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순리와 거스름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순리와 거스름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3-08-0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패기가 넘칠 때 실수하기 쉬운 것이 있다. 존중하는 마음이다. 우러러 받드는 존경심까지 가질 필요는 없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누구나 존중받아야 할 가치가 충분하다. 더 지나쳐서 오만해지면 상대방을 무시한다. 도가 지나치면 멸시하고 짓밟는다. 인격모독, 인격살인도 서슴지 않는다.

어쩌다 뉴스라도 볼라치면 눈살 찌푸리게 하는 일이 한둘이 아니다. 새파란 젊은 의원이 장관에게 "배우지 못하신 것 같아서 안타깝다."거나 "무능하고 사악하다" "대통령의 존재가 사회적 위협"이라고 한다. 말하는 사람보다 상대가 훨씬 많은 지식과 도덕성을 가지고 있음이 분명한데 말이다. 막말뿐인가, 삿대질에 호통, 안하무인(眼下無人)이다. 알량한 자리 하나 차지했다고 세상이 우습게 보이는 모양이다.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노인폄하 발언으로 지난 일주일이 떠들썩했다. 본인은 노인 폄하 용의가 없었고 젊은이에게 투표장에 나오라는 의도였다고 한다. 행간을 살펴보면 그 반대로 읽힌다. 방점은 노인폄하에 있고 '투표참여'는 속내를 가리기 위한 포장에 불과하다. 위장 표현이자 교활한 말장난이다. 중학생 아들에 기대어 "왜 나이 든 사람이 우리 미래를 결정하느냐" "자기가 생각할 때는 평균 연령을 얼마라고 봤을 때 자기 나이로부터 여명까지, 엄마 나이로(부터) 여명까지로 해 비례적으로 투표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되게 합리적이지 않느냐"고 되묻는다.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1대 1로 표결해야 하나" "합리적이지만 민주주의 국가에서 '1인 1표'로 선거권이 있어 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했다" "투표장에 젊은 분들이 나와야 그 의사가 표시된다고 결론지었다"고 해명했다. 마지막에 덧붙인 말은 앞의 말과 관련이 없지 않은가? 투표 참여의 중요성을 논하면 될 일이지, 뜬금없이 노인은 왜 껴 넣는가? 왜, 노인에 대한 적개심을 심어주는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화자는 생략하고 몇 개만 들춰보자. "촛불집회 중심에 젊은이들이 있었고 미래는 20대와 30대의 무대라고요. 그런 의미에서 한걸음만 더 나아가서 생각해보면 60대와 70대는 투표 안 해도 괜찮아요. 그분들이 꼭 미래를 결정해 줄 필요는 없단 말이에요. 그분들은 어쩌면 곧 무대에서 퇴장하실 분들이니까 그 분들은 집에서 쉬셔도 되고…." "교포 노인들이 연세가 들어서 곧 돌아가실 거다. 노인들이 무슨 힘이 있겠냐." "비록 30대에 훌륭한 인격체였을지라도 20년이 지나면 뇌 세포가 변해 전혀 다른 인격체가 된다." "인간의 뇌세포는 그러니까 노화라는 것은 20세가 지나면 바로 시작됩니다. 한 50대 접어들게 되면 죽어 나가는 뇌세포가 새로 생기는 뇌세포보다 많습니다. 사람이 멍청해집니다."



나이 먹는 것이 자랑은 아니다. 노인이 갖는 사회적 역할, 그동안 국가사회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달라는 것도 아니다. 노인은 움직이는 도서관, 박물관이라고도 한다. 더해서 풍부한 지혜와 경험이 있다. 노마지지(老馬之智) 아닌가? 때로는 노인의 지혜와 역할도 필요한 것이다. 게다가 나이가 쌓이는 것은 순리이요, 흐름이다. 먹고 싶어 먹는 사람이 어디 있으랴. 어린아이가 노인 되는 것은 너무도 쉽다. 순식간이다.

