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 47강 생명감응(生命感應)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 47강 생명감응(生命感應)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12-01 10:25
  • 수정 2020-12-04 18:18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47강 생명감응(生命感應) : 생명을 살렸으니 하늘도 감동하여 화답하다.

글 자 : 生(날 생) 命(목숨 명) 感(느낄 감) 應(응할 응, 대답할 응)



출 처 : 한국해학대전집 이인기인편(韓國諧謔大全集 異人奇人篇)

비 유 : 남을 살리는 선(善)한 일을 하면 하늘도 감동하여 복을 내린다.



우리 선조들은 전설적인 기인(奇人)들이 많다. 정감록예언서를 지은 분을 비롯하여 조선 초기 왕사(王師)였던 무학대사(無學大師), 임지왜란 당시 왜군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사명당(四溟堂), 조선 중기 토정(土亭) 이지함(李之函)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인들이 정사(正史)나 야사(野史) 혹은 전설(傳說)을 통해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다.

토정(土亭)이 언젠가 천안 삼거리에 위치한 한 주막집에 머무르게 된 적이 있었다.

마침 그 주막에는 젊은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었는데, 그들은 한양에서 곧 있을 '과거(科擧)'를 보기 위해 고향을 떠나온 지방의 선비들이었다.

과거에 급제(及第)하기 위하여 공부해온 그들이라, 당대(當代)에 큰 학자이며 기인으로 명성(名聲)이 높은 토정선생의 방을 찾아가 한 말씀을 듣고자 모이게 되었다.

토정이 여러 젊은이들을 바라보다가 문득 한 젊은 선비를 향해 이르기를 "자네는 이번 과거에 급제할 운이 없으니, 서운하겠지만 그냥 고향에 돌아가시게나"라고 하였다.

모두들 고개를 돌려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에 민망해진 그 젊은이는 말없이 일어나 인사조차 제대로 드리지 못하고는 뒷걸음질로 방을 빠져 나갔다.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은 청천벽력의 말에 깜짝 놀란 그 선비는 멍한 느낌에 주막을 나와 대문 옆 담벼락에 등을 대고 쪼그리고 앉아 깊은 시름에 빠졌다.

그동안 과거에 급제를 목표로 얼마나 열심히 공부를 해 왔는데, 시험을 보기도 전에 고향으로 돌아가면 고향에선 나를 못난이라고 놀려댈 테고, 한편으론, 대학자이신 토정 선생의 말을 무시하고 과거를 보러 가서 정말 낙방이라도 하면 평소에 흠모해 온 토정 선생의 말씀을 우습게 아는 놈이 되는 꼴이 아닌가!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멀거니 땅바닥을 내려다보고 있는데, 마침 수많은 개미 떼들이 줄을 지어 자신이 앉아있는 자리 바로 앞을 좌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좌측으로 눈길을 돌려 바라보니 그 뒤로도 끝없는 개미들이 줄지어 앞의 개미들을 따라오고 있는 것이 보였다.

도대체 이 개미들은 어디를 향해 이렇게 질서정연하게 이동을 하고 있는 것일까? 하는 호기심에 몸을 일으켜, 그 선두에 선 개미를 보기 위해 걸어가 보기로 하였다.

가다 보니 선두개미가 있는 곳으로부터 불과 몇 발자국 앞에 큰 항아리 하나가 놓여 있고, 그 독 안에는 물이 가득 차 금시라도 넘칠 듯이 찰랑거리고 있었다. 부엌에서 쓰고 버린 허드렛물이 배수 하수관을 통해 항아리에 떨어지게끔 되어 있었고, 물이 가득 차게 되면 자체의 무게로 인해 독이 기울어져 도랑 쪽으로 물이 쏟아지도록 만든 도구였다.

지금이라도 당장 누군가가 부엌에서 물을 버리면 그 독이 기울어져 이동하고 있는 개미들에게 쏟아져 많은 개미들이 때아닌 물벼락을 만나 다 죽게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 황급히 뛰어가 구정물이 가득한 독을 힘들게 옮겨 도랑에다 대고 얌전히 부어버렸다. 그리고 다시 빈 독을 옮겨 제 자리에 갖다 두고는 가쁜 숨을 몰아쉬며 아래를 내려다보니, 개미의 긴 행렬은 아무 것도 모르는 듯 가던 길을 계속해서 가고 있었다. 개미의 이동을 넋 놓고 바라보던 이 젊은 선비는 한참 후 토정선생이 하신 말씀이 다시 생각나, 조금 전에 앉았던 자리로 되돌아가 쪼그려 앉아 다시금 우울한 생각에 잠겼다.

