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유근 '최연소 박사' 논문 표절로 무산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송유근 '최연소 박사' 논문 표절로 무산

美학회, 박사학위 수여 요건인 'SCI급' 게재 철회 지도교수 박석재 연구위원 “내 불찰, 전화위복 계기로”

  • 승인 2015-11-25 17:50
  • 신문게재 2015-11-26 8면
  • 최소망 기자최소망 기자
국내 최연소 박사학위 취득자로 전국민의 기대를 모은 송유근(17)군의 학위 수여가 미뤄졌다. 박사학위 수여요건 중 하나인 SCI급 논문의 천체물리학저널 게재가 철회됐기 때문이다.

미국천문학회(American Astronomical Society·AAS)는 홈페이지를 통해 천체물리학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ApJ)에 송 군이 제1저자로 참여한 논문 게재를 철회한다고 24일(현지 시간) 밝혔다.

AAS측은 지난달 5일 정식 게재된 송 군의 논문 '선대칭, 비정상 블랙홀 자기권:재고(axisymmetric, nonstationary black hole magnetospheres:revisited)'이 2002년 지도교수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위원이 발표한 논문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박 교수의 논문은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자료를 묶어 만든 책 '블랙홀 천체물리학(Black Hole Astrophysics)'에 실려 있다.

AAS측은 2002년 박 교수의 논문과 비슷한 점이 많은데도 송 군의 논문에는 박 위원의 논문이 공식적으로 인용되지 않은 부분을 지적했다. AAS는 ApJ 편집장에게 이번 송 군의 논문을 철회할 것을 권고하고 철회 공지에는 AAS 저널 윤리규정 수정본을 포함하도록 하게 했다.

이같은 결정에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는 25일 오후 2시 UST 대학본부 사이언스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식입장을 발표했다.

이날 해명에 나선 박 교수는 “과학기술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께 죄송하고 제자 송유근 군에게 가장 미안하다”라며 “이번에 일어난 모든 일은 제 불찰이다”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어 “이번 일로 유근 군의 졸업도 연기가 된 만큼 더 좋은 논문을 쓸 수 있도록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겠다”고 전했다. 박 교수는 논문 철회 계기였던 2002년 논문을 인용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발표 논문으로 보지 않는다는 관행이 있었기 때문에 인용하지 않았을 뿐”이라며 “인용논문들이 전부 SCI급의 논문이었고 학술대회 발표 논문은 비 SCI급이었기 때문이다”라고 해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UST가 앞으로 송 군에 대한 거취를 어떻게 결정할지에 대해서도 이목이 쏠렸다. 현재 UST는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재학연한을 8년으로 두고 있다.

UST측은 “송군의 재학연한은 현재 1년여 남았다”며 “학교에서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졸업 요건을 갖추지 못하면 졸업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최소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망 20일 뒤 발견된 모자 왜?…사회 단절된 채 수개월 생활고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이어 이번엔 극우 교원단체 '대한교조' 홍보 배정 논란
  3. 저스티스 유한 법무법인 첫 전환…전문성·법률서비스 강화
  4.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5. 의대생 전원 돌아온다지만... 지역 의대 학사운영·형평성 논란 등 과제
  1. 유성선병원 대강당의 공연장 활용 의료계 의견 분분…"지역 밀착형vs감염병 취약"
  2.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3.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4. 대전.충남 행정통합 결실 위해선 초당적 협력 시급
  5. 지질자원연 탐해3호 서태평양 출항, 해저 희토류 정밀 탐사 시작

헤드라인 뉴스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오는 8월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종료와 함께 이재명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선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새 정부 로드맵에 따라 7월 말 일단 문을 닫는다. 2022년 5월 첫 개방 이후 약 3년 만의 폐쇄 수순이다. 빠르면 9월경 종합 보안 안전과 시설물 등의 점검 과정을 거친 뒤 대통령실의 심장부로 다시 거듭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시작할 시점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다시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중앙권력의 중심부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우려되는 지점은 분명하다. 수도권 초집중·과밀을 되레 가속..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대전시가 지역 대학생들과 협업해 새롭게 탄생시킨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7일까지 대전시청 1층 로비에서 '2025 꿈씨패밀리 스포츠디자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전시 대표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씨패밀리'를 스포츠 테마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와 목원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생 38명이 참여해 지난 한 학기 동안 완성한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자리다. 전시장에는 캐릭터별 등신대, 티셔츠·선캡 등 굿즈, 그리..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화백이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송자 화백,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