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접수인원 감소율 올해는 10% 넘었다… 세종만 증가세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수능 접수인원 감소율 올해는 10% 넘었다… 세종만 증가세

대전 10.8%, 충남 7.6% 감소… 전국 10.1% 감소
세종서 수능 접수는 319명인 10% 오히려 증가해

  • 승인 2020-09-21 15:34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2020080501000455400016941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가 마감된 가운데, 응시생 감소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2021학년도 대전지역 수능 원서 접수자는 1만 5074명으로 지난해 1만 6888명에서 1814명이 줄었다. 비율로만 보더라도 수능 접수자가 11%가량이 줄어든 수치다.



최근 5년간 대전에서 수능 접수 인원을 살펴보면 2017학년도 수능 시험 접수자는 1만 9670명으로, 한해 수능 접수자가 2만 명 이하로 줄었고, 이후 2018학년도는 1만 8870명, 2019학년도엔 1만 8681명으로 올해까지 5년 연속 감소세다.

더 우려스러운 건 감소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점인데, 2017학년도에서 2018학년도엔 4.2%, 2019학년도엔 1.1%, 2020학년도엔 9.6%가 감소했고, 올해엔 10% 감소율을 넘어 10.8%나 줄었다.



성별로는 지난해 대비 남학생은 983명, 여학생은 831명 줄었으며, 졸업예정자는 1589명, 졸업생은 246명씩 줄었고, 검정고시생과 기타 학력자만 오히려 21명이 증가한 246명이 접수했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재학생 수가 감소하면서 수능 접수까지 자연스럽게 감소가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현재 고2 재학생부터는 학생 정원이 소폭 늘어 2022학년도 수능 접수부터는 다소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전국적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 수준을 보였는데, 2021학년도 수능 전체 접수 인원은 49만 3433명으로 2020학년도 54만 8734명에서 5만 5301명 10.1%가 감소했다.

충남에서도 전년 대비 1324명 7.6%가 감소한 1만 6162명이 수능 원서를 접수했다. 천안이 359명으로 가장 크게 줄었고, 서산 317명, 아산 290명, 논산·계룡 169명, 보령, 홍성, 공주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다만, 세종은 2021학년도 수능 접수자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20학년도 3170명에서 319명 늘어 총 3489명이 수능시험에 접수했다. 남학생은 127명, 여학생은 192명이 늘었다.

한편, 2021학년도 수능은 코로나19 여파로 한 시험실 최대 정원이 28명에서 24명으로 줄어 대전에서만 최대 200여 개까지 시험실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현제·세종=고미선·내포=김흥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2.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3.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4.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5. ‘수능 끝, 해방이다’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