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85강 서모정의(徐母正義)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85강 서모정의(徐母正義)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8-2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85강: 徐母正義(서모정의) : 서서(徐庶/사람 이름)어머니의 올바른 가치관(價値觀)

글자 : 徐(천천할 서), 母(어머니 모), 正(바를 정), 義(옳을 의)

출처 :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비유 : 나라에 대한 우국충정(憂國衷情)과 자식에게 올바른 길로 인도함





서서(徐庶)는 유비(劉備)의 막료(幕僚)를 지냈으며, 자(字)는 원직(元直), 이름은 복(福)이었으나, 성장한 후 뜻이 있어 서(庶)로 개명하였다, 출신은 영천(潁川)이다.

어려서는 가난하게 자랐지만 검술과 학문을 익혔고, 의협심이 강해 한 때 친구의 원수를 대신 갚아주고 붙잡혔다가, 그 친구의 도움으로 탈출한 적도 있었다. 그 후 느끼는 바가 있어 이름을 서(庶)로 바꾸고 무예 대신 학문에 매진하여 당대 최고의 재사(才士) 제갈량(諸葛亮)과도 친분이 두터울 정도로 당시 현사(賢士) 중의 한 사람이다.

서서(徐庶)는 한(漢)나라 말기 어지러운 나라를 구제하기 위해 자기의 뜻을 펼치려 영웅을 찾아다녔다. 그는 먼저 형주(荊州)의 유표(劉表)와 접촉했으나 그의 인물됨이 마땅치 않아 그를 떠나 유비의 군사(軍師)가 되어 조조(曹操)와 대항하게 되었고, 조조와의 일전에서 승리하므로 유비를 영웅적인 지도자로서의 존재로 부각시켰다.

한편 조조는 유비의 영웅적 기질을 간파하여 늘 경계하는 상태인데 거기다가 서서가 유비의 참모가 되니 더욱 걱정스러웠다. 이를 본 조조의 참모 정욱이 간특한 꾀를 내어 그 어머니를 이용하여 서서를 조조의 진영으로 귀속(歸屬)하도록 일을 진행하였다.

그들은 서서의 노모(老母)를 잘 대접하는 한편 노모의 필적을 빌려 '어머니가 조조에게 잡혀 곧 죽음을 당하게 되었으니 당장 와서 어머니를 구하라!'라는 조작된 편지를 써서 보내게 되었고, 이 편지를 받은 서서는 눈물을 흘리며 유비에게 사실을 이야기하고 유비를 떠나 조조 진영으로 귀속하게 된다.

이에 조조는 서서 노모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직접 방문하여 정중히 인사드리고 잘 모실 것을 약속한다. 노모는 조조에게 "유비는 어떤 인물입니까?"라고 묻는다. 조조가 대답하길 "시골 땅에 살던 보잘것 없는 소인이온데 망령되이 황숙(皇叔/황제의 숙부)이라고 자칭하면서 전혀 신의(信義)가 없는 자입니다. 그야말로 겉으로는 군자요, 안으로는 소인이올시다."라고 답변하니 노모가 크게 노하며 하는 말이 "네 이놈 조조야! 네 거짓말이 너무 심하구나. -중략- 네 이놈! 우리 아들더러 역적인 너를 도와 달라고 하느냐? 상판을 들어 부끄러운 줄 모르느냐!" 그리고는 벼룻돌을 번쩍 들어 조조의 얼굴을 향해 던진다. 정말 강직하고 정의로운 노인이 아닐 수 없다.

한편 서서는 유비의 인물됨을 높이 평가한 후 어쩔 수 없이 유비를 떠나면서 자기 대신 그를 도울 사람 '와룡(臥龍)과 봉추(鳳雛)'를 천거하고 아쉬운 작별을 한다. 그리고 조조의 진영으로 가서 조조를 만나 인사한 후 어머니를 뵈러 집으로 들어갔다.

서서는 당(堂)아래서 절하며 울면서 "어머님 불초자 서(庶)가 돌아 왔습니다." 서서의 어머니는 아들의 목소리를 듣자 깜짝 놀라 당 아래로 뛰어 나오면서 하시는 말씀이 "네가 어찌 여기 왔느냐?" 서서가 대답하길 "그동안 저는 신야(新野)에서 유비를 섬기고 있었사온데 어머님께서 보내신 편지를 받고 밤을 도와 달려온 것입니다." 서서의 말을 듣자 어머니는 발연히 노했다.

