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리포트 충청지대⑯] 역대 지방선거 동구 민심 향배는?

  • 정치/행정
  • 국회/정당

[2022 리포트 충청지대⑯] 역대 지방선거 동구 민심 향배는?

  • 승인 2021-11-10 11:42
  • 수정 2021-11-18 13:37
  • 신문게재 2021-11-11 10면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컷-2022충청지대




6대에서 7대로 1만 명 줄어든 선거인수 '용운동'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

민주당이 가장 힘 못 쓰는 지역은 동구의 '중앙동'과 '대청동'으로 꼽혀


 

2021080301000238800007916
2022년 6.1 제8대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동구 민심의 향배를 예측해본다.

현재 야권이자 기존 보수층에선 동구를 보수 텃밭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선거 때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변수 작용이 큰 지역인 만큼 여야 모두 긴장의 끈을 놓을 순 없는 지역이다. 민주당의 경우 최근 연이은 선거에서의 승리와 함께 대전 전체의 승리를 견인한 곳이지만, 행정동별로 분석했을 때 다수 동이 여전히 보수층이 강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내년 지방선거에서의 선거결과를 예측하게 하는 요인과 과거 선거에서의 동구민의 표심과 최근 흐름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주>

▲6대에서 7대로, 1만명 줄어든 선거인 수 어디가 가장 크게 줄었나
전국적으로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총 선거인도 꾸준하게 줄어들고 있다. 단 1표 차이로도 선거 결과가 좌지우지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제7회 지방선거 인구는 제6회 선거 때에 비해 1만 명이 감소했다. 제6회 지방선거의 선거인 수는 20만 2671명이었으나, 4년 만에 돌아온 제7회 지방선거에선 1만 명이 줄어 19만 1362명이 됐다.

자치구 중 동구의 선거인 수만 살펴보자면, 대다수 1000명 정도가 감소했다. 그중에서도 큰 폭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곳이 용운동이다. 용운동은 제6회 지방선거까지만 해도 선거인 수가 1만 6186명이었으나, 제7회 지방선거에서는 1만 3748명이 됐다. 3000명 가까운 선거 인구가 감소한 상황이다.



이어 중앙동이 6345명에 5002명(1343명 감소)으로, 신인동이 1만 695명에서 1만 513명(182명 감소)으로, 효동이 2만 350명에서 1만 9506명(844명 감소)으로, 판암1동이 8450명에서 7627명(823명 감소)으로, 판암2동이 9345명에서 8542명(803명)으로 줄어들었다.

대동은 1만 575명에서 9691명으로, 자양동은 9731명에서 9502명으로, 가양동은 1만 2873명에서 1만 1791명으로, 가양2동은 1만 7388명에서 1만 6377명으로, 용전동은 1만 7150명에서 1만 6849명으로, 성남동은 1만 1352명에서 1만 557명으로, 홍도동은 1만 471명에서 9717명으로, 삼성동은 1만 4174명에서 1만 2459명으로 대청동은 2477명에서 2192명으로 감소했다.

유일하게 선거인 수가 늘어난 곳은 산내동이다. 산내동은 제6회 때 1만 5703명에서 제6회 때는 1만 5898명으로 약 100명이 늘어났다.

효동
동구 전경 일부
▲민주당 약세 지역, 중앙동과 대청동 이번엔? 6·7대 두 곳 모두 보수당지지
동구는 보수 지역이라고 불릴 만큼 민주당이 약세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가장 민주당이 힘을 못 쓰는 지역은 '중앙동'과 '대청동'이다.

제7회 지방선거 시·도지사 선거 때만 보더라도 중앙동은 더불어민주당이 아닌 자유한국당 지지자가 많았다. 민주당의 득표수는 993개인 반면 한국당 득표수는 1072개였다. 대청동 또한 민주당 득표수는 438개였으나 한국당 득표수는 602개로 160개가량이 많았다.

이는 6회 때도 같은 현상을 보였다. 6회에서 중앙동은 새누리당 득표수가 1697개였고, 새정치민주연합은 1092개였다. 대청동도 새누리당은 756개, 새정치민주연합은 471개로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6회 지방선거에서는 동구의 16개 동 중 12개가 새누리당 득표율이 높았다.

