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in 충청] 150만 대전 인구 무너진 2019년, 지역내총생산 12년 사이 20조 올랐다

  • 정치/행정
  • 대전

[데이터 in 충청] 150만 대전 인구 무너진 2019년, 지역내총생산 12년 사이 20조 올랐다

2007년, 2019년 대전 성장통계 살펴보니…
2007년 황금돼지해 효과로 출생아 수 1만5705명
총예산 2019년 8조1267억원, 전년보다 14% 올라
공공도서관 16곳에서 26곳으로, 자료수는 2배 ↑

  • 승인 2021-10-16 02:33
  • 수정 2021-10-30 16:39
  • 신문게재 2021-10-19 6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도시가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지표는 단순히 인구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교육과 문화, 환경과 교통, 복지 등 여러 분야에서 고른 발전을 이뤄야 질적인 성장과 도시의 면모를 갖췄다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가 해마다 발표하는 '성장통계'를 살펴보면 행정은 물론 도시의 변화가 눈에 보인다. 2007년과 2019년, 12년 사이 대전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111
그래픽=한세화 기자
2007년 대전시의 행정구역은 5개 구 81개 동 2627개 통, 1만3674개 반이다. 1989년 직할시 출범 당시 76개 행정동에서 대전광역시로 명칭 변경 후 1997년 87개 행정동으로 확대했으나 주요 동을 통·폐합하면서 81개 동으로 소폭 줄었다.

2019년 행정동은 79개, 2580개 통, 1만4517개 반으로 변화했다. 행정과 통은 12년 사이 감소했지만, 반은 늘어났다. 자치구를 구성하는 가장 큰 단위 동은 통합으로 묶였으나 통은 반대로 세분한 것으로 확인된다.



2007년 당시 대전시는 7대 도시 중 평균 인구증가율이 가장 높은 도시였다. 당시 12월 말 인구는 148만7836명으로 최근 5년 사이 인구증가율이 0.9%였다. 당시 황금돼지해 효과로 출생아 수는 1만5705명으로 1일 평균 43명이었다. 대전은 1995년 2만1574명으로 출생아 수 정점을 찍은 후 2000년 밀레니엄 베이비 붐으로 1만9402명을 기록했으나 이후 줄곧 감소세를 보였다.

2019년 인구는 149만973명이었는데, 전국 인구의 2.8%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그러나 150만 대전시 인구 선이 무너진 해였다. 12년 만에 출생아 수도 반토막 났다. 2019년 8410명 1일 평균 23명이다. 연평균 출생아 수 2만 명이 무너진 건 1998년, 1만 명 선이 무너진 때는 2018년부터다. 출생아 감소는 결혼과도 연결되는데, 2007년 혼인은 쌍춘년 효과로 증가세를 보여 그해 9684건, 1일 평균 27건이다. 그러나 2019년은 이보다 크게 줄어 연 6602건에 불과했고 1일 평균도 18.1건으로 줄었다.

도시가 커지고 복합적인 발전이 이뤄질수록 대전시의 총예산 규모도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12년 사이 예산은 무려 5조 원 증액됐다. 5개 자치구 예산을 포함해 2007년 총예산은 3조9801억 원, 2019년은 8조1267억 원이었다. 지난해보다 각각 17.2%, 14% 증가한 규모로 굵직한 현안 사업은 물론 시민 삶과 직결되는 예산 투입이 늘었다는 증거다.

222
그래픽=한세화 기자
지역 내 총생산을 뜻하는 GRDP 규모는 2007년에 비해 2019년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2007년에는 20조5852억 원으로 전국 912조 원의 2.3%였는데, 2019년은 42조7943억 원으로 전국 1923조7774억 원의 2.2% 규모였다. 1인당 GRDP는 각각 1384만7000원, 2836만4000원으로 2배 증가했다.

12년 사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분야의 변화도 감지됐다.