주먹을 들어 책상을 치면서 아들을 꾸짖는다. "욕된 자식이 강호를 돌아다닌 지 여러 해 만에 제 처신하는 공부가 좀 나아진 줄 알았더니 도리어 처음만도 못하단 말이냐? 너는 일찍이 글을 읽어서 나라에 충성하는 일과 집에서 효도하는 일이 양전(兩全)되지 못하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네 어찌 한꺼번에 충신 노릇도 하고 효자 노릇도 할 수 있느냐! 조조는 기군망상(欺君罔上)하는 역적이요 유비는 인(仁)과 의(義)로 온 세상에 이름 높은 사람일 뿐 아니라 한실의 후손이다. 네가 그를 섬겼다 하니 주인을 잘 만난 셈인데 한 조각 거짓 편지를 읽고 자세히 살피지도 못한 채 밝은 곳을 버리고 어두운 곳으로 찾아와서 스스로 악(惡)한 이름을 취했으니 참으로 어리석은 놈이다. 내가 무슨 면목으로 너를 대해 보겠느냐 너는 공연히 천지간에 나서 조상을 욕되게 하는 자이다."라고 하니 서서는 땅에 엎드려 어머니의 꾸지람을 들으며 감히 고개를 들어 우러러보지 못한다. 어머니는 노기 가득하게 아들을 꾸짖고 병풍 뒤로 들어간다.

얼마 뒤에 집안사람이 급하게 나와 고한다. "노부인께서 보에 목을 매어 돌아가셨습니다." 서서는 어머니의 주검을 보고 땅을 치고 통곡한다. 그는 기절되었다가 얼마 만에 다시 소생되었다.

이 고사는 요즈음 시대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아마 시대가 맞았다면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에 기록되어 후세까지 신사임당처럼 모범된 훌륭한 어머니상(像)으로 오래도록 기억되었을 것이다.

인류의 거친 역사는 대부분 남자들의 전쟁역사에 의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왕조의 창업이 그러했고, 침략과 수성(守成), 이어 경장(更張)의 역사는 분명 남자들에 의해 이룩된 역사다. 그러나 그 내면 깊숙이에는 어머니와 아내의 조용하면서도 강인한 교육과 내조가 자리매김 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모두 공감할 것이다.

역사 속에서 순(舜)임금의 두 아내, 문왕(文王)을 낳아 기르고 주나라의 토대를 탄탄하게 다져 놓은 주(周)나라 삼모(三母), 맹자의 어머니, 율곡의 어머니, 서서의 어머니 등의 아들에 대한 참 교육은 올바르면서 결코 악(惡)과 타협하지 않는 강한 남자를 길러내는 현숙한 어머니와 아내 역할 때문임을 잘 깨달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서 뿔난다는 격언대로 소인(小人)이면서 군자(君子)인척 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그 임금을 속이고 상관을 함부로 대하는 소인임이 분명하다.

『不顧義理之得失而一以謀利計功爲心者小人(불고의리지득실이일이모리계공위심자소인)

의리에 맞는가는 살펴보지 않고 오로지 이익과 공적만을 생각하는 자는 소인이요

不顧人之是非而一以正義?道爲心者必君子(불고인지시비이일이정의명도위심자필군자)

남들의 시비를 살펴보지 않고 오로지 정의와 도리를 생각하는 자는 분명히 군자이다.』

서서의 어머니에게서 받은 교훈이야말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 마음속에 깊이 각인될 것이다.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3.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4.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5. 김장 필수품, 배추와 무 가격 안정화... 대전 김장 담그기 비용 내려가나
  1. 대전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최우수'
  2.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국 신청률 97.5%… 충청권 4개 시도 평균 웃돌아
  3. 대전대 박물관, 개교 45주년·박물관 개관 41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4.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5. 최고 1436% 이자 받아챙긴 40대 대부업자 실형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3일 열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당일 수험생은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반드시 수험표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단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구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을 향해 수능 하루 전인 12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을 안내받을 것을 당부했다.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과목을 확인해야 하며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시험 당..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약 7개월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잇따라 대전을 찾아 충청 민심 다지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4일 한남대에서 특강을 했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5일 대전시청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충청권에서 여야 대표가 맞불을 놓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5일 대전시청에서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과 주요 현안을 점검한다.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