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8] 염계달 득음 터 음성 가섭사 가보니... 절벽 아래 ‘공터'

[10년간의 취재 기록-8] 염계달 득음 터 음성 가섭사 가보니... 절벽 아래 ‘공터'

가섭사 주지 상인 스님, “옛 스님들 말씀에 삼성각 주변 벽절 아래가 염 명창 득음터”
독공 장소로 추정된 작은 공터, ‘가로 4m, 세로 3m’… 득음 터 공간으로 제격

  • 승인 2021-04-07 14:03
  • 수정 2021-08-24 00:46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1
"저기가 염계달 명창의 소리 터입니다"...충북 음성군 가섭사(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 말사) 주지 상인 스님이 사찰 경내의 한곳을 가르키며 이렇게 얘기했다. 손도언 기자 k-55son@
"저기가 염계달 선생(판소리 명창)이 공부했던 곳이여" 고려후기 사찰인 충북 음성군 가섭사(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 말사) 주지 상인 스님은 손으로 사찰 경내의 한곳을 가르키며 이렇게 말했다.

지난 6일 실제 염계달 명창의 소리 터가 지금도 존재하는지, 음성 가섭사로 향했다. 가섭사를 품고 있는 음성 가섭산은 온통 바위로 이뤄졌다. 지금은 아스팔트 도로여서 차량으로 10여분 거리면 가섭사에 도착할 수 있지만, 신작로가 없었다면 가섭사 가는 길목은 험난했을 것이다.

가섭사는 해발 600m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사찰 일주문에 들어서자, 음성 시내가 한눈에 들어왔다. 사찰이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보니, 최고의 전망을 자랑했다.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보전은 천년고찰답게 웅장했다. 몇몇 신도들은 부처님오신날(5월 19일)을 대비해 등불 제작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었다. 가섭사 역시, 큰 바위로 둘러싸였다. 경내 극락보전은 바위 아래에 위치해 있었고, 삼성각도 바위 절벽 아래에 자리를 잡았는데 보기만 해도 아슬아슬했다.

가섭사는 고려말 공민왕 때 나옹선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이후 임진왜란 때 전소됐고, 일제강점기 때는 불에 탔다. 1980년 중반엔 대웅전이 무너지기도 했다. 삼성각은 1990년에 개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IMG_0594
충북 음성군 가섭사 삼성각 옆에 작은 공터가 있다. 이곳은 염계달 명창의 소리터로 알려졌다. 조선창극사는 염계달 명창이 '음성 벽절'에서 공부를 했다고 기록했다. 조선창극사의 기록과 음성 가섭사 삼성각 옆의 공터가 일치했다. 손도언 기자 k-55son@
그렇다면 조선시대 전기 8명창 중 한명이자, 판소리 '천재 소리꾼'로 불렸던 염계달 명창은 음성 가섭사 어느 곳에 터를 잡고 독공((獨工)을 이어갔을까.[본보 6일자= 10년간의 취재 기록-7] 충북 음성, 판소리 '천재 소리꾼' 염계달 명창을 길러냈다]

상인 주지스님은 삼성각 주변의 바위 절벽 아래 공터를 지목했다. 실제 작은 공터가 삼성각 주변에 위치해 있었다. 공터는 가로 4m, 세로 3m가량으로 한 사람이 이리저리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다.

공터 뒤편에는 큰 바위 아래로 절벽을 이뤘고, 아랫동네(음성 도심)가 훤히 내려다보였다. 공터는 사찰 요사채 위에 자리잡고 있었는데, 요사채에서 공터로 올라가는 계단은 이끼로 온통 덮여 오랜 세월의 흔적을 엿 볼 수 있었다. 이곳 공터가 염계달 명창의 '득음터'로 추정되는 곳이다.

판소리 역사책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노식의 조선창극사(25페이지~28페이지)에 따르면 염계달 명창은 충청도 '음성 벽절'에서 소리공부를 했다. 기록에는 충청도 '음성 벽절'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은 충북도 음성군 벽절을 말한다. 음성군의 벽절은 가섭사로 추정된다. 벽절은 가파른 산벽 아래를 뜻한다.

IMG_0601
음성 가섭사에서 바라본 음성 시내.  손도언 기자 k-55son@

음성 가섭사 주지 상인 스님은 "삼성각이 개축된 시기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며 "옛 스님 등의 말을 들어보면 '삼성각 자리가 염계달 명창이 소리터'라고 예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음성 가섭사의 한 신도는 "조상 대대로 절(가섭사)에 다녔는데, 어른들이 '벽절'에 가자고 하면 지금의 가섭사 가자는 얘기였다"며 "예전부터 가섭사는 벽절로 통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만영(조선시대 영조(1776년) 때 성리학자) 선생이 염계달 명창을 어전광대로 이끌었던 인물로 알고 있다"며 "어릴적 풍향 조씨 가문이 이런 얘기를 종종했다"고 설명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2. [대전다문화] 열대과일의 나라 태국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두리안을 즐기기 전 알아야 할 주의사항
  3. 배드민턴화, 기능과 착용감서 제품별 차이 뚜렷
  4. 약국 찾아가 고성과 욕설 난동 '여전'…"가중처벌 약사폭력방지법 시행 덜 알려져"
  5. 농촌 미래세대 캠프, 농업의 가치 재발견 기회
  1.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2. [인터뷰] 송호석 금강환경청장 "대청호 지속가능 관리방안 찾고, 지역협력으로 수해 예방"
  3. [대전다문화] 7월 17일 '제헌절', 대한민국 헌법이 태어난 날입니다
  4. [대전다문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5. 설동호 대전교육감 새 특수학교 신설 추진할까 "적극 검토"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대통령, 4일 취임 후 첫 대전 방문 ‘타운홀미팅’

이재명 대통령, 4일 취임 후 첫 대전 방문 ‘타운홀미팅’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취임 후 처음으로 대전을 방문한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전 유성구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를 주제로 타운홀 미팅 시간을 갖는다. 국민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자유롭게 토론과 질문을 하는 자리로,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비롯해 과학기술인 등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미팅은 사전에 참석자를 선정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전날인 3일 오후 2시 대통령실 홈페이지를 통해 행사 일정을 공개하고 행사 당일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300여 명을 참석시킨..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