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0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안전성평가연구소의 독립법인화 필요에 대한 언급이 나왔다.
무소속 양정숙 의원은 "안전성평가연구소가 굉장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 가짜 백수오 사건, 미스플라스틱 치약 사건, 살충제 달걀 사건, 라돈 침대 사건 이런 독성물 범위가 화학물질뿐만 아니라 미세물질, 나노물질, 바이오물질 등으로 지속적으로 다양화하고 있다"며 "같은 물질이라도 활용도에 따라 소관부처가 상의하다. 독성 안전성 R&D 분야의 범부처적 활용이 가능한 독립적 독성연구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각종 화학·바이오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연구와 지원 등을 통해 국가산업 발전과 국민보건복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지난 2002년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연구소로 설립됐다.
원광연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은 양 의원의 질의에 대해 "안전성평가연구소의 역할 확대와 고도화는 국민 생활 연구가 점점 더 중요해짐에 따라서 연구 영역도 확대하고 또 연구를 심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독립법인화를 포함해서 더 심화하고 영역을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해 보겠다"고 답했다.
출연연 등 과기계에서도 안전성평가연구소의 독립법인화는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다는 의견이다. 공공성이 짙은 독성 연구 특성에 따라 보다 명확한 미션을 확립하고 국내외 연구·업무 협력이 용이할 것이란 시각이다. 최근 국가핵융합연구소와 재료연구소가 각각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한국기계연구원으로부터 독립해 연구원으로 승격된 가운데 안전성평가연구소의 역할과 기능으로 미루어 독립법인화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안전성평가연구소 내부에서도 독립법인화를 요구하는 분위기다. 연구 특성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뿐 아니라 식품의약품안전처·환경부·농림축산식품부·산업통상자원부 등 여러 부처와 협력하는 상황에서 시설 인력과 예산 규모 등이 확보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 국제활동을 하는 데 있어 부설연구소 지위로는 한계가 있어 원 승격 때 보다 효율적인 협력이 가능하다는 목소리다.
송창우 안전성평가연구소장은 "공공적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많이 하고 있는데 이런 문제에 보다 효율적이고 본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연구원 지위로 국가에 기여하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효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