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과학의 날] '대한민국 과학축제' 대전 개최 등 즐길거리 풍성

  • 경제/과학
  • 대덕특구

[2023 과학의 날] '대한민국 과학축제' 대전 개최 등 즐길거리 풍성

  • 승인 2023-04-20 17:48
  • 신문게재 2023-04-21 22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 출범 50주년을 맞이한 2023년 4월 과학의 달은 그 어느 때보다 즐길거리가 풍성한 한 달이다. 과학수도 대전을 중심으로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열리면서 과학기술의 중요성과 재미를 알리고 있다.





▲대전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과학축제='2023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수도권이 아닌 대전에서 즐길 수 있다. 대전시는 대덕특구 출범 50주년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3 대한민국 과학축제'를 대전에 유치했다. 27일부터 30일까지 엑스포시민광장과 엑스포과학공원, 대덕특구 일원에서 3박 4일간 진행된다.

올해로 27회를 맞이한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과학의 무한한 가능성을 만나다'라는 주제로 전시·체험·프로그램·이벤트·지역연계 프로그램 등으로 다채롭게 꾸며진다.

대전시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축제 기간 대한민국 12대 국가전략기술 성과 전시와 대덕특구 50주년 특별전, 과학강연·공연, 차세대 모빌리티 시승 체험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한다. 특별히 대덕특구에서만 가능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과 KAIST 등 탐방투어도 마련된다.
‘2023 대한민국과학축제’대전에서 열린다04
2022년 대한민국 과학축제 모습
clip20230416115434
축제 기간 진행되는 과학융합콘서트에는 다양한 과학기술 전문가와 커뮤니케이터가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김대식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챗GPT에게 묻는다, 인류의 미래란'을 주제로 강연하고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는 '우주 미션 이야기'를 주제로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는다. 최재천 생명다양성재단(이화여대 석좌교수) 대표·원종우 과학과 사람들 대표·이서영 SF작가가 '다윈으로 이야기하는 인류의 미래와 진화'에 대해, 개그맨 김수용이 '수드래곤'으로서 들려주는 '쓸모없는 도전으로 알아가는 긱블의 과학이야기'에 대해 각각 강연도 진행한다. 이밖에도 한재권 한양대 교수가 '인간을 구하는 로봇'에 대해 이야기하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박정호 박사와 김희선 작가, 과학커뮤니케이터 지웅배 연세대 은하진화연구센터 연구원, 금종해 고등과학원 교수, 송만호 유미과학문화재단 이사장·안중호 안동대 교수의 과학 강연이 준비된다.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 라이브와 '뿅뿅 과학오락실'(과락실) 공연 등도 즐길 수 있다.



이번 축제 기간 또 하나의 볼거리는 각 출연연을 대표하는 마스코트 캐릭터들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의 파동이·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의 억도리·한국화학연구원의 케미·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의 큐리언스·한국기계연구원의 에디와 친구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키온, 클라온, 내온을 한자리서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축제 기간 마련된다.



건물 전경 드론 (6)
국립중앙과학관 전경
▲국립중앙과학관 '봄사이언스데이', IBS '아트 인 사이언스'=매년 과학의 달 4월을 맞아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는 국립중앙과학관은 올해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제50회 봄 사이언스대회를 21일과 22일 이틀간 과학관에서 개최한다. 전시관 미션 투어와 과학체험부스, 공연과 특별이벤트, 과학문화공연, 과학강연과 샌드아트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행사 기간 전시관 속 과학퀴즈를 풀어 과제를 수행하거나 스탬프 지도를 완성하면 경품이 주어진다. 중앙광장에선 대전시민천문대·대전기상청·원자력연 등 다양한 기관이 참여하는 과학체험부스가 마련되며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각종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뫼비우스 띠 광장과 중앙볼트 등에선 젊은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혼성합창단 '대덕이노폴리스 싱어즈'의 합창공연과 KAIST 응원단 ELKA, 서구 청소년 드림오케스트라, 대전시민천문대 어린이합창단, 한남대 중앙밴드 '스플린' 등의 공연도 진행된다.

