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생각하는 AI, 심심한 뇌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생각하는 AI, 심심한 뇌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 승인 2025-01-21 17:27
  • 신문게재 2025-01-22 18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2023082801010014786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얼마 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 전시회인 CES를 다녀왔다. 2025년 CES는 몰입(Dive in)이라는 주제로 열렸는데, 인공지능(AI)은 가장 핵심적 키워드였다. 인공지능이 모빌리티, 로봇, 스마트 홈, 디지털 헬스와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었다. 이제 인공지능은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가 된 듯하다. 또 다른 핵심 주제어는 단연 대한민국(KOREA)이었다. 역대 최대 규모인 1031개사 참여해 혁신상 전체의 47.8%인 219건을 수상하며 2년 연속 국가별 비중 1위를 달성했다, 중소기업이 받은 혁신상이 130개이고, 이 중 벤처 및 창업기업이 125개였다. 최고 혁신상(총 34건)도 우리 기업 9개사가 15건을 수상하며 1위를 기록했다.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한 기술혁신은 상상을 현실화하고 있다. 번거로운 문진형 검사 없이 스마트폰만 쳐다봐도 불안이나 우울 등 정서장애를 진단해 준다. 스마트링을 끼고 있으면 혈압이 높다고 알려준다. 냉장고에 탑재된 인공지능이 "날씨도 흐린데, 따뜻한 국물 요리 어떠세요?"라고 먼저 메뉴를 추천한다. 의류 청정기는 "오늘은 실외 미세먼지가 나쁨입니다. 미세먼지 코스로 겉옷을 깨끗하게 관리해 보세요"라고 이야기한다. 내가 고민하기도 전에 인공지능이 해결책까지 먼저 제시해 준다. 인간은 생각할 필요 없이 인공지능이 제시한 선택지에 따라 행동하면 된다.

AI가 먼저 상황을 파악하고 예측해 해결책을 제시하니 사람은 생각하려 하지 않는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우려를 2024년 영국 옥스퍼드대학 출판부가 올해의 단어로 '뇌 부패(brain rot)'를 선정했다. 매끄럽게 번역되지 못한 느낌이지만, 뇌 부패, 뇌 썩음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골자는 사소하고 의미가 없는 온라인 콘텐츠를 과도하게 소비하면서 사람의 지적 상태가 악화된다는 것이다. 디지털 과소비로 인한 뇌 기능의 저하는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깊이 있는 일을 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뇌 부패는 문해력(文解力)과도 직결되는데, 문해력의 사전적 의미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뜻한다. 인간이 최초의 문자를 만들고 글을 읽고 쓰기 시작한 시점이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5000년이 지난 지금 인간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온라인상의 이야기다. 스승의 날 선생님이 학생에게 편지를 받는다. "선생님은 고지식하셔서 저희가 배울 점이 많습니다"는 내용이다. 이것은 선생님을 향한 존경의 표현인가? 아닌가? 고지식은 순수 우리말로 성질이 외곬으로 곧아 융통성이 없다는 뜻인데, 학생이 쓴 편지의 내용은 아마도 지식이 높다(高)는 뜻으로 생각한 듯하다. 또, 수업 중 사건의 '시발점'을 설명하는데 한 학생이 선생님이 욕하셨다고 항의하기도 한다. 이부자리를 별자리로 이해하거나, 족보를 족발보쌈 세트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문해력은 비단 학생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가정통신문에 우천시 취소라는 안내문에 "우천시는 어디에 있는 시(市)인가요?"라고 반문하기도 하며, '중식 제공'이란 안내에 우리 아이는 중식 대신 한식을 제공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문해력이 낮아지는 원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유튜브와 같은 디지털 매체를 지나치게 과소비한다는 점이다.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과몰입은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의존과 문해력의 저하를 초래하고, 우리의 지적 역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여기에 인공지능으로 무장한 각종 디지털 기기가 스스로 판단해서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면, 사람의 뇌 기능은 저하될 수밖에 없다.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인간의 관점에서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문해력이 강조되는 이유이다. 스스로 생각하는 인공지능 시대, 사람의 지적 노력과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걷기로 건강도 혜택도 챙기세요"
  2. 천안 다가동 예식장 연회장서 천장 마감재 떨어져 하객 10명 부상
  3. 전통시장 수산물 구매, 최대 30% 환급 시작
  4. 어촌마을 워케이션, 바다와 함께 일하며 쉼표 찍는다
  5. '노후 원양어선' 대체 건조 본격화...6월 중 최종 사업자 선정
  1. aT, 무궁화 보급 유공자에 표창 수여
  2.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3. 상명대, 소수정예 웹툰작가 양성사업 선정 및 참여 교육생 모집
  4. '소 써레질·손 모내기' 특별한 광경...5월 21일 만난다
  5. 농촌진흥청, 봄철 농작물 생육 부진 대책 마련

헤드라인 뉴스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12일부터 제21대 대선 공식선거 운동이 막을 올리는 가운데 충청권 핵심 현안의 대선공약 관철을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선 본선레이스에서 각 당 후보들로부터 대통령실 및 국회 세종 완전이전, 대전 충남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등 해묵은 지역 현안 관철 약속을 받아내야 하는 '골든타임'에 돌입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은 12일부터 6·3대선 하루 전인 다음달 2일까지 22일 간 열전을 벌인다. 본선레이스 돌입 이후엔 각 후보와 정당이 17개 시도 공약(公約..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12일부터 21대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충청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이 이번 대선에 나서면서 3파전 구도가 짜여졌다. 특히 대선 필승을 위해 반드시 잡아야 하는 최대 승부처이자 전통적 캐스팅보터 인 충청 민심을 잡기 위한 3주간의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2일부터 대선 전날인 6월 2일까지 누구든지 공직선거법에 제한되지 않는 방법으로 선거운동이 가능하다. 후보자와 배우자, 직계존비속, 후보자와 함께 다니는 선거사무장·..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국민의힘이 대선주자로 김문수 후보를 공식화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 주요 정당들의 대선 대진표가 완성됐다. 이들 후보들은 잇따라 감세 공약을 내놓으며 민심을 잡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지만, 재원 확보 방안이 뒷받침되지 않아 '표풀리즘'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 대선주자들의 감세 공약을 보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24%에서 21%로 인하하고, 상속세 최고세율을 OECD 평균 수준인 26%로 낮추며,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을 물가상승률에 연동하는 세제 개편안을 제시했다. '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선 선거운동 앞두고 선거범죄 예방, 단속 회의 실시 대선 선거운동 앞두고 선거범죄 예방, 단속 회의 실시

  •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