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회복재단, 독일·체코 박물관 교류협력 재확인

  • 문화
  • 문화/출판

문화유산회복재단, 독일·체코 박물관 교류협력 재확인

현지 박물관 방문조사해 청동거울 등 특별조사
300여점 공동 조사연구 및 한국 교류전시 추진

  • 승인 2024-10-11 08:55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그림1
문화유산회복재단이 독일의 하이델베르크민속박물관에서 특별 열람조사를 통해 용봉문 갑주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회복재단 제공)
국회등록법인 (재)문화유산회복재단(이사장 이상근)은 지난 8월 26일부터 9월 6일까지 독일의 하이델베르크민속박물관, 린덴박물관,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박물관, 체코의 국립민속박물관을 방문했다. 이를 통해 2300여점의 한국 문화유산 중 300여점을 특별 열람 조사하고 도록을 발간하는 등 공동조사연구 및 교류 전시와 피해 원상회복을 위한 국제 협력 등을 진행하기로 했다.

독일의 하이델베르크민속박물관에서는 설립자인 빅터 골드슈미트(Victor Goldschmidt)가 1890년대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의 수집 유물을 중심으로 1921년 설립한 곳이다. 토기, 도자, 그림, 민속품 등 240여점의 한국 문화유산을 소장하고 있다. 이번 특별 열람에서는 용봉문 갑주(투구, 갑옷)와 오기 다완, 국청사 시왕도, 조선시대 고문서, 그림, 고가구 등 50여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목록 조사를 마무리했다.

책임학예사인 로버트 비쉬(Robert Bitsch MA)는 "박물관은 나치의 약탈로 인해 극심한 피해를 입었고 지금도 환수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며 "한국의 피해와 회복 노력을 잘 알고 있으며 특히 일본에 의한 피해 회복을 위해 독일과 협력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이에 이상근 이사장은 서산 부석사 불상 등 사례를 소개하고 "도쿄국립박물관에 있는 오구라의 수집품 중에서 출처지와는 떼어놓을 수 없는 유산이 있다"며 충남 부여의 금동 약사불, 공주 반가사유상과 분청 물고기무늬병 등으로 이뤄진 공예 선물을 전달하고 공동 협력을 제안했다.



이어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박물관은 백제 토기, 고려 청동거울, 청동반자 등 약 1000여 점의 한국 문화유산을 소장하고 있다. 주로 1920년대 한국을 방문한 선교사들에 의해 이뤄진 것으로 2005년 한국 선교 100주년을 기념하여 '겸재정선 화첩'을 한국으로 돌려줬고 그 이후에도 조선 갑옷 등을 반환하고 있다. 이번 특별 열람은 박물관장 테오필 가우스 신부 등이 함께했고 부석사 주지 원우스님으로부터 부석사 관음상의 제자리봉안운동 과정 등을 듣고 종교계와의 대화 협력을 통해 원상회복을 이뤄지도록 하자고 논의했다. 또한 백제 토기는 백제 왕도인 공주시, 부여군에 있어 중요한 유산이고 천안시는 고려 태조 왕건과 깊은 연관이 있으니 고려 청동거울 등을 교류 전시 하자는 제안에 동의하며 서로 교류의 폭을 넓혀 가기로 했다.

화면 캡처 2024-10-11 085203
백제 토기, 고려 청동반자 등 특별열람하는 모습.
문화유산회복재단은 슈트트가르트에 있는 린덴박물관을 방문해서는 원삼국 토기, 나전 공예, 고서 등 약350점의 한국 문화유산이 있는 곳으로 전체 목록을 제공받아 실태 조사 후에 제공하기로 했다. 린덴박물관은 아프리카 베냉의 청동 유물과 가면 등을 돌려주고 이들 유산이 어디에 있어야하는지에 대한 홍보 안내를 하고 있다. 린덴박물관의 사례는 가해국의 자발적 반환이라는 점과 박물관에 반환 등을 알리는 전시물을 설치했다는 점에서 유산을 전체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일본의 군함도, 사도광산 등에서 보여주는 강제노동의 역사를 삭제하고 편집하는 것과는 다르다는 점에서 향후 원상회복을 위한 국제협력에 있어 중요한 사례이다.

지난해 이어 두 번째 방문조사가 이뤄진 체코국립민속(민족학)박물관에는 19세기 입수한 유물과 북한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 등 650여점을 있다. 이번 방문조사에서는 분청사기 등과 공예품, 활과 칼 등 민속품 70여점을 특별 열람했다. 체코는 한국 기업의 투자 등이 활발한 곳으로 최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높은 나라지만 '한국문화원'이 없다. 현지 학예사는 "한국 특별전 등 전시를 하고 싶은데 한국 관련 자료가 부족하다"면서 "영문 관련 자료와 소장품 도록 제작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상근 이사장은 "조사연구에 필요한 자료 제공"을 약속하고 "소장품 전수조사를 통해 도록이 발간되어 언제든지 전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께 조사연구하고, 체코의 경우도 과거 피해 국가로 원상회복에 있어 공동노력하자"고 제안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2.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5.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