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데이터센터 파급 효과 전략 필요

  • 정치/행정
  • 세종

네이버 데이터센터 파급 효과 전략 필요

올 상반기 착공... 2023년 가동 예정
일자리와 세수확대 기대... 추가 기관과 관련 기업 유치 로드맵 필요

  • 승인 2021-01-26 06:49
  • 신문게재 2021-01-26 1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22HBVJRVGV_1
춘천에 있는 네이버 제1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모습. 사진제공은 네이버
'네이버 제2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각(閣) 세종' 건립 준비가 한창인 가운데 지역경제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5일 세종시 등에 따르면 세종테크밸리(세종시 집현동 4-2생활권 29만3697㎡)에 들어설 '네이버 제2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각 세종'(이하 각 세종)은 올 상반기에 착공돼 내년 하반기에 준공된 뒤 2023년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28일 건축허가를 받았다.



공사 시공은 현대건설이 맡은 가운데 현대건설의 협력업체 및 지역에서 선발된 협력업체의 중장비들이 대거 동원돼 터를 닦기 위한 굴착공사에 들어갔다.

AI·빅데이터·자율주행·5세대(5G) 이동통신 등 첨단 산업의 인프라로 활용할 예정인 '각 세종'은 총 6500억원을 들여 '하이퍼 스케일'(10만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초대형 데이터센터) 규모로 건설된다. 세종시는 100여개 지자체의 유치 경쟁을 뚫고 '각 세종'을 품었다.



데이터센터는 일자리 창출 및 관련 IT기업의 투자 유치, 세수 증대 등의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낼 것이라고 세종시는 기대하고 있다. 시는 세종 데이터센터가 춘천의 고용 인력 107명, 연간 지방세입 81억원을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타사의 데이터센터 추가 입주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데이터센터 집단화와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관련 기업 유치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제조업, 건설·교통 등 서비스업으로 대표되는 2·3차산업 관련 대규모 기업 유치에서 얻어지는 법인세 등 막대한 지방세수와 수많은 고용창출 효과에 비하면 데이터센터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는 미미하다는 주장이다.

추가 데이터센터 유치도 전국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하고, 기존 수도권과 춘천 등에 기반이 갖춰진 만큼 쉽지 않은 상황이다.

네이버 산하기업이나 관련 기업 유치가 적극 필요하다. 네이버 제1 클라우드 데이터센터가 있는 춘천의 경우 네이버 고객센터와 유사한 업무를 전담하는 자회사인 인컴즈 이전으로 5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뒀다. 경남 김해는 NHN 데이터센터를 조성하면서 연구개발(R&D)센터가 함께 들어선다. 500여명의 연구인력이 근무하며, 지역 인재를 우선 채용할 계획이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각 세종' 유치 후 기자브리핑에서 "네이버가 원한다면 센터 인근 부지에 데이터연구소, A-CITY 실증단지, 연수시설, 교육센터 등의 연관시설을 집적화할 수 있도록 돕겠다. 센터와 연계해 시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테마파크(전문과학관, e-스포츠경기장 등 입지)를 조성하면 훌륭한 관광·휴식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추가 전략의 필요성을 내비쳤다.

세종시 관계자는 "센터가 들어오면서 네이버 연관 다수 기업의 추가 유치나 빅데이터 등 관련 기업과의 협업에 따른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면서 "네이버 관련 추가 시설 유치 등은 앞으로 센터 건립이 진행되면 논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종=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