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는 '4차산업혁명 특별시' 홍보 및 시민들에게 과학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무인카페 로봇과 ㈜엠텍의 민원안내 로봇을 시청사 1층에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시연회에서 무인카페 로봇을 이용하는 허태정 대전시장 모습. 사진제공은 대전시 |
대전시가 과학도시를 상징하기 위해 청사 내에 무인카페와 민원안내 로봇을 설치했다.
대전시는 '4차산업혁명 특별시' 홍보 및 시민들에게 과학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무인카페 로봇과 ㈜엠텍의 민원안내 로봇을 시청사 1층에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은 대전시가 추진하는 '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시범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 내 기업을 선정했다.
시는 이날 청사 1층 로비에서 무인카페와 민원안내 로봇 시연회를 가졌다.
협동로봇 제조 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한국 최초의 두 발로 걸을 수 있는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발한 세계적 벤처기업으로 무인카페를 이용하는 직원 및 시민들의 반응을 모니터링해 향후 자동화 솔루션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선하는데 반영할 계획이다.
로봇제작과 유무선 통신 기업인 ㈜엠텍은 2000년에 대전에서 정보기술(IT) 전문기업으로 시작해 유망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으로, 민원 안내 로봇 이용자의 피드백을 통한 마케팅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날 시연회에 참석한 허태정 대전시장은 "과학부시장 임명을 통해 과학도시 육성을 위한 인적 시스템이 구축됐다면, 시청사 내 첨단로봇 설치를 통해 비로소 과학도시에 걸 맞는 위용을 갖췄다"면서 "혁신기술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초기 시장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기업을 위해 공공테스트베드 사업을 확대 추진해 성장 발판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는 "그동안 관공서에 대한 높은 벽이 느껴졌는데 대전시청에 제품을 설치한 후 문의가 많이 오고 있다"며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에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 대전시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은 1970년대 대덕연구단지 조성으로 한국과학기술을 선도하는 과학도시로 불렸다. 대전은 1993년 '대전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과학도시` 대전을 전 세계에 알렸다. 이후 대전은 세계적 혁신 클러스터이자 창조경제 허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지역공약으로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 육성'을 선정했다. 과학도시 대전은 4차산업혁명특별시라는 또 하나의 도전에 나섰다. 대전은 대덕연구개발 특구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단지 등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과학 인프라와 기술 역량이 결집된 도시다. 40년 이상 과학기술 연구 개발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최적지로 평가를 받고 있다. 대전시는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와 연구혁신센터 조성 및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통해 '4차산업혁명특별시의 완성'을 목표로 한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