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나무못과 볏짚 활용 첫 확인

  • 사회/교육
  • 이슈&화제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나무못과 볏짚 활용 첫 확인

국립해양유산연구소 마도4호선 첫 인양 15일 착수
2015년 발견돼 유물만 꺼내고 선체는 해저 봉인
선체 연결방식과 방수 수밀기술 확인 고고학 의미

  • 승인 2025-09-14 17:48
  • 수정 2025-09-14 19:25
  • 신문게재 2025-09-15 8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5178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9월 12일 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마도4호선 발굴 10주년 학술제를 개최했다.  (사진=임병안 기자)
한양 광흥창으로 가다가 태안 앞바다에서 침몰한 조선의 조운선 마도4호선이 2015년 발견돼 10년간 유물을 꺼내는 과정을 마치고 오늘부터 선체를 수면 위로 인양한다. 조선시대 조세인 쌀과 콩을 무겁게 싣고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었던 나무배의 구조를 파악하고 누수를 막는 볏짚 뱃밥과 나무못이 사용된 첫 사례로써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변가에서 1㎞ 남짓 떨어진 마도 연안에서 9월 13일부터 마도4호선이라고 명명된 조선시대 조운선 인양을 시작했다. 많은 비가 내린 탓에 실제 인양은 15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2007년 어부가 그물에 걸려 올라온 청자대접을 당국에 신고한 것을 계기로 태안 마도해역에 해저바닥을 조사해 고려 및 조선시대 선박 4척이 연이어 발견됐다. 발굴 연도에 따라 '마도 1호선(2009)', '마도 2호선(2010)', '마도 3호선(2011)'이라고 이름 붙여졌고, 모두 해상 운송 도중 침몰한 난파선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재까지 국내 연안에서 발견된 선박은 총 17척으로, 이중 마도 해역에서 4척이 발견돼, 이곳이 물길이 험하고 선박이 일시적으로 정박하며 물때를 기다리는 묘박지이면서 한양으로 향하는 서해바다 뱃길에 길목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KakaoTalk_20250914_191919367
충남 태안군 앞바다 마도 해역 위치와 조운선 침몰 위치도.  (사진=태안해양유물전시관 전시물)
마도4호선 발굴조사 결과 많은 양의 쌀과 콩이 발굴되고 나무에 글씨를 새긴 목간, 분청사기, 숫돌 꾸러미, 어패류가 담긴 큰 항아리 등 다양한 유물이 확인됐다. 선체는 길이 13m, 너비 5m, 선심 2m 정도로 승선인원 18~20명에 쌀 500석(51톤 무게)을 실을 수 있는 큰 배에 속했다. 속도는 느리지만 비교적 얕은 수심에서도 운항할 수 있도록 배의 밑바닥이 평평하고 2개의 돛을 달아 기동력을 높인 발전된 형태의 배로 볼 수 있다.

첫 발굴조사 후 10년간 유물만 꺼낸 채 선체는 그 자리에 다시 묻혀 봉인되었던 마도 4호선이 이번 주부터 수면 밖으로 모습을 드러낼 예정으로 수중고고학과 조선공학 분야에 흥분을 돋우고 있다. 마도 4호선에서는 선수부재를 보강하기 위해 나무못의 목정이 박힌 것이 우리나라 최초로 확인됐다. 또 누수를 막기 위해 나무와 나무 사이에 '뱃밥'이라는 충전재가 삽입되는데 마도 4호선에서는 볏짚으로 보이는 초목류가 사용돼 그간 대나무 깎은 것 또는 표백한 나무껍질, 면, 대패밥 등을 사용한 것과 달라 고고학적 연구 대상이다. 마도 4호선에는 공물로 선적된 것으로 보이는 막대형 석재와 선체를 고정하는 닻돌, 석탄이 발견됐는데 막대형 석재는 칼이나 낫을 갈 때 쓰는 숫돌로 여겨지나 석탄은 태안화력발전소로 옮기던 운반선에서 유실돼 마도4호선에 떨어진 게 아닌지 의심되고 있다.



12일 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개최된 마도4호선 학술대회에서 홍순재 국립해양유산 연구소 학예연구사는 "마도 4호선이 전면 인양되고, 잔존 구조물에 대한 분석이 이뤄지면, 조선시대 선박의 구조와 성능, 용도, 항해능력에 대해 실증적인 정보가 확보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올해 총 14차수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선체 인양을 추진해 600여 년간 바닷물을 머금은 선체 편들은 물 밖으로 꺼내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보존처리해 염분을 빼고 형태를 되살리는 과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임병안·태안=김준환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산림아카데미재단 울진군 임업사관학교 입학식
  2. 대전시노인복지관협회. 한국주택금융공사 대전지사, 어르신 복지 증진 맞손
  3. 천안법원, 허위 보조금 신청한 60대 남성 '벌금 500만원'
  4. "함께하는 한 끼, 이어지는 우리"
  5. 음악의 감동과 배움의 열정으로, 어르신 삶에 새 활력을!
  1. 당진 173㎜ 홍수주의보 해제…산사태 주의보 '계속'
  2. 아산시의회 탄소중립을 위한 특별위, '중이 없는 회의 개최
  3. 백석문화대, 충남형 계약학과 공유·협업 워크숍 개최
  4. 아산시, 'KTL 바이오의료종합지원센터' 개소
  5. 연암대, LG와 함께하는'2025 LG Day'개최

헤드라인 뉴스


‘K-스틸’ 위기 극복 세미나 여야 대거 참석 ‘법안 통과’ 한목소리

‘K-스틸’ 위기 극복 세미나 여야 대거 참석 ‘법안 통과’ 한목소리

미국의 관세 압박에 어려움을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을 살리기 위한 이른바, ‘K-스틸법’ 제정에 여야가 한목소리를 냈다. 국회철강포럼(공동대표 더불어민주당 어기구·국민의힘 이상휘 의원)이 9월 12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K-스틸법 발의, 그 의미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열린 정책세미나에서다. 이번 세미나는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마련된 K-스틸법의 의의를 평가하고 후속 입법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 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인 K-스틸법 제정안에는 대통..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전 유성구 정책 분석을 위해 지역 대학생들이 머리를 맞댔다. 14일 유성구에 따르면 12일 유성구청에서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현안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의 연구 보고회를 개최했다.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은 KAIST와 국립한밭대 학생 2개 팀으로 구성됐다. 앞서 6개월간 팀별 멘토 교수의 지도를 받아 데이터 분석과 정책 대안 제시 활동을 이어왔다. 보고회에서 KAIST '얼른타보슈' 팀은 축제·유동량·소비 등 데이터를 융합·분석해 축제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과..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1.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이 시행 3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경영책임자의 법적 의무 범위가 여전히 모호해 산업현장에서 혼란을 키우고 있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해 대출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금융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2. 지난 8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역시 대표적인 기업 규제 법안으로 꼽힌다. 사용자의 범위가 명확치 않은 데다, 경영상 의사결정이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쳐 쟁의행위 대상이 될 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