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도 장군 안장식] 독립유공자 후손들 "유해 돌아와 기뻐… 정부 잘못한 것도"

  • 사회/교육
  • 국방/안보

[홍범도 장군 안장식] 독립유공자 후손들 "유해 돌아와 기뻐… 정부 잘못한 것도"

전국서 안장식 위해 방문… 안장식 과정 지켜봐
봉오동 수몰 전 '승전 전적비' 못찾은 정부 지적
"굉장히 중요한 유물, 우리 정부가 잘못한 것"

  • 승인 2021-08-18 16:30
  • 수정 2021-08-18 16:38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KakaoTalk_20210818_162416023
홍범도 장군이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된 18일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현장을 방문해 절을 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유해가 돌아와 기쁩니다."

서거 78년 만에 조국으로 돌아온 홍범도 장군이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된 18일 봉오동전투 당시 함께 전장에 나선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현장을 찾아 영면을 기원했다. 이들은 홍범도 장군 귀환에 대한 기쁨과 함께 정부에 대한 아쉬움을 전했다.

오전 11시 45분께 공식 행사 후 묘지 정비에 앞서 추모 발걸음이 이어진 가운데 독립유공자 후손이라고 자신들을 소개한 예닐곱 명이 동시에 절을 올렸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정부의 공식초청은 받지 못했지만 뜻깊은 날인 만큼 전국 각지에서 찾아온 것이다. 이들은 안장식 과정 내내 곁에 있으며 독립유공자 후손으로서 예를 갖추는 모습을 보였다.

KakaoTalk_20210818_162416023_03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홍범도 장군의 관이 하관 후 흙을 다지고 있다.
경기도 용인 등 전국에서 발걸음을 옮긴 독립유공자 후손들 중엔 홍범도 장군과 함께 봉오동 전투에 나선 장두관 애국지사의 아들 장세봉 씨도 있었다. 장두관 애국지사는 신흥무관학교 졸업 후 곧장 홍범도 장군이 이끄는 부대에 배치돼 장군과 함께 전장에 나선 인물이다.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이날 홍범도 장군의 유해 귀환을 기뻐하면서도 한편으론 아쉬움을 내비쳤다. 지금은 수몰돼 찾을 수 없는 봉오동전투 승전 전적비를 정부가 챙기지 못한 사실을 꼬집었다.

독립유공자 후손인 정종국 씨는 "봉오동 입구에 있었던 봉오동전투 승전 전적비가 있는데 그걸 오늘 함께 묘지에 놨어야 했다"며 "굉장히 중요한 유물인데 우리 정부가 잘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KakaoTalk_20210818_162416023_01
이 승전비는 현재 일대가 수몰돼 찾을 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마을 수몰 전 중국 정부가 독립운동가 후손에게 승전비를 가져가라고 했지만, 당시 경비 문제 등으로 가져오지 못한 것이다. 정 씨는 그러면서 "현재 수몰돼서 없다는 게 제일 아쉬운 점"이라며 "언젠가 복원하자는 생각은 하고 마지막 흔적으로 사진을 찍어 뒀다"고 설명했다.

이날 현장에서 후손들은 홍범도 장군이 애국지사로 결정된 데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로 분류할 수 있는데, 홍범도 장군을 순국선열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복을 하루 앞둔 1945년 8월 14일 이전 서거했다는 이유다.

한 후손은 "전투를 한 사람은 전투가 더 중요하다. 1945년 이전에 돌아가셨으면 순국선열로 해야 한다"며 "우리 정부가 일을 잘못 처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가보훈처는 이에 대해 "독립운동이나 전투 중 돌아가신 분에 한해 순국선열이라는 명칭을 붙인다. 전투나 투옥 중 후유증으로 인해 돌아가셨을 수도 있지만 그렇게 적용하면 범위가 너무 광범위해진다. 국가적 예우 차원에서 공식 명칭을 부를 땐 법률에 근거해 부여하는 것이라 어쩔 수 없다"고 전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2.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1. 제80차 동구포럼 ‘생활인구 유입을 위한 소제동.원동 활용 방안 모색’
  2. 우울증 완화 위한 노인맞춤돌봄 특화서비스 자조모임
  3. 상가 공실 해소될까… 세종시 상가용도 추가 완화 나서
  4. 다시 살펴본 '어진·나성·대평동' 상권 공실, 심각 그 이상
  5. 연암대-㈜그린플러스 MOU 체결

헤드라인 뉴스


대통령 방문에도 충청권은 빈손.... 실망감 커

대통령 방문에도 충청권은 빈손.... 실망감 커

이재명 대통령의 충청권 방문에 지역 현안 건의를 기대했지만, 개인 민원 소통 구간으로 전락하면서 지역 사회의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해양수산부 이전 문제가 거론되기는 했지만, 정부의 입장만 되풀이 하는 등 심도 있는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전·충남 통합과 충청권메가시티, CTX(충청광역급행열차), 대전교도소 이전 등 지역 현안은 논의테이블에 오르지도 못했다. 이 대통령은 4일 대전DCC에서 '충청에서 듣다, 충청 타운홀 미팅'을 열고 지역 연구자, 창업가, 자영업자, 노동자 등 다양한 시민들과 마주 앉아 과학기술 정책의..

충청 보수야권, "행정수도 혜택? 이 대통령 충청인 농락"… 부글부글
충청 보수야권, "행정수도 혜택? 이 대통령 충청인 농락"… 부글부글

충청 보수야권이 4일 대전을 찾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재확인한 이재명 대통령에게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과 함께 충청이 이미 행정수도 이전 혜택을 받았다는 이 대통령의 주장을 충청에 대한 철저한 배제, 행정수도 완성이란 국가적 약속을 뒤엎는 중대 사안으로 규정하고, 전면적인 투쟁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주제로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다. 전날인 3일 취임 30일 첫 기자회견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재확인한 것을 넘어 충청..

벼랑 끝까지 몰린 충청 자영업자... 폐업자 수 7만 4000명 넘어섰다
벼랑 끝까지 몰린 충청 자영업자... 폐업자 수 7만 4000명 넘어섰다

2024년 충청권에서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7만 4000명대를 넘어섰다. 폐업 사유를 사업 부진으로 답한 이들이 대다수인데,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여과 없이 드러나고 있다. 6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대전·세종·충남 사업자는 7만 4018명으로 집계됐다. 폐업자는 2020년 6만 4777명에서 2021년 6만 3543명, 2022년 6만 2710명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2023년 들어 7만 1923명으로 7만 명대를 처음으로 돌파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