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행정수도 이전, 문 대통령 의지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행정수도 이전, 문 대통령 의지다

  • 승인 2020-07-30 17:08
  • 신문게재 2020-07-31 19면
더불어민주당이 세종시로의 행정수도 이전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민주당은 서울을 '글로벌 경제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대안을 제시하며 부동산 파동 논란의 국면전환용으로 행정수도를 활용하려 한다는 의혹을 일축하고 있다. 우원식 행정수도완성추진단장은 지난 29일 국회 간담회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뜻을 세우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다시 시작해 노무현 전 대통령이 청사진을 만들어 진행해온 국가균형발전 사업"이라고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여당의 분위기와는 달리 청와대 입장은 신중하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여야 논의와 국민 여론을 살펴봐야 할 문제"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행정수도를 결정하는 핵심은 국회와 더불어 청와대 소재지가 어디에 있느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2004년 헌재 결정문에도 '대통령 소재지가 어디인가 하는 것은 수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특히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청와대 분위기는 이미 위헌 결정을 받은 사안에 대해 주도적으로 나서는 것에 대한 부담감과 부동산 정책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청와대 이전을 포함한 행정수도 이전을 논의하는 것 자체에 대해 신중할 수밖에 없는 여건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이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상태에서 행정수도 이전은 동력을 갖기 힘들다. 문 대통령 임기는 2년도 채 남지 않았고, 대선 정국을 감안하면 문 대통령이 실제 일할 기간은 그보다 짧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대선에서 세종시 국회 분원과 세종 집무실 설치를 말했다. 개헌은 국민투표가 요건이다. 수도권은 행정수도 이전에 부정적 여론이 더 많다고 한다. 청와대가 고민하는 지점일 것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여의도 국회의 1.5배에 달하는 세종시 부지에 의사당 분원을 짓고, 대통령이 수시로 일할 수 있는 집무실을 세종시에 두면 된다. 그 후 개헌을 통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를 만들면 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