그 때 문득 "자네, 거기서 무엇을 하는가?"하는 소리에 깜짝 놀라 돌아보니 언제 나오셨는지 토정(土亭) 선생이 대문 앞에 서서 자신을 향해 하는 말이었다.

벌떡 일어나 머리를 숙여 인사를 드리니 선생께서 선비를 향하여 다가오다가 가까이 와서 젊은이를 보더니, 이번에는 토정(土亭) 선생이 흠칫 놀라며 이렇게 묻는다.

"아니, 자네는 아까 방에서 내가 낙방(落榜)을 할 운(運)이니 고향으로 내려가라 한 바로 그 젊은이가 아닌가?"

그리고는 토정 선생이 머리를 갸웃거리시며 하시는 말씀이, "내가 조금 전에 자네에게 얘기할 때 본 자네의 상(相)과 지금 보는 자네의 상(相)이 완전히 다르니 어찌 된 영문인지 모르겠네. 얼굴에 광채가 나고 서기(瑞氣) 가 충천(衝天)하니 과거에 급제를 하고도 남을 상(相)인데, 도대체 그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기에 상(相)이 바뀌었단 말인가?" 하고 물으셨다.

젊은 선비는 너무나 황당하여 도대체 무슨 말씀이시냐며 의아한 표정으로 바라보니, 선생께서 재차 물으시기를, "잠깐 사이에 자네의 상이 아주 귀(貴)한 상(相)으로 바뀌었네. 분명히 무슨 일이 있었을 테니 내게 숨김없이 말씀을 해 보시게"라고 한다.

젊은이는, "아무런 일도 없었습니다"하고 말씀을 드리다가 문득, 항아리를 옮긴 일이 생각이 나서 잠깐 사이에 일어난 일을 소상히 말씀드렸다.? 이야기를 다 듣고 난 선생께서 하늘을 우러러 바라보시고는 혼잣말로 말씀하시길,

'수백, 수천의 죽을 생명(生命)을 살리었으니, 어찌 하늘인들 감응(感應)이 없을 수 있겠는가!' 하시더니, 다시 젊은 선비에게 이르기를, "자네는 이번 과거에 꼭 급제를 할 것이니 아까 내가 한 말은 마음에 두지 말고 한양에 올라가 시험을 치르시게" 하고는, 젊은 선비의 어깨를 툭툭 두드려 주고 주막 안으로 들어가 버렸다. 과연 이 젊은 선비는 토정(土亭) 선생의 말씀대로 과거에 응시하였고, 장원(壯元)으로 급제(及第)를 하였다 한다.

상(相)도 마음에 의해 뒤바뀌게 되는 것이다. 다만 그 마음 선(善)을 향해 써야 될 것이다. ?모든 생명체를 소중히 한다면 이로 인한 자신의 상이나 운명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분명하다.

작은 일이 이처럼 사람의 운명까지도 바꾸는 일은 많다. 특히 생명을 살리는 선(善)한 마음과 행동은 말할 것도 없다. 우리의 선조들은 늘 지성(至誠)이면 감천(感天)이라고 착한 일(생명을 살리는 일)을 주창하고 솔선해왔다. 후손 된 자들은 마땅히 받들고 지켜야 할 의무감이 있는 것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삼불후(三不朽/인간이 살아가는데 썩지 않는 세 가지)가 있다고 하였다.

최상은 그 사람의 덕행이고, 그 다음은 그 사람이 일을 하여 공을 세우는 일이며, 그 다음은 그 사람이 남긴 학문과 저술이다. 비록 오래되어도 없어지지 않으므로 이것을 썩지 않는 것이라 한다. (上有立德.其次有立功.其次有立言.雖久不廢.此之謂不朽 대상유입덕, 기차유입공, 기차유입언 수구불폐 차지위불후)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