유일하게 4개의 동만이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율이 높았는데, 효동과 용운동, 성남동, 산내동이 해당한다. 효동은 새누리당 득표수가 4632개인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득표수는 5524개였다. 용운동은 새누리당 3874개, 새정치민주연합이 3914개였으며, 성남동은 새누리당이 2720개, 새정치민주연합이 2819개였다. 산내동은 새누리당이 3667개, 새정치민주연합이 4066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몰아주기 동구, 진보도 보수도 아니다
사실 동구는 보수의 색이 강한 지역이란 이미지가 강했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완벽하게 보수당을 지지한다고 단정 지을 순 없다. 제6회 지방선거 시·도지사 선거에선 16개 동 중 12개 동이 새누리당을 더 많이 지지했으나, 제7회 지방선거에선 완전히 판이 뒤집혔다. 중앙동과 대청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선 민주당 지지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제7회 지방선거 시·도지사 선거에서 신인동은 민주당 득표수는 3147개, 한국당은 2240개였으며, 효동은 민주당이 6133개고 한국당이 3378개였다. 판암1동은 민주당이 2092개, 한국당이 1562개, 판암2동은 2099개, 한국당이 1747개, 용운동은 민주당이 3852개, 한국당이 245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대동은 민주당 2379개, 한국당 1888개이며, 자양동은 민주당이 2281개, 한국당이 1610개였으며, 가양1동은 민주당이 3078개, 한국당은 2270개, 가양2동은 민주당이 4172개, 한국당은 2765개, 용전동은 민주당이, 4205개 한국당이 2662개, 성남동은 민주당이 3070개, 한국당이 1958개, 홍도동은 민주당 2567개, 한국당은 1737개, 삼성동은 민주당 3445개, 한국당은 2490개, 산내동은 민주당 4648개, 한국당은 2724개였다. /이현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동진 건양사이버대 총장, 원대협 14대 회장 취임 “원대협법 국회통과 총력"
  2. 백석대 레슬링팀, 제49회 전국대학레슬링선수권대회 '메달 싹쓸이'
  3. 천안시청소년재단-이천시청소년재단 업무협약 체결
  4. 천안법원, 만취 상태서 충돌사고 내고 도주한 30대에 '징역 1년'
  5. 천안시립교향악단, 9월 3일 신진연주자 '협주곡의 밤' 개최
  1. 천안도시공사 북부스포츠센터, '시니어 트로트댄스' 조기 마감
  2. 천안동남경찰서, 동천안우체국 직원 대상 교통안전교육 실시
  3. 단편영화인과 대전시민들의 축제 개막…31일까지 엑스포시민광장서 상영
  4. 천안시골프협회, '2025 천안시장배 및 협회장배 골프대회' 성료
  5. 천안시, 아동학대 대응·보호 협력체계 강화…민관 합동 워크숍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1일부터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에 돌입하면서 충청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골든타임에 돌입했다는 지적이다.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등 연내 통과는 물론 대정부질문을 통해 이재명 정부를 상대로 충청 현안 관철을 확답받을 수 있도록 지역 민·관·정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전 트램 등 현안 예산 증액도 이번 정기국회에서 발등의 불인데 한층 가팔라진 여야 대치로 충청 현안들이 뒷전으로 밀리는 것은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국회는 1일 오후 2시 본회의장에서 정기국회 개회식을 열고 100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같은 달 9·1..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세종시 누리동(6-1생활권) 입지만 정한 '디지털 미디어단지(언론단지)'. 문재인·윤석열 전 정부로 이어지면 정책 공약으로 남겨져 있으나 빈 수레가 요란한 형국이다. 당초 계획상 토지 공급은 2025년 올해였다. 2021년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수도권 일간지 4개사와 방송 7개사, 통신 1개사부터 지방까지 모두 17개사가 너도나도 양해각서만 체결했을 뿐, 실체는 온데간데 없다. 당시만 해도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완공이 2027년을 향하고 있었으나 이마저도 각각 2033년, 2029년으로 미뤄져 앞날은 더더욱 안개..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내년 제9회 지방선거를 앞둔 여야 대전시당이 조직 정비와 인재 양성 등 지선 체제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지방권력을 차지하려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지역에 3당 구도 안착을 목표로 한 조국혁신당까지 공격적으로 나서면서 경쟁에 불이 붙는 모양새다. 먼저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은 8월 31일 중구문화원 뿌리홀에서 대전·세종 제2기 정치아카데미를 개강했다. 2기 아카데미에는 내년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 등 80여 명의 수강생이 등록했다. 첫 강의는 최강욱 전 국회의원이 '이로운 보수, 의로운 진보'라는 주제로 수강생들과 만났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