대전의 위상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핵심 사업들을 다수 반영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우선 국가 연구개발(R&D)의 중추인 대덕특구를 개방·융합의 시대에 맞게 세계적인 융·복합 혁신지구로 육성할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 사업인 ▲대덕특구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 착공비 10억원 ▲마중물플라자 조성 사업 기획비 3억 원이 정부예산에 각각 반영됐다. 또 ▲병원체자원 공용연구시설 구축(48억 5000만원) ▲감염병 치료제·백신 조기 상용화 지원(10억 5000만원)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42억) ▲정밀의료기술 상용화지원 플랫폼 구축(25억) 등 바이오 관련 사업들이 줄줄이 예산에 반영돼 대전이 감염병 등 관련 바이오 메카로 부상할 발판을 확고히 했다는 평가다.
4차 혁신산업의 마중물 사업도 포함됐다. 주요사업은 ▲국립중앙과학관 인공지능(AI)공원 기획비(3억) ▲실감형 디지털 스튜디오 큐브 조성 사업비(49억)가 내년 신규 사업으로 예산안에 반영됐으며, ▲수상촬영이 가능한 다목적 스튜디오 조성(27억 5000만 원) ▲대전 지역기반 게임 산업 육성(15억) 사업도 계속 사업으로 내년 추진에 차질이 없을 전망이다.
이와 함께 지역 현안, 시민 안전 및 편익 등과 밀접한 사회간접자본(SOC) 관련 예산확보 사업도 포함됐다.
국회 통합디지털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3억 5000만 원)가 내년에 착수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계속 사업인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건립비 추가 증액(22억) ▲원자력안전 시민참여형 감시·소통체계 구축 운영 신규사업(6억) ▲재난안전통신망 운영 연계시스템 구축 사업(10억)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43억)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건설(설계비 90억) ▲대전 역세권 재정비촉진사업 기반시설 설치(109억) ▲경부선(회덕~조차장간) 장등천교 개량사업(17억) ▲동구 용전동(5억), 서구 괴정동(5억) 하수관로 정비사업 ▲평촌산단 폐수 연계처리 관로건설 사업(3억) 등이다.
이번에 반영되지 않은 사업은 ▲국립대전미술관 조성 ▲충청내륙권 도시여행 광역관광 인프라 사업 ▲신성배수지 내 우주천문체험관 조성 ▲대전환경교육센터 설치 운영 등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번 정부예산에 대덕특구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 등 핵심 약속사업 등이 반영돼 가시적인 민선 7기 성과 창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구축해 지역 현안들이 정부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