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리포트 충청지대⑯] 역대 지방선거 동구 민심 향배는?

  • 정치/행정
  • 국회/정당

[2022 리포트 충청지대⑯] 역대 지방선거 동구 민심 향배는?

  • 승인 2021-11-10 11:42
  • 수정 2021-11-18 13:37
  • 신문게재 2021-11-11 10면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컷-2022충청지대




6대에서 7대로 1만 명 줄어든 선거인수 '용운동'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

민주당이 가장 힘 못 쓰는 지역은 동구의 '중앙동'과 '대청동'으로 꼽혀


 

2021080301000238800007916
2022년 6.1 제8대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동구 민심의 향배를 예측해본다.

현재 야권이자 기존 보수층에선 동구를 보수 텃밭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선거 때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변수 작용이 큰 지역인 만큼 여야 모두 긴장의 끈을 놓을 순 없는 지역이다. 민주당의 경우 최근 연이은 선거에서의 승리와 함께 대전 전체의 승리를 견인한 곳이지만, 행정동별로 분석했을 때 다수 동이 여전히 보수층이 강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내년 지방선거에서의 선거결과를 예측하게 하는 요인과 과거 선거에서의 동구민의 표심과 최근 흐름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주>



▲6대에서 7대로, 1만명 줄어든 선거인 수 어디가 가장 크게 줄었나
전국적으로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총 선거인도 꾸준하게 줄어들고 있다. 단 1표 차이로도 선거 결과가 좌지우지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제7회 지방선거 인구는 제6회 선거 때에 비해 1만 명이 감소했다. 제6회 지방선거의 선거인 수는 20만 2671명이었으나, 4년 만에 돌아온 제7회 지방선거에선 1만 명이 줄어 19만 1362명이 됐다.

자치구 중 동구의 선거인 수만 살펴보자면, 대다수 1000명 정도가 감소했다. 그중에서도 큰 폭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곳이 용운동이다. 용운동은 제6회 지방선거까지만 해도 선거인 수가 1만 6186명이었으나, 제7회 지방선거에서는 1만 3748명이 됐다. 3000명 가까운 선거 인구가 감소한 상황이다.



이어 중앙동이 6345명에 5002명(1343명 감소)으로, 신인동이 1만 695명에서 1만 513명(182명 감소)으로, 효동이 2만 350명에서 1만 9506명(844명 감소)으로, 판암1동이 8450명에서 7627명(823명 감소)으로, 판암2동이 9345명에서 8542명(803명)으로 줄어들었다.

대동은 1만 575명에서 9691명으로, 자양동은 9731명에서 9502명으로, 가양동은 1만 2873명에서 1만 1791명으로, 가양2동은 1만 7388명에서 1만 6377명으로, 용전동은 1만 7150명에서 1만 6849명으로, 성남동은 1만 1352명에서 1만 557명으로, 홍도동은 1만 471명에서 9717명으로, 삼성동은 1만 4174명에서 1만 2459명으로 대청동은 2477명에서 2192명으로 감소했다.

유일하게 선거인 수가 늘어난 곳은 산내동이다. 산내동은 제6회 때 1만 5703명에서 제6회 때는 1만 5898명으로 약 100명이 늘어났다.

효동
동구 전경 일부
▲민주당 약세 지역, 중앙동과 대청동 이번엔? 6·7대 두 곳 모두 보수당지지
동구는 보수 지역이라고 불릴 만큼 민주당이 약세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가장 민주당이 힘을 못 쓰는 지역은 '중앙동'과 '대청동'이다.

제7회 지방선거 시·도지사 선거 때만 보더라도 중앙동은 더불어민주당이 아닌 자유한국당 지지자가 많았다. 민주당의 득표수는 993개인 반면 한국당 득표수는 1072개였다. 대청동 또한 민주당 득표수는 438개였으나 한국당 득표수는 602개로 160개가량이 많았다.

