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격의료 장비 사진=연합뉴스 제공 |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원격 의료서비스가 급부상하는 가운데 지역의료계 내에서도 원격의료 도입에 관해 찬반 의견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지난 2월 말부터 한시적으로 전화 진찰상담 등 비대면의료가 허용되면서 진료 효율성이 높아졌다는 견해와 구체적인 사업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정부는 코로나19 사태로 전화 상담과 처방을 허용한 뒤 효과가 있다고 판단해 원격진료 도입을 검토 중으로 알려졌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코로나19가 초래한 위기는 방역·보건 시스템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비대면 진료 확대,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 발굴 등 과감한 중심이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의사협회는 정부와 정치권이 코로나19 위기를 정략적으로 악용한다는 견해를 밝혀 적극적으로 반대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지난 18일 의사협회는 권고문을 통해 "코로나19 사태에서 목숨을 걸고 헌신하는 의사들에게 충분한 지원은 하지 못할망정 비대면 진료, 원격진료 등을 새로운 산업과 고용 창출이라는 의료의 본질과 동떨어진 명분을 내세워 정작 진료 시행의 주체인 의료계와 상의 없이 전격 도입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지역 의료계 또한, 원격의료 도입에 관해 찬반 의견이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원격의료 도입에 관해 찬성하는 의견 중으로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에 대한 의료 효율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사태로 이미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견해다.
대전 서구의 한 내과의원 원장은 "코로나19 사태로 전화 진료 상담 등을 포함한 비대면 진료에 대해 충분히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발생할 수 있는 일부 부작용 측면에서 보완할 점도 분명히 있지만, 지난 20년간 미뤄온 사안인 만큼 시기적으로 더 미뤄선 안 된다"고 말했다.
반면, 원격의료 도입에 관해 반대하는 견해는 원격의료 시스템에 관해 사업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오히려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입장이다.
대전시의사회 김영일 회장은 "현재 코로나19 사태를 겪고 있는 천재지변의 사태에서는 방역 의미로 전화 상담이나 재진 환자 일부에서 제한적으로 원격의료서비스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원격의료시스템이 아직은 완벽하게 정착한 상황이 아닌 만큼 서둘러 진행하는 것보다 정부, 의료진을 포함한 모든 전문가가 의료전달 체계 등 논의해야 할 사항이 많다"고 전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