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93강 이전투구(泥田鬪狗)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93강 이전투구(泥田鬪狗)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10-1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93강: 泥田鬪狗(이전투구) : 진흙 밭에서 싸우는 개

글자 : 泥(진흙 이/ 니), 田(밭 전), 鬪(싸움 투), 狗(개/강아지 구)로 구성된다.

비유 : 명분(名分)이 서지 않는 일로 싸우거나 체면을 돌보지 않고 이익을 다툼



사람들에게 "이전투구(泥田鬪狗)가 무엇을 뜻하는가?"를 물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 와 "정치 싸움을 하는 정치인" 이라고 대답한다.



이는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의 정치판이 국민이 바라는 반대로 움직임에 대한 답변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정치가 '개의 싸움'으로 표현될 정도로 정치권이 국민들의 신뢰(信賴)에 대한 생각과 정서(情緖)의 정반대로 더럽게 변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왜 하필 정치권을 진흙 밭으로 비유하고 정치인들을 개에다 비유 하였을까?

진흙 밭은 비온 후 질펀한 흙이 오물과 섞이어 모두들 꺼리는 장소로써 세인(世人)들에게 비친 진흙 밭은 더러운 곳을 상징하는 비어(卑語)로 소위 위정자들이 자신의 이익(利益)만을 위해 원칙도 양심도 없이 거짓과 술수를 사용하는 본전(本殿)으로 시궁창에 버금가는 더러운 곳이기 때문이다.

개(犬/狗)는 인간에게 복종하는 몇 안 되는 대표적인 충성스런 동물로 인식되어있다. 그러나 자기 이득(利得)함(먹을 것과 이성을 차지하는 욕심)을 부릴 때만은 더러울 만큼 추잡(醜雜)하고 변심(變心)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조선 건국 초 태조(太祖)가 개국공신인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에게 인재등용(人材登用)문제로 대화 중 팔도(八道)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기질(氣質)을 평(評)하라고 한 일이 있었다.

정도전은 다음과 같이 평했다. "경기도는 경중미인(鏡中美人/ 거울 속에 비친 미인), 충청도는 청풍명월(淸風明月/ 맑은 바람과 밝은 달), 전라도는 풍전세류(風前細柳/ 바람 앞에 하늘거리는 가는 버들), 경상도는 송죽대절(松竹大節/ 소나무나 대나무 같은 굳은 절개), 강원도는 암하노불(巖下老佛/ 바위 아래 늙은 부처), 황해도는 춘파투석(春波投石/ 봄 물결에 던져진 돌), 평안도는 산림맹호(山林猛虎/ 삼림 속의 용맹한 호랑이)입니다." 그리고 나서 정도전은 태조의 출신지인 함경도에 대해서는 평을 하지 못했다. 태조가 아무 말도 좋으니 어서 말하라고 재촉하자 정도전이 말했다. "함경도는 이전투구(泥田鬪狗/ 진흙 밭에서 싸우는 개)입니다." 태조의 안색이 변하자 눈치 빠른 정도전이 곧 말을 고쳐 대답했다. "함경도는 또한 석전경우(石田耕牛/ 돌밭에서 밭을 가는 소)이기도 합니다." 태조는 그제야 용안에 희색을 띄며 후한 상을 내렸다.

참고로 다른 기록에는 경상도를 태산준령(太山峻嶺), 황해도를 석전우경(石田牛耕), 평안도를 맹호출림(猛虎出林)이라고 기록된 문헌도 있다. 모두 다 같은 표현이다. 팔도 사람에 대한 이런 평의 출전은 정확히 알 수가 없는데, 아마 구전으로 내려오는 말이 아닌가 추측된다. 이 성어는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치판은 바르지 못하여, 부정과 부패가 늘 정치판을 따라다닌다. 정치인들은 자기 이익을 위해서라면 옆조차 돌아보지 않는 추잡(醜雜)한 행동을 실제로 행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요즈음은 날이 갈수록 더하여 국민을 대상으로 거짓과 배신을 밥 먹듯하여 국민을 잘 속이고 자기 이(利)속을 잘 챙기는 사람이 고(高)단수의 정치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제는 불법과 부정을 저지름을 넘어 법을 마음대로 바꾸기까지 하는 실정이다.

이번 후보자 TV토론 때 이미 지나간 당(黨)도 있고, 아직 진행 중인 당(黨)도 있지만 대선후보자들이 보여준 후보들의 행태는 국가나 국민을 위한 정책보다는 상대방을 깎아 내리는 아주 밑바닥 수준을 연출했다. "과연 저런 사람들에게 나라를 맡길 수 있겠는가?"라는 회의적 생각이 들 정도의 이전투구(泥田鬪狗)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사자성어에 아시타비(我是他非)라는 말이 있다.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뜻이다. 곧 요즈음 신조어로 유행하는 내로남불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2020년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된 용어이기도 하다.

이어 선현(先賢)들은 자인타관(自吝他寬/자신에게는 인색하고 남에게는 관대하라)이라는 단어와 대인춘풍 지기추상(待人春風 持己秋霜/남을 대우함에는 봄바람처럼 온화하게 하고, 자신을 대할 때는 가을서리 같이 엄중 하라)이란 말로 마음을 추스르고 남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엄격하게 자제하여 올바르고 화합된 모습을 물려주었다.

정치인들이여! 바르고자 노력했던 선현들의 그림자라도 따라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에 국민들도 투표의 권한 행사를 선거 때 일어나는 일시적인 바람에 의하지 말고, 진정한 일꾼을 뽑는 바른 선택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