이는 6회 때도 같은 현상을 보였다. 6회에서 중앙동은 새누리당 득표수가 1697개였고, 새정치민주연합은 1092개였다. 대청동도 새누리당은 756개, 새정치민주연합은 471개로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6회 지방선거에서는 동구의 16개 동 중 12개가 새누리당 득표율이 높았다.

유일하게 4개의 동만이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율이 높았는데, 효동과 용운동, 성남동, 산내동이 해당한다. 효동은 새누리당 득표수가 4632개인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득표수는 5524개였다. 용운동은 새누리당 3874개, 새정치민주연합이 3914개였으며, 성남동은 새누리당이 2720개, 새정치민주연합이 2819개였다. 산내동은 새누리당이 3667개, 새정치민주연합이 4066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몰아주기 동구, 진보도 보수도 아니다
사실 동구는 보수의 색이 강한 지역이란 이미지가 강했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완벽하게 보수당을 지지한다고 단정 지을 순 없다. 제6회 지방선거 시·도지사 선거에선 16개 동 중 12개 동이 새누리당을 더 많이 지지했으나, 제7회 지방선거에선 완전히 판이 뒤집혔다. 중앙동과 대청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선 민주당 지지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제7회 지방선거 시·도지사 선거에서 신인동은 민주당 득표수는 3147개, 한국당은 2240개였으며, 효동은 민주당이 6133개고 한국당이 3378개였다. 판암1동은 민주당이 2092개, 한국당이 1562개, 판암2동은 2099개, 한국당이 1747개, 용운동은 민주당이 3852개, 한국당이 245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대동은 민주당 2379개, 한국당 1888개이며, 자양동은 민주당이 2281개, 한국당이 1610개였으며, 가양1동은 민주당이 3078개, 한국당은 2270개, 가양2동은 민주당이 4172개, 한국당은 2765개, 용전동은 민주당이, 4205개 한국당이 2662개, 성남동은 민주당이 3070개, 한국당이 1958개, 홍도동은 민주당 2567개, 한국당은 1737개, 삼성동은 민주당 3445개, 한국당은 2490개, 산내동은 민주당 4648개, 한국당은 2724개였다. /이현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3. 상명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선서식 개최
  4.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5. 천안시보건소, '생명존중 안심마을' 4곳 지정
  1. 한기대 STEP, '열정 가득' 온라인 서포터즈 3기 출범
  2. 나사렛대, 기아자동차 정주훈 상무 초청 '경영인의 날' 성료
  3. 충남창경센터, 'The Future with AX Forum' 개최
  4. 한기대, 충남경제정책 경연대회 우수상·장려상
  5. 천안법원, 만취상태로 차 들이받아 상해입힌 50대 여성 벌금형

헤드라인 뉴스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유성복합터미널을 운영할 주체가 최근 결정되면서 대전 시민들의 고속·시외버스 운송체계가 동구 용전동과 유성구 구암동의 두 개의 복합터미널의 양강 체계로 전환될 전망이다. 대전교통공사는 11월 19일 주식회사 루시드 및 금호고속주식회사와 유성복합터미널의 공동운영사로 결정하고 5년에 추가 5년 연장 가능한 계약을 체결했다. 유성복합터미널은 2010년부터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으로 4차례 추진했으나 모두 실패하고, 2020년 대전시의 공영개발로 전환됐다. 시가 사업비 449억 원을 투입해 버스 15대가 동시에 승객을 승하차하는 플랫폼을 갖추고..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말부터 전국에서 누리호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4차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고양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7일 오전 12시 54분에서 1시 1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누리호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다. 발사 예비 기간은 이날부터 12월 4일까지며 이 기간 중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된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늦은 시간 진행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의 궤도 진입을 고려한 시간이다...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기름값은 고유가 행진을 이어가 주목된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고환율로 인한 원유 수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보다 ℓ당 25.80원 오른 1729.72원을 기록했다. 경유는 38.54원 오른 1636.57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은 4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내 기름값도 10월 넷째 주를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