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8] 염계달 득음 터 음성 가섭사 가보니... 절벽 아래 ‘공터'

[10년간의 취재 기록-8] 염계달 득음 터 음성 가섭사 가보니... 절벽 아래 ‘공터'

가섭사 주지 상인 스님, “옛 스님들 말씀에 삼성각 주변 벽절 아래가 염 명창 득음터”
독공 장소로 추정된 작은 공터, ‘가로 4m, 세로 3m’… 득음 터 공간으로 제격

  • 승인 2021-04-07 14:03
  • 수정 2021-08-24 00:46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1
"저기가 염계달 명창의 소리 터입니다"...충북 음성군 가섭사(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 말사) 주지 상인 스님이 사찰 경내의 한곳을 가르키며 이렇게 얘기했다. 손도언 기자 k-55son@
"저기가 염계달 선생(판소리 명창)이 공부했던 곳이여" 고려후기 사찰인 충북 음성군 가섭사(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 말사) 주지 상인 스님은 손으로 사찰 경내의 한곳을 가르키며 이렇게 말했다.

지난 6일 실제 염계달 명창의 소리 터가 지금도 존재하는지, 음성 가섭사로 향했다. 가섭사를 품고 있는 음성 가섭산은 온통 바위로 이뤄졌다. 지금은 아스팔트 도로여서 차량으로 10여분 거리면 가섭사에 도착할 수 있지만, 신작로가 없었다면 가섭사 가는 길목은 험난했을 것이다.



가섭사는 해발 600m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사찰 일주문에 들어서자, 음성 시내가 한눈에 들어왔다. 사찰이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보니, 최고의 전망을 자랑했다.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보전은 천년고찰답게 웅장했다. 몇몇 신도들은 부처님오신날(5월 19일)을 대비해 등불 제작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었다. 가섭사 역시, 큰 바위로 둘러싸였다. 경내 극락보전은 바위 아래에 위치해 있었고, 삼성각도 바위 절벽 아래에 자리를 잡았는데 보기만 해도 아슬아슬했다.

가섭사는 고려말 공민왕 때 나옹선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이후 임진왜란 때 전소됐고, 일제강점기 때는 불에 탔다. 1980년 중반엔 대웅전이 무너지기도 했다. 삼성각은 1990년에 개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IMG_0594
충북 음성군 가섭사 삼성각 옆에 작은 공터가 있다. 이곳은 염계달 명창의 소리터로 알려졌다. 조선창극사는 염계달 명창이 '음성 벽절'에서 공부를 했다고 기록했다. 조선창극사의 기록과 음성 가섭사 삼성각 옆의 공터가 일치했다. 손도언 기자 k-55son@
그렇다면 조선시대 전기 8명창 중 한명이자, 판소리 '천재 소리꾼'로 불렸던 염계달 명창은 음성 가섭사 어느 곳에 터를 잡고 독공((獨工)을 이어갔을까.[본보 6일자= 10년간의 취재 기록-7] 충북 음성, 판소리 '천재 소리꾼' 염계달 명창을 길러냈다]

상인 주지스님은 삼성각 주변의 바위 절벽 아래 공터를 지목했다. 실제 작은 공터가 삼성각 주변에 위치해 있었다. 공터는 가로 4m, 세로 3m가량으로 한 사람이 이리저리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다.

공터 뒤편에는 큰 바위 아래로 절벽을 이뤘고, 아랫동네(음성 도심)가 훤히 내려다보였다. 공터는 사찰 요사채 위에 자리잡고 있었는데, 요사채에서 공터로 올라가는 계단은 이끼로 온통 덮여 오랜 세월의 흔적을 엿 볼 수 있었다. 이곳 공터가 염계달 명창의 '득음터'로 추정되는 곳이다.

판소리 역사책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노식의 조선창극사(25페이지~28페이지)에 따르면 염계달 명창은 충청도 '음성 벽절'에서 소리공부를 했다. 기록에는 충청도 '음성 벽절'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은 충북도 음성군 벽절을 말한다. 음성군의 벽절은 가섭사로 추정된다. 벽절은 가파른 산벽 아래를 뜻한다.

IMG_0601
음성 가섭사에서 바라본 음성 시내.  손도언 기자 k-55son@

음성 가섭사 주지 상인 스님은 "삼성각이 개축된 시기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며 "옛 스님 등의 말을 들어보면 '삼성각 자리가 염계달 명창이 소리터'라고 예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음성 가섭사의 한 신도는 "조상 대대로 절(가섭사)에 다녔는데, 어른들이 '벽절'에 가자고 하면 지금의 가섭사 가자는 얘기였다"며 "예전부터 가섭사는 벽절로 통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만영(조선시대 영조(1776년) 때 성리학자) 선생이 염계달 명창을 어전광대로 이끌었던 인물로 알고 있다"며 "어릴적 풍향 조씨 가문이 이런 얘기를 종종했다"고 설명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2.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3.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4.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5.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