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다문화]7080 세대의 겨울로 떠나는 시간여행

  • 다문화신문
  • 대전

[대전시다문화]7080 세대의 겨울로 떠나는 시간여행

  • 승인 2020-12-23 16:17
  • 신문게재 2020-12-24 9면
  • 박태구 기자박태구 기자


<7080세대의 겨울 풍경>



7080세대의 겨울로 떠나는 시간여행

아버지표 썰매와 연날리기의 낭만-



길거리음식, 군고구마와 달고나



지구온난화로 기후가 점점 변해가는 세상. 사람들은 가끔씩 지독하게도 추웠던 어린시절을 그리워하기도 한다. 모든 것이 꽁꽁 얼어붙던 추위 속에서도 한겨울의 낭만을 즐기던 7080세대들의 겨울 속으로 잠시 시간 여행을 떠나 본다.

그 시절에는 겨울이면 냉기를 품은 찬바람이 야산을 헤집고 다녔고 삼한사온이 뚜렷했다. 눈도 아주 많이 내려 눈 오는 날 길을 걷다 보면 눈밭에 발이 푹푹 빠졌다. 겨울이 오면 어머니들은 아이들에게 두툼한 털신과 털 장갑을 사주거나 털실로 모자와 귀마개 등을 떠 주기도 했다. 추위를 대비해 단단히 무장을 하고 골목으로 나선 아이들은 다양한 겨울놀이를 즐겼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눈싸움, 썰매 타기, 팽이치기, 연날리기이다. 여자아이들은 땅따먹기와 고무줄놀이를 많이 했다. 날씨가 춥다 보니 추운 날씨를 이용해 할 수 있는 놀이가 많았다. 동네 앞개울이 꽁꽁 얼면 그곳이 곧 놀이터가 되었다. 자연썰매장이 생기면 집집마다 가장들은 아이들에게 손수 썰매를 만들어 주었다. 그 시절 아버지 표 썰매를 타던 아이들은 지금 60대가 되었다. 겨울놀이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눈싸움이다. 아이들이 편을 갈라 눈싸움을 하다 보면 차가운 눈에 옷이 다 젖어도 아랑곳하지 않았다. 7080세대라면 빙판에서 팽이치기를 하고 언덕에서 연날리기하던 추억 하나쯤 간직하고 있을 것이다.

7080세대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먹을거리이다. 군고구마와 찹쌀떡, 달고나는 추억의 간식이다. 길거리 드럼통 속에서 구워져 나오던 군고구마와 늦은 밤 겨울 공기를 가르며 들려오던 '찹~쌀~떠억'하던 찹쌀떡 장수의 정겨운 목소리는 모르는 사이에 세월 속으로 사라져버렸다. 추운 겨울이면 양지쪽에 자리 잡고 앉아 아이들의 코묻은 돈을 부르던 추억의 간식거리 달고나. 연탄불 위에 작은 국자를 올려놓고 국자에 설탕을 녹여 소다를 넣고 부풀려 틀에 찍어내던 달고나는 그 시절의 재미있는 추억이다

요즘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컴퓨터와 친구하고 스마트폰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텔레비전과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새로운 소식을 전해 들으며 1등만을 기억하는 세상에서 살아간다. 먹을거리 또한 피자와 치킨, 파스타가 대세다. 그 어디에서도 그 시대의 낭만은 찾아볼 수가 없다. 추억과 문명 사이에서 어떤 것이 더 좋은지 저울질하게 되는 요즘이다.



박영애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2.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3.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4.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5.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