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마음 가꾸기, 강세황의 <청공도(淸供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마음 가꾸기, 강세황의 <청공도(淸供圖)>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3-05-1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사람이 일만하고 살 수는 없다. 경제활동 이외의 자유로운 시간이 필요하다. 휴식도 취하고, 취미활동, 자기관리, 사교도 해야 한다. 여가(餘暇)라고 부르지만, 실은 남는 시간이 아니다. 하세월 기다린다고 찾아오지 않는다.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선현들은 무엇으로 여가를 즐겼을까? 김홍도의 <포의풍류도>, 장승업의 <백물도권> 감상에서 그림에 나타나는 기물을 통해 일련의 마음 가다듬기를 음미해본 일이 있다. 그에 따르면 독서와 고동소화(古董書? : 오래된 골동품, 글씨, 그림 등의 수장애완물)의 감상이 주였으며 풍류도 빼 놓을 수 없다. 문밖에 나서면 뜨락을 가꾸어 즐겼다. 뜰, 원림(園林), 정원(庭園)이라고도 한다. 원림은 자연에 약간의 인공을 가하거나 집안으로 끌어들인 것이요, 정원은 뜰이나 집주위에 하는 조경이란 의미가 강하다. 미관상 또는 실용 목적이다. 서양은 기하학적, 동양은 자연친화적 자연스러움을 우선하여 조성한다.

지금도 일부에서 뜨락을 꾸미고 가꾸며, 고동서화 또는 문화예술을 즐긴다. 대부분은 여가가 없다고 한다. 즐길 줄 모른다는 것이 안타깝다. 또 하나 아쉬움이 있다. 진지하지 못하고 너무 늦었다, 비직업적이라 강조하며 대충하려는 것이다. 30년이 짧은 시간이 아니다. 퇴직하고 30년이 지난 어느 노인의 말이다. '자랑스럽게 은퇴한 이후, 그저 고통 없이 죽기만 기다린 것이 비통하고 후회스럽다.' 더 훗날 후회하지 않도록 계획 세우고 실천한다 했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이른 때라 하지 않는가?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과거 비직업적 화가가 그린 그림이 문인화이다. 결코 직업화가의 그것에 뒤지지 않는다. 지향점이 서로 다르다. 외려 조선시대에는 문인화가 더 대우받았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누구나 즐겼다. 미술뿐인가? 글도 마찬가지다. 중인, 평민이 대거 참여한 것이 여항문학(閭巷文學)이다. 여타 예술분야도 다르지 않다. 악기 하나정도는 누구나 다룰 줄 알았으며, 노래, 무용 등 풍류를 즐겼다. 품격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했다. 물론, 격에 고저가 있는 것이 아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서로 다른 품격이 있을 뿐이다.



창작 활동은 하지 않더라도 감상하고 즐겼다. 고동서화를 즐기면 인간 내면이 정화된다고 생각했다. 인류 구원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서재에 향 피우고 밝은 햇볕을 받으며 서안(書案)위에 옛 서화 올려놓고 감상하는 것을 문방청완(文房淸玩)이라 한다. 옛 사람 사이에서 최고 호사로 대우 받았다.

여의
청공도, 강세황, 비단에 담채, 23.3×39.5㎝, 선문대학교박물관 소장
그림은 강세황(姜世晃, 1713 ~ 1791)의 <청공도(淸供圖)>이다. 강세황은 시·서·화 삼절(三絶)로, 당시 화단 '예원의 총수'로 알려진 인물이다. 작가이며 평론가인 것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사전>에 의하면, 한국적 남종문인화풍(南宗文人畵風) 정착에 크게 기여하였다. 진경산수(眞景山水)의 발전, 풍속화와 인물화의 유행, 새로운 서양 화법의 수용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습기(習氣)와 속기(俗氣)가 없는 글씨와 그림을 추구했다.

<청공도>는 서재에 필요한 각종 문구류를 그린 작품이다. 화제에 의하면 '무한경루의 청공을 그린 그림(無限景樓 淸供之圖, 豹翁)'이다. 무한경루는 강세황이 관직에 나가며 남산에 마련한 가옥의 당호이다. 10여 년 기거한 문예 창작소로 지인과 모임을 열었던 예술 공간이다. 학문을 논하기도 하고 고동소화의 수집·감상도 했다. 맑고 고상한 완상취미가 발현되던 곳이다. 청공은 맑은 생활에 이바지 하는 물건으로 문구류를 이른다.

