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당 대전시당은 8일 논평을 내고 설동호 대전교육감이 성천초 특수학교 전환을 결단할 것을 촉구했다. 서남부권 특수학교 설립이 2026년에서 2029년으로 미뤄진 상황에서 즉각적이고 현실적인 해결책으로 성천초 특수학교로 전환을 주장한 것이다.
2027년 폐교를 앞둔 서구 월평동 소재 성천초는 대전교육청·대전시·서구의 협약에 따라 학교복합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현재 2026년 공모를 위해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특수학교 부족 문제로 당장 입학조차 어려운 마당에 교육시설인 학교를 학생이 아닌 인근 주민을 위해 사용하려는 계획에 곳곳에서 반발이 일고 있다.
정의당 대전시당은 "2026년 개교를 목표로 했던 서남부권 특수학교는 부지 확보 문제를 이유로 2029년으로 연기됐다"며 "지난 수년 동안 교육청은 대전시와 협의 중이라며 시간을 허비했고 결국은 교육청 소유인 옛 유성중 부지를 선택했다. 이는 특수교육에 대한 의지와 적극성이 부족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앞서 2024년 4월 출범한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과밀 특수학교(급) 시민대책위원회' 역시 성천초를 학교복합시설이 아닌 특수학교로 전환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이러한 요구가 지역 정치권으로 확대되면서 대전교육청이 기존 입장을 고수할 것인지가 최대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정의당 대전시당은 "교육청은 더 이상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성천초 전환을 비롯한 실질적인 대책을 빠르게 내놓아야 한다"며 "장애학생의 교육권은 헌법이 보장한 기본권 중 기본권이다. 대전교육청과 설동호 교육감은 시민사회와 현장의 요구를 수용해 특수학교 과밀 문제를 해소하고 장애학생들이 차별 없이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수학교 문제 해결에 꾸준히 관심을 가졌던 대전시의회 김민숙 의원도 교육청이 우선순위를 제대로 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특수학교 부족 문제와 관련한 토론회를 준비 중이기도 하다.
김민숙 시의원은 "특수학교 과밀로 학생 통학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다"며 학생들이 집과 가까운 거리에서 학교 다닐 수 있게 필요하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또 학령인구 감소 속 학교 공간을 활용 방안이 없을 땐 주민을 위해 사용할 수 있지만 현재 대전 상황에선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민숙 의원은 "특수학교 과밀 문제가 없고 아이들이 줄어서 공간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주민들에게 공간을 내 줄 수 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며 "특수학교 과밀과 부지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성천초 폐교 활용 방안은 너무 좋은 케이스인데도 불구하고 현재 상황이 잘 이해가 되진 않는다. 우선순위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효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