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
1일 오후 3시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열리는 출범식 및 회의에는 산학연관 16개 관계기관이 참여해 새 정부의 해양 정책 방향과 협력 전략을 논의하며 부산 해양금융 발전의 초석을 다진다.
이번에 새롭게 출범한 '부산해양금융발전협의회'는 2018년부터 운영되어 온 '부산해양금융협의체'를 실질적인 정책 실행 중심의 협의 플랫폼으로 개편한 것이다.
시 행정부시장 주재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는 해양금융종합센터(한국산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수출입은행), 한국해양진흥공사 등 주요 해양금융기관은 물론, 한국해운협회, 한국해운조합, 한국중소조선공업협동조합 등 업계 현장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2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한다.
특히, 이번 협의회는 기존 협의체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 중심의 기능을 한층 강화했다. △행정지원반 △기업지원반 △인재양성반 △정책연구반 등 총 4개 반으로 구성되며, 각 반은 기관별 실무회의와 정례회의를 통해 지속 가능한 협업 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정책으로 구체화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는 시 행정부시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부산해양금융발전협의회' 운영 방향 소개, 해양금융 관련 연구 사례 발표, 주제 발제, 현장 의견 청취 순으로 진행된다.
발표 세션에서는 △부산연구원이 '부산 해양금융 육성을 위한 정책 확대 방안'을 주제로 자체 연구 과제를 소개하며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은 조선공제조합 설립 방안 등 조선산업 금융 기반 강화를 위한 연구 내용을 발표한다.
이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해양수도 부산 추진과 해양금융의 전략적 역할'을 주제로 부산의 해양금융산업 여건을 분석하고, 중소형 조선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금융 확대 방안 등 주요 전략을 제시한다.
시는 이번 협의회 출범을 계기로, 반별 활동을 통해 도출된 실행 과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정부 정책과 연계한 제도 개선 및 전략 수립도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부산이 해양금융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산학연관이 긴밀히 협력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협의회를 통해 새 정부의 해양 정책 방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부산의 강점을 살린 전략적 과제를 도출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