과학강연에는 심채경 한국천문연구원 박사와 박영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양진석 EBS·이투스 선생님, 임소정 과학커뮤니케이터 겸 작가가 각각 강연을 진행한다. 강연은 사전 예약과 일부 현장 선착순으로 들을 수 있다.

기초과학연구원(이하 IBS)은 기관 대표 과학예술 융복합 프로젝트인 'IBS 아트 인 사이언스'(Art in Science)를 3년 만에 과학문화센터에서 개최한다. IBS는 2015년부터 과학자들이 연구과정에서 발견한 예술적 순간을 아트 인 사이언스 전시로 선보이고 있다. 27일부터 과학문화 1층 전시관과 3층 사이언스 라운지에서 개최되는 이번 전시에선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대국민 공모전 수상작을 만날 수 있다. 임효인 기자

드론 전경 (1)
대덕특구 내 국립중앙과학관 전경. 과학관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계획변경 공청회 9월 4일 개최
  2. 장원토건 시공… 대전보건대 여자 기숙사 건립공사 1년 9개월 만에 재개
  3. 대전 아파트 신축 중 근로자 추락사 원·하청대표 각각 '실형'
  4. 與, 특별법 속도전? 로우키? 行首완성 의지 가늠
  5.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1. [사건사고] 홍성 공장 근로자 기계 끼임사고·고속도로 연쇄추돌
  2. [홍석환의 3분 경영] 일할 맛
  3. 정부 R&D 예산 확대 시사에 대전시 '화색'
  4. 대전 바이오산업의 AI 융합 혁신 성장 전략 도출
  5. 2026년 R&D 예산 최대 증가에 과학기술계 "환영… 연구 생태계 정상화 시그널"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법 전면 재정비 필요성… 제주·전북·강원특별법과 대조

세종시법 전면 재정비 필요성… 제주·전북·강원특별법과 대조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세종시의 특별법은 2011년 3월 국회 문턱을 넘어 현실과 이상에 맞게 잘 적용되고 있을까. 시 출범 후 13년을 보낸 2025년 이에 대한 전면 재정비 필요성이 시의회로부터 제기됐다. 이순열(어진·도담동) 시의원은 25일 제100회 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세종시 발전의 기둥인 세종시특별법의 중요성을 되짚어보고, 시대적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한계와 개정 필요성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세종시가 법률적 토대 위에 건설되고 성장하고 있는 도시이고, 세종시법은 이의 주춧돌이나 행정수..

최교진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9월 2일
최교진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9월 2일

이재명 정부 초대 교육부 장관 후보인 충청 출신 최교진(53년생) 세종특별자치시 교육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9월 2일 열린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25일 오전 전체 회의를 열고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요청안과 인사청문회 실시계획서, 자료제출 요구안, 증인·참고인 출석요구안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여야 교육위원들은 청문회를 위해 모두 43개 기관에 1075건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앞서 8월 19일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교육 발전에 40여년 이상 헌신하며 오랜 교육 현장 경험과 폭넓은 행정 역량을 갖추고..

내달 대전·세종·충남 아파트 입주물량 0건… 전국도 한달 새 33% 감소
내달 대전·세종·충남 아파트 입주물량 0건… 전국도 한달 새 33% 감소

내달 대전과 세종, 충남지역에 입주 물량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입주 물량도 전달보다 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5일 부동산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9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만 1134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이달 물량인 1만 6549세대 대비 33% 감소한 수치다. 내달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5695세대로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이달(9655세대)과 견줘 약 41% 줄었다. 지방 입주 예정 물량은 5439세대로, 이달(6894세대)보다 약 21% 적은 수준이다. 지역별 입주 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 대천해수욕장 폐장일에도…막바지 피서객 ‘북적’ 대천해수욕장 폐장일에도…막바지 피서객 ‘북적’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