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UCLG 대전 총회… 북한 도시들 참가할까

  • 정치/행정
  • 대전

2022년 UCLG 대전 총회… 북한 도시들 참가할까

허태정 시장, UCLG 유럽본부 등 대륙지부 방문 통해 조선도시연맹 참가 협조
냉각된 남북관계 회복하고 세계평화의 메시지 역할 기대

  • 승인 2021-10-26 12:00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악수
허태정 대전시장과 프레데릭 발리에르 사무총장. 사진=대전시 제공
2022년 대전에서 개최하는 ‘세계지방정부연합(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UCLG) 대전 총회’에 북한의 도시들이 참가할지 주목된다.

남북화해 무드가 최고조에 달했던 2018년 이후 급격히 냉각된 남북 관계를 녹여낼 수 있는 온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반도는 물론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미 통일부와 북한 도시 참가를 위한 협의에 착수한 대전시가 대전 총회가 세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럽을 비롯해 UCLG 대륙지부에 구체적인 협조 요청에 나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2022 UCLG 대전 총회 성공 개최를 위해 유럽을 방문 중인 허태정 대전시장은 25일 오전 10시 30분(현지 시간) 국제외교의 중심지인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 있는 UCLG 유럽지역본부(CEMR: Council of European Municipailties and Regions)를 방문해 ‘프레데릭 발리에르’(Frederic Vallier) 사무총장과 면담했다.



KakaoTalk_20211026_061930306_07
허태정 대전시장이 25일 오전(현지시각)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UCLG 유럽지역본부 사무실을 방문해 프레데릭 사무총장 등에게 대전 총회 성공 개최를 위한 협조를 구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이 자리에서 허태정 시장은 “한반도가 세계 평화의 상징이 되는 날이 빨리 오기를 희망한다”며 “이를 위해 내년 총회에 조선도시연맹이 참가해 세계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말했다. 조선도시연맹은 북한에 있는 도시들의 연맹기구로, 한국의 전국시·도지사협의회와 유사한 조직이다.

이에 프레데릭 총장은 “우리도 논의한 적이 있다. 유럽은 민주주의를 옹호하고 있어 북한을 우호적으로 생각하진 않지만, 왜 북한 참여를 원하는지 충분히 이해한다. 총회를 통해 북한의 평화와 민주화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좋을 것이라고 본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물론 북한과도 같이 하고 싶다. 북한이 참석한다면 당연히 기쁠 것이다. 우리는 (한국, 대전시와 함께) 북한을 직접 방문해 참가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 성사되면 세계 평화에 강력한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했다.

허태정 시장은 “한국은 경제적으로 성장과 많은 변화를 이뤄냈다. 하지만 남과 북의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며 “국민이 간절히 염원하고 있기에 조선도시연맹이 참석한다면 큰 관심을 모을 것이다. 기회가 된다면 함께 북한을 방문해 참석을 요청하고 싶다”고 말했다.

KakaoTalk_20211026_061930306_04
허태정 대전시장과 이형종 대전시 국제관계대사. 사진제공=대전시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2050 탄소중립’을 총회의 주요한 의제로 삼자는 이형종 대전시 국제관계대사의 제안에 대해, 프레데릭 총장은 “굉장히 중요한 의제다. 유럽 도시들도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노력하고 있고, 각국의 시장들이 매우 흥미로워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허태정 시장은 “대전총회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첨단 국제회의는 물론 K-POP 콘서트, 드론쇼 등 문화행사와 볼거리, 즐길 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유럽 회원 도시들이 대거 참가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다.

프레데릭 총장은 "11월 19일 유럽 CEMR 회의에서 대전시를 소개하는 시간을 마련해 많은 도시가 참여할 수 있는 역대 최대 규모의 행사가 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며 "내년 총회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국제 도시외교의 계기는 물론 대한민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큰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UCLG 대전 총회는 2022년 10∼11월 중 5일간 대전컨벤션센터 일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140여 개국 1000여개 도시에서 5000여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akaoTalk_20211026_061930306_03
사진제공=대전시
세계지방정부연합은 세계의 도시, 지방과 지방정부, 지방자치단체를 위한 포괄적 국제조직이다. 회원은 UN 193개 회원국가 중 140개국의 25만 여개 지방자치단체와 175개 지자체 협의체로 구성돼 있다. 한국에서는 서울과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등 광역시와 경기,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등 광역시·도를 비롯해 고양, 당진, 전주, 군산, 구미, 안동, 창원, 전국시·도지사협의회 등 23개 지자체가 회원이다.

벨기에 브뤼셀=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3.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4. [새책] 지역을 살리는 아름다운 선택, 고향사랑 기부제의 해답은?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대전국제회의복합지구,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시범 운영
  2.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3. 충남 중학교 교사 극단적 선택… 교원단체 "순직 인정 필요"
  4. '포스트 추석' 충청 정가… 본격 지선 체제 돌입
  5. 대전·세종, 박물관·미술관 전국 꼴찌…'문화의 변방' 전락

헤드라인 뉴스


정년 보장에도 중견교사 그만둔다…충청권 국·공립초 명예퇴직자 증가

정년 보장에도 중견교사 그만둔다…충청권 국·공립초 명예퇴직자 증가

최근 충청권 국·공립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다 정년을 채우지 않고 중간에 그만둔 교사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단을 지탱할 '허리' 연차에서 명예 퇴직자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열악한 처우 개선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강동구갑)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충청권 4개 시도 국·공립 초등학교 명예 퇴직자는 2020년 161명, 2021년 172명, 2022년 205명, 2023년 265명, 2024년 288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같은..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여야는 유난히 길었던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바닥 민심을 전하면서 뜨겁게 격돌했다. 집권 여당 더불어민주당은 소비쿠폰 효과 등 이재명 정부의 경제 부양 노력을 부각했고 국민의힘은 대통령 예능 출연 등을 지렛대로 정권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지고 있다고 맞섰다. 충청 여야가 극과 극의 민심을 전한 것은 다음 주 국정감사 돌입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대격전지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인 박정현 의원(대전대덕)은 "재래시장을 돌면 여전히 지역화폐와 민생회복 쿠폰이 도움이 됐다는 이야..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의 30년 이상된 노후주택 비율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전국 노후주택관리에 관한 입법조사를 의뢰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전체주택 1987만 2674호 중 30년 이상이 지난 노후주택의 수는 557만 4280호로 조사됐다. 전국 노후주택 평균 비율은 28.0%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전의 노후주택 비율은 36.5%(전체주택 52만 3823호 중 19만 1351호)로 전남(4..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

  •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