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선희 대전예술의전당 관장 |
'개미와 배짱이'로 길들여진 관점의 전복이 신선하다는 고백이 있는가 하면 몽상가에 대한 불편한 시선을 내비치는 현실파도 존재하는 독후감들과 달리 나에게 '프레드릭'은 개인의 미적 경험과 창조적 행위가 공동체에 수용되고 포용과 연대가 일어나는 과정을 보여주는 멋진 은유로 읽힌다. 예술의 가치, 그 특별한 힘을 어떤 이론이나 연구보다 설득력 있게 보여주는 따뜻한 이야기이다.
예술의 가치는 인류의 오랜 탐구 주제였다. 우리의 먼 조상이 동굴에 벽화를 그린 이래, 인간의 역동성을 담아내는 예술에 대한 정의와 더불어 인간 사유의 최전선을 차지해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의 효과를 카타르시스, 즉 인간 영혼의 정화로 꼽았다. 톨스토이는 예술은 감응을 통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한다고 말했다. 예술의 가치가 무엇인지 실증적 파악을 시도 했던 영국예술위원회는 2006년 대토론회를 개최한 결과로 예술은 삶을 살아가기 위한 기본적 역량이고 삶의 경험을 풍요롭게 하며 예술외적 다양한 맥락 속에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고 중요성을 제시했다.
영국의 예술과 인문연구위원회(Arts & Humanities Research Council)가 3년간 수행한 문화가치프로젝트(Cultural Value Project)를 마치고 2016년 발표한 결과에서도 예술과 인간 삶의 긍정적 상관성을 읽을 수 있다. 예술의 개인적 경험에 주목한 연구 결과 중 유의미한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문화예술의 향유는 성찰적 개인을 형성한다. 자신의 삶에 더 깊은 이해를 촉진하고 타인에 대한 존중과 공감 제고, 인간의 경험과 문화의 다양성을 깨닫게 함으로 성찰에 이르게 한다. 둘째, 참여적 시민을 만든다. 시민적 행동의 제고와 대안의 제시 등 폭넓은 상상력으로 민주주의 기초인 참여적 시민을 만든다. 셋째, 교육과 관련 자신감, 동기부여, 문제해결력, 소통의 기술 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림책으로 돌아오면, '프레드릭'은 예술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것을 돕고 공동체에 활력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예술은 특별한 힘, 가치가 있다고 이 사회구성원이 동의하고, 지향하는 최소 지점을 그림책은 잘 포착했다.
그러나 그림책 속 프레드릭의 '양식'이 오랫동안 잠재적 가치 상태로 있던 것에서 짐작할 수 있듯 예술은 존재 자체로 자신이 지닌 힘, 가치를 증명하기 어렵다. 누군가 알아보고 삶으로 소환해 향유하는 맥락 속에서 결국 수용자와 관계 맺고 영향을 발휘하는 순간에야 존재가 확인되고 가치가 드러난다. 친구들이 '네 양식들은 어떻게 되었니? '묻는 관심의 순간이 가치의 폭발을 유도하는 화학작용의 시작이다.
예술의 특별한 힘을 경험하면 삶이 변화한다. 프레드릭과 그의 친구들처럼. 예술 속에 숨은 힘을 불러내고 마주하는 기회와 시간이 우리 삶에 더 자주 있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