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는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의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농·축·수산물의 가격·수급 안정을 위해 공급을 확대한다. 공급 물량은 농산물 5만톤, 축산물 10만 8000톤, 수산물 1만 4000톤 등 17만 2000톤으로, 평시의 1.6배 규모다. 농산물 공급분은 평시의 2.6배에 달한다. 비축물량과 계약재배 등 정부 가용물량 1만 9000톤을 방출하고, 농협 계약출하 물량을 활용해 사과·배·단감 등 성수품 과일 3만 2000톤을 도매시장에 집중적으로 출하한다. 축산물 명절 수요에 대응해 도축·출하를 평시의 1.3배인 10만 8000톤으로 늘린다. 닭고기·계란 공급도 확대한다.
명태·오징어·갈치·참조기·고등어·마른멸치 등 정부비축 수산물을 시중가 대비 최대 50% 할인해 전통시장·마트 등 소비지에 직공급한다. 밤·대추 등 명절용 임산물은 추석 2주 전부터 산림조합 물량을 집중 공급한다. 할인지원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90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온·오프라인 유통업체별로 매주 1인당 최대 2만원(평시 1만원)까지 주요 성수품을 최대 50% 할인한다. 정부 재정지원으로 20%, 생산자·유통업체 자체 부담으로 20~30%가 각각 할인되는 구조다. 전통시장의 온누리상품권 현장 환급도 늘린다. 환급액을 2024년 167억원에서 2025년 370억원으로 크게 확대하고, 참여시장도 농축산물은 120곳에서 200곳으로, 수산물은 114곳에서 200곳으로 각각 늘린다. 과일·축산물·전통주·홍삼 등 국산 농식품 94개 선물세트를 농협 등에서 최대 50% 수준으로 할인 공급한다. 실속형 소비를 위한 중소형 사과·배 선물세트 물량을 작년 10만개에서 올해 15만개로 늘리고, 제수용 소포장팩(3입) 10만세트를 신규 판매한다. 수협, 온라인 플랫폼 등과 협력해 수산물 민생선물세트 1만개를 구성하고 최대 46% 할인 판매한다.
또 관계부처 합동 물가안정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수급 동향을 매일 점검하고 필요시 즉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원활한 물류·통관을 위해 명절 전후(9월 26일~10월 10일) 성수품 운반 화물차의 주요 도심권 통행도 일시 허용한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