도시가스 수용 가구는 2007년 43만2345가구에 불과했고, 판매량은 54만7417㎡였으나 20119년은 도시가스 수용가구 60만4211가구로 늘었고 판매량은 73만4613㎡로 증가했다. 공공도서관은 2007년 16곳에서 12년 만에 26곳으로 늘었는데, 도서관 자료 수는 178만3607권에서 324만1400권으로 2배가량 늘었다. 연간 이용자는 각각 600만 명, 732만 명으로 자료 수가 늘어난 만큼 이용자 수도 증가했음을 엿볼 수 있다.

복지 분야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는 2007년 2만3193가구 4만6490명이다. 2019년은 4만1803가구, 수급자는 6만9317명이다. 이는 단순히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 증가가 아니라 수급자가 들어올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하면서 복지혜택을 늘렸기 때문이다. 정부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계속 완화하고 있다. 교육급여와 주거급여 부양의무자 기준은 없앴고, 대전시는 10월 1일부터는 생계급여는 조건부로 고소득자만 제외해 사각지대의 복지 영역을 늘려가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성장통계는 성장추세를 10년 단위로 보는 것으로 대전의 순차적인 변화와 발전을 엿볼 수 있다. 1995년부터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장과 국회의원 만남... 현안 해결 한뜻 모을까
  2. 충청권에 최대 200㎜ 물폭탄에 비 피해신고만 200여 건 (종합)
  3.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교실 복도 곳곳 균열… 현장 본 전문가 의견은
  4. 폭우 피해는 가까스로 피했지만… 배수펌프·모래주머니 시민들 총동원
  5. 대전 대표 이스포츠 3개 팀 창단
  1. [월요논단] 충청권 메가시티를 위한 합리적 교통망에 대한 고찰
  2. 조원휘, "충청권 광역철도망 확충은 국가균형발전과 직결"
  3.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이전 기념식 가져
  4. 대전 동구, '중앙시장 버스전용주차장' 운영
  5. 충청 여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강대강 대립… 협력 없이 네 탓만?

헤드라인 뉴스


미카 129호 어떻게 되나… 코레일 `철도기념물 지정` 예정

미카 129호 어떻게 되나… 코레일 '철도기념물 지정' 예정

딘 소장 구출 작전에 투입됐다며 전쟁 영웅으로 알려졌던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 뒤바뀌면서 이를 바로잡기 위한 절차가 본격 진행된다. 6·25 전쟁에 투입됐고, 한국 철도 역사에도 큰 역할을 했다는 이유로 국가등록문화유산에 등재됐던 미카 129호가 결국 등록 말소되면서 대전 지역 곳곳에 놓여있는 여러 상징물에 대한 수정 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이다. 23일 본보 취재에 따르면,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가 지난 12일 국가등록문화유산에서 말소됐다. 당시 북한군에 포위된 제24사단장 윌리엄 F. 딘 소장을 구..

벽걸이형 에어컨 냉방속도 제품마다 최대 5분 차이
벽걸이형 에어컨 냉방속도 제품마다 최대 5분 차이

벽걸이형 에어컨의 냉방속도가 제품마다 최대 5분가량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어컨 설정·실제 온도 간 편차나 소음, 가격, 부가 기능도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벽걸이형 5종인 7평형 에너지소비효율등급 1등급 제품 LG전자(SQ07FS8EES)와 삼성전자(AR80F07D21WT) 각 1종, 6평형 5등급 제품 루컴즈전자(A06T04-W)·캐리어(OARB-0061FAWSD)·하이얼(HSU06QAHIW) 각 1종에 대해 평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냉방속도는 삼성전자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국힘 충청권 국회의원·당협위원장 “해양수산부 이전 철회하라”
국힘 충청권 국회의원·당협위원장 “해양수산부 이전 철회하라”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들이 23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수부 부산 졸속 이전은 충청도민에 대한 심각한 배신행위”라며 “이미 오래전에 국민적 합의가 끝난 행정수도 건설을 사실상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또 “행정수도 건설은 특정 지역의 유불리와 관계없는 일이다. 헌법 제123조에 명시된 가치인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진행돼온 일이며, 대한민국 전체와 모든 국민을 위한 일”이라며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이 해수부 이전을 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첫 여름김장 봉사 ‘온정 듬뿍’ 대전 첫 여름김장 봉사 ‘온정 듬뿍’

  •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에 국제유가 상승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에 국제유가 상승

  •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