순리하면 물 아니겠는가? 상선약수(上善若水),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거기에는 자신을 낮추는 겸손과 남에게 이로움을 주는 미덕, 다투지 않는 포용과 사랑이 담겨있다. 하지만, 물을 물로 봤다간 큰 코 다친다. 행태조차 없지만 성나면 막을 재간이 없다. 물은 생명의 근원 중 하나이지만, 생명체의 생명을 앗아가기도 한다. 생명에 위해를 가했다고 물의 잘 못은 아니다. 물 자체에 무슨 잘못이 있으랴? 순리를 거스른 사람 잘못이다. 함부로 방해하거나 왜곡, 막아서 생기는 일이다. 억지로 압력이 커져 둑이 무너지면 감당할 수 없게 된다. 옛사람은 백성의 입도 물과 같은 것으로 보았다. 입 역시 막기 어렵다. 막는 것 자체가 패망의 길이기도 하다.

하나 더 덧붙이자. 사마천의 사기에 나오는 말이다. "입을 막는 것은 물을 막는 것보다 심각하다. 물이 막혔다 터지면 다치는 사람이 분명 많다. 백성 또한 이와 같다. 때문에 물을 다스리는 자는 물이 흐르게 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자는 그들의 입을 열어 말 하게 하는 것이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걷기로 건강도 혜택도 챙기세요"
  2. 천안 다가동 예식장 연회장서 천장 마감재 떨어져 하객 10명 부상
  3. 전통시장 수산물 구매, 최대 30% 환급 시작
  4. 어촌마을 워케이션, 바다와 함께 일하며 쉼표 찍는다
  5. '노후 원양어선' 대체 건조 본격화...6월 중 최종 사업자 선정
  1. aT, 무궁화 보급 유공자에 표창 수여
  2.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3. 상명대, 소수정예 웹툰작가 양성사업 선정 및 참여 교육생 모집
  4. '소 써레질·손 모내기' 특별한 광경...5월 21일 만난다
  5. 농촌진흥청, 봄철 농작물 생육 부진 대책 마련

헤드라인 뉴스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12일부터 제21대 대선 공식선거 운동이 막을 올리는 가운데 충청권 핵심 현안의 대선공약 관철을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선 본선레이스에서 각 당 후보들로부터 대통령실 및 국회 세종 완전이전, 대전 충남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등 해묵은 지역 현안 관철 약속을 받아내야 하는 '골든타임'에 돌입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은 12일부터 6·3대선 하루 전인 다음달 2일까지 22일 간 열전을 벌인다. 본선레이스 돌입 이후엔 각 후보와 정당이 17개 시도 공약(公約..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12일부터 21대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충청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이 이번 대선에 나서면서 3파전 구도가 짜여졌다. 특히 대선 필승을 위해 반드시 잡아야 하는 최대 승부처이자 전통적 캐스팅보터 인 충청 민심을 잡기 위한 3주간의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2일부터 대선 전날인 6월 2일까지 누구든지 공직선거법에 제한되지 않는 방법으로 선거운동이 가능하다. 후보자와 배우자, 직계존비속, 후보자와 함께 다니는 선거사무장·..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국민의힘이 대선주자로 김문수 후보를 공식화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 주요 정당들의 대선 대진표가 완성됐다. 이들 후보들은 잇따라 감세 공약을 내놓으며 민심을 잡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지만, 재원 확보 방안이 뒷받침되지 않아 '표풀리즘'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 대선주자들의 감세 공약을 보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24%에서 21%로 인하하고, 상속세 최고세율을 OECD 평균 수준인 26%로 낮추며,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을 물가상승률에 연동하는 세제 개편안을 제시했다. '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선 선거운동 앞두고 선거범죄 예방, 단속 회의 실시 대선 선거운동 앞두고 선거범죄 예방, 단속 회의 실시

  •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