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56강 흥청망청(興淸亡淸)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56강 흥청망청(興淸亡淸)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2-0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56강 흥청망청(興淸亡淸) : 흥에 겨워 마음껏 즐기며 거드럭거림

글자 뜻 : 興(일으킬 흥/좋아할 흥) 淸(맑을 청) 亡(망할 망)

출 전 : 조선왕조 실록(朝鮮王朝實錄), 한국의 인간상(人間像)

비 유 : 돈이나 물건 따위를 아끼지 않고 마구 쓰는 것을 비유한다.





요즈음 대한민국은 돈이나 물건이 넘쳐나서 부족함을 모르고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불과 3, 40년 전만해도 경제적인 풍요는 일부 사업가나 권력자 외에는 생각해 볼 수 없는 시대를 살았다. 이제는 물질적면은 고사하고 정신력까지 해이해져 역경을 극복하거나 고난을 감내하는 인내심마저 상실된 듯하다. 그야말로 세대별로 좀 다르기는 하지만 모두가 흥청망청(興淸亡淸) 시대를 살고 있는 것 같다.

결국 이 흥청망청은 망(亡)하게 되는 근본이 되며, 모든 것을 잃게 되므로 크게 경계해야할 부분이다.

1494년 조선의 제 10대 왕이 된 연산군(燕山君)은 생모 폐비 윤씨(廢妃尹氏)가 사약(賜藥)을 받고 죽으며 마지막으로 남긴 피 묻은 적삼을 보고 타오르는 복수심에 그의 패악(悖惡)과 폭정(暴政)은 날이 갈수록 심해 갔다.

몇 차례의 피보라가 조정 안팎을 휘몰아치고 나자 쾌락 중독에 젖어든 연산군에게 간신 임사홍(任士洪)과 그 아들 임숭재(任崇載)는 온갖 아부로 연산군의 기분 맞추기에 여념이 없었다. 임사홍 부자가 고심 중에 생각해 낸 묘안(妙案)이 바로 조선팔도의 미녀(美女)들을 징발하여 왕에게 바쳐 왕을 즐겁게 해주는 것을 계획하게 되었다.

드디어 계획이 완성되자 즉시 '채청(採靑), 채홍사(採紅使)'라는 특별 전담반을 구성하였는데 채홍사란 전국 각 지방에 파견되어 미색이 뛰어난 기생이나 여인들을 찾아 한양으로 데려오는 특명을 받은 벼슬아치들을 말한다.

거기에다 이들 채홍사 가운데 성적이 우수한 자는 벼슬은 물론 토지와 노비를 포상으로 주었다. 연산군일기에 '채홍사' 가운데 성적이 가장 으뜸인 자는 임사홍으로서 천여 명이 넘는 미녀를 찾아다 바치고 포상을 제일 많이 받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전국 각지에서 1차로 뽑힌 여인들을 '운평(運平)'이라 불렀으며 그렇게 선발되어 뽑혀온 여인이 무려 일만여 명에 달했다. 그리고 일만여 명의 여인들 중에서도 기예(技藝)와 미색(美色)이 가장 출중한 절세미녀(絶世美女) 50명을 연산군이 직접 심사하여 '흥청(興淸)'이라 불렀다.

거기에다 연산군은 백마(白馬)가 정력(精力)에 좋다고 믿고 말고기를 즐겨 먹었으며 혼인하지 않은 처녀를 '청녀(靑女)'라 칭하여 각 지방 양반가의 미혼 처녀까지 선발하여 데려오기 위해 '채청녀사(採靑女使)'를 8도에 파견시켰다.

특히 당시 행정구역상 전라도에 속했던 제주(濟州)에는 준마와 미녀가 많은 것으로 꼽혔는데 해안 도서지방의 여인들은 해산물 섭취량이 내륙인들보다 많아 혈색이 청정하여 귓볼이 늘어지지 않았으며 생리 활성이 뛰어났다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흥청(興淸)으로 선발된 여인들에게 방중술(房中術)을 통한 건강증진법(健康增進法)을 가르치는 내시부(內侍府) 교육담당 관리도 두었는데 이를 '채홍사'라고 불렀다.

당시 연산군이 연일 사치스러운 잔치와 행사로 탕진하여 소비되는 엄청난 비용을 공신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충당하려 하자 공신들과 관료들의 반감이 커지고 끝내는 박원종(朴元宗)이 중심이 된 중종반정(中宗反正)이 일어나 연산군은 폐위되고 말았다.

수천 명의 절세 미녀들을 껴안고 재물을 물 쓰듯 하다가 신세 망친 연산군의 몰락을 지켜본 이들은 흥청(興淸)은 반드시 망(亡)하는 청(淸)이라는 뜻에서 '흥청망청(興淸亡淸)'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요즈음 민심을 잡기 위해 정부와 여당은 빚을 내어 '재난지원금'이라는 명목하에 마구 돈을 뿌리고 있다. 그야말로 흥청망청 뿌리는 것이다. 오죽하면 국가 곡간을 지키는 총책임자인 재정경제부총리가 "재정은 화수분(河水盆)이 아니다."라고 말했겠는가!

국민이 내는 세금은 정말 한 푼이라도 함부로 쓰면 안 된다. 세금을 내기 위해 벌어야 하는 사람들의 고충과 노력을 한 번이라도 생각하면 흥청망청 쓸 수 없는 것이다.

일을 이루는 것은 하늘을 오르는 것처럼 어렵고, 일을 망치는 것은 터럭을 태우는 것처럼 쉽다고 한다. (성립지난여등천(成立之難如登天) 실추지이여요모(失墜之易如燎毛)

동방의 작은 나라 대한민국이 오늘의 세계적인 위상에 이르기까지는 수많은 국민들의 피와 땀이 녹아있다. 그런데 고작 몇 사람의 권력 연장을 위해 그 위상이 순식간에 허물어지는 현상이 개탄스러울 뿐이다

국민 경제는 무척 어려운데 고관들은 봉급을 꼬박꼬박 타간다. 대통령 연봉이 2억4천만 원에 육박한다. 월급으로 치면 매월 2천만 원이다. 이 돈은 힘든 가장이 이끄는 10개 가정의 수입과 맞먹는다, 이에 대통령이 솔선하여 월급을 200만 원만 받고 그 나머지를 소상공인 돕는데 성금으로 낸다면 나머지 공무원들도 다들 동참할 텐데…….

흥청망청!

오죽하면 교수들이 아시타비(我是他非/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라는 사자성어로 지적했겠는가!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