서안 위에 서적, 벼루, 필통과 붓, 연적, 책, 종이, 여의(如意)가 놓여 있다. 간단하게 묘사했지만 허접한 물건이 아니다. 책은 포갑에 싸여 있고, 벼루는 연지가 깊고 두툼하며 받침대인 연대위에 올려져있다. 연적은 작은 숟가락이 걸쳐있는 수증승(水中丞)이다. 바라보기 왼쪽에는 별도의 받침대 위에 매화 분재와 괴석이 놓인 화분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닥에 지팡이가 있다. 여의(如意)는 좀 생소하다. 불구의 하나로 승려가 설법이나 법회 때 위용을 갖추기 위해 들던 것이다. 이를 문인들이 즐겨 휴대하게 되었는데, 신체의 가려운 부분을 긁는데 사용하였다. 요즈음 효자손에 해당하는 것으로 마음먹은 대로 되다란 의미가 있다. 길상여의(吉祥如意), 만사여의(萬事如意), 사사여의(事事如意) 등 상서로운 뜻이 부여되며 곁에 두는 장식용, 감상용 물건이 되었다.

작품은 작가 자신의 이미지 조성 과정이요 산물이다. 강세황 역시 특유의 이미지 창출에 천착했던 인물이다. 스스로 묘비명을 쓰기도 하고, 70세에 그린 <자화상> 자찬문에 "머리엔 오사모를 쓰고, 몸에는 야복을 걸쳤으니, 마음은 산림에 있되 이름은 조정에 있음을 보이도다. 마음속에 책 수천 권을 숨기고, 붓으로 오악을 흔들지만, 사람들이 어찌 알겠는가? 스스로 즐길 뿐이다"라 했다.

향유하는 예술과 기물이 자신의 품격과 아취를 더해주고, 밖으로 표출된다. 문예적 소양과 심미적 취양, 문화적 위치를 알려준다. 마음이 곧 우주이지만, 책상 또한 공부하는 사람의 소우주이다. 세월은 마음대로 할 수 없지만 우주는 뜻대로 가꿀 수 있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최종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걷기로 건강도 혜택도 챙기세요"
  2. 천안 다가동 예식장 연회장서 천장 마감재 떨어져 하객 10명 부상
  3. 전통시장 수산물 구매, 최대 30% 환급 시작
  4. 어촌마을 워케이션, 바다와 함께 일하며 쉼표 찍는다
  5. '노후 원양어선' 대체 건조 본격화...6월 중 최종 사업자 선정
  1. aT, 무궁화 보급 유공자에 표창 수여
  2.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3. 상명대, 소수정예 웹툰작가 양성사업 선정 및 참여 교육생 모집
  4. '소 써레질·손 모내기' 특별한 광경...5월 21일 만난다
  5. 농촌진흥청, 봄철 농작물 생육 부진 대책 마련

헤드라인 뉴스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12일부터 제21대 대선 공식선거 운동이 막을 올리는 가운데 충청권 핵심 현안의 대선공약 관철을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선 본선레이스에서 각 당 후보들로부터 대통령실 및 국회 세종 완전이전, 대전 충남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등 해묵은 지역 현안 관철 약속을 받아내야 하는 '골든타임'에 돌입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은 12일부터 6·3대선 하루 전인 다음달 2일까지 22일 간 열전을 벌인다. 본선레이스 돌입 이후엔 각 후보와 정당이 17개 시도 공약(公約..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12일부터 21대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충청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이 이번 대선에 나서면서 3파전 구도가 짜여졌다. 특히 대선 필승을 위해 반드시 잡아야 하는 최대 승부처이자 전통적 캐스팅보터 인 충청 민심을 잡기 위한 3주간의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2일부터 대선 전날인 6월 2일까지 누구든지 공직선거법에 제한되지 않는 방법으로 선거운동이 가능하다. 후보자와 배우자, 직계존비속, 후보자와 함께 다니는 선거사무장·..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국민의힘이 대선주자로 김문수 후보를 공식화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 주요 정당들의 대선 대진표가 완성됐다. 이들 후보들은 잇따라 감세 공약을 내놓으며 민심을 잡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지만, 재원 확보 방안이 뒷받침되지 않아 '표풀리즘'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 대선주자들의 감세 공약을 보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24%에서 21%로 인하하고, 상속세 최고세율을 OECD 평균 수준인 26%로 낮추며,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을 물가상승률에 연동하는 세제 개편안을 제시했다. '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선 선거운동 앞두고 선거범죄 예방, 단속 회의 실시 대선 선거운동 앞두고 선거범죄 예방, 단속 회의 실시

  •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