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26강 진충보국(盡忠報國)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26강 진충보국(盡忠報國)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2-06-15 22:43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126강 : 盡忠報國(진충보국) : 충성(忠誠)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恩惠)에 보답하다.

글 자 : 盡(다할 진), 忠(충성 충), 報(갚을 보), 國(나라 국)으로 구성된다.

출 전 : 송사(宋史) 악비전(岳飛傳)

비 유 : 나라를 지키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공훈(功勳)에 보답함.



6월이다. 이미 중순이 지나간다.

어김없이 올해도 우리는 호국보훈(護國報恩)을 잊지 않고 나라에서 그분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 있다.

특히 6일은 나라에서 현충일(顯忠日)로 지정하여 호국 영령(英靈)의 묘 앞에서 그분들의 뜨거운 애국정신을 상기하고 그분들의 유업(遺業)을 이어받아 기필코 이 땅에 조국통일을 완수하겠다고 다짐하곤 한다.

6월을 살펴보면 1일(의병의 날), 6일(현충일), 10일(민주항쟁 기념일), 15일(제 1연평 해전), 9일(제 2연평 해전) 25일(6. 25전쟁일)등, 6월은 우리나라에 유난히 아픔이 많았던 달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를 기리기 위해 호국보훈의 달로 지정한 것이다.

우리는 다행히 조국(祖國)과 자유민주주의(自由民主主義)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쳤던 장하고도 훌륭한 선조들 덕분에 넉넉하고 평화로운 나라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다.

이에 진충보국(盡忠保國)은 혼란의 시기에 나라를 지켜냈던 영웅들의 표상(表象)이기도 하다

부정부패(不正腐敗)가 만연했던 송(宋)나라는 금(金)나라를 이겨내지 못하고 결국 굴복해서 황하(黃河) 이북의 땅을 모두 금나라에 내어주고 휘종(徽宗)과 그의 아들 흠종(欽宗)은 수도(首都)인 개봉(開封)이 함락될 때 포로로 잡혀서 북방으로 끌려가 그곳에서 죽고 말았다.

이런 와중에서도 휘종의 아홉째 아들인 강왕(康王)은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서 탈출하였다. 그는 장강을 건너 절강 임안(臨安)에서 남송(南宋)을 개국하여 고종(高宗)이 되었고 송(宋)나라도 겨우 명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당시 송나라 조정에 있던 대신들은 대부분이 무능하고 어리석은데다가 놀기를 좋아해서 나라의 큰일은 돌보지 않고 사리사욕(私利私慾)을 채우기에 급급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송나라에는 악비(岳飛)라는 충신 영웅이 있었다.

그는 무예와 병법에 출중했으며 밤낮으로 나라의 위기에 대해 염려하였고, 이런 난세를 보면서 악비는 탄식을 금할 수 없었다. 이때 아주 현명하고 대의에 밝은 악비의 어머니는 아들이 나라를 위해 늘 걱정을 하면서 국가를 위해 큰일을 하겠다는 결심을 세운 것을 알고 매우 기뻐하며 격려하였다.

어느 날 악비의 어머니는 아들이 서재에서 나라의 장래를 걱정하며 탄식하는 것을 보고 아들에게 말했다.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든지 간에 너는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런 뜻에서 내가 네 등에 문신(文身)을 새겨 주고자 하는데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어머니의 말을 들은 악비는 즉시 웃옷을 벗고 돌아앉아 어머니에게 문신을 새기게 하였다.

악비의 어머니는 서슴없이 아들의 등에 '진충보국(盡忠報國)' 네 글자를 새겨 넣었다.

그 후 악비는 북벌을 하여 휘종과 흠종을 모셔 오고 빼앗긴 강토를 수복하자고 주장했지만 휘종(徽宗)의 아홉째 아들 고종은 화의(和議)를 주장하는 진회(秦檜)의 말만 듣고 악비의 말은 무시하였다.

결국 악비는 진회의 음모에 빠져 서른아홉이라는 젊은 나이에 국가에 충성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억울한 죽음을 당하고 말았으며 송나라는 금나라에 군신(君臣) 관계를 맺기에 이르렀다.

악비의 어머니가 정성스럽게 아들의 등에 진충보국(盡忠報國)이란 문신을 새겨 주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하여 악비와 같이 나라와 민족을 위해 개인의 이익은 돌보지 않고 일하는 것을 진충보국(盡忠報國)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도 이보다 훌륭한 어머니들이 수없이 많다

그 중 안중근 의사(安重根 義士)어머니이신 조 마리아께서 아들(안중근)에게 보낸 짧은 서신을 소개한다. (아들이 감옥에서 사형선고를 받은 소식을 듣고 보낸 서신이다.)

'네가 만약 늙은 어미보다 먼저 죽는 것을 불효라 생각한다면 이 어미는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너의 죽음은 너 한 사람 것이 아니라 조선인 전체의 공분을 짊어지고 있는 것이다. 네가 항소(抗訴)를 한다면 그것은 일제(日帝)에 목숨을 구걸하는 짓이다. 네가 나라를 위해 이에 이른 즉 딴 맘먹지 말고 죽으라. 옳은 일을 하고 받은 형(刑)이니 비겁하게 삶을 구하지 말고 대의(大義)에 죽는 것이 어미에 대한 효도이다. 아마도 이 편지가 이 어미가 너에게 쓰는 마지막 편지가 될 것이다. 여기에 너의 수의(壽衣)를 지어 보내니 이 옷을 입고 가거라. 어미는 현세에서 너와 재회하기를 기대치 않으니 다음 세상에는 반드시 선량한 천부의 아들이 되어 이 세상에 나오거라.'

이보다 더 가슴 아프고, 쓰라린 어머니의 심정이 있을까!

당시 이 편지를 쓴 어머니의 마음은 천 갈래 만 갈래 찢어졌을 것이다. 이러한 어머니가 있는 한 우리 대한민국은 또 다른 안중근을 기대할 수 있다.

6월!

조국(祖國)을 위해 진충보국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든 국민의 결의에 찬 진심된 각오를 믿는다.

우리는 누가 뭐래도 다시 조국(祖國)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206070100031920000928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3.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4.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5. 김장 필수품, 배추와 무 가격 안정화... 대전 김장 담그기 비용 내려가나
  1. 대전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최우수'
  2.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국 신청률 97.5%… 충청권 4개 시도 평균 웃돌아
  3. 대전대 박물관, 개교 45주년·박물관 개관 41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4.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5. 최고 1436% 이자 받아챙긴 40대 대부업자 실형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3일 열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당일 수험생은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반드시 수험표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단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구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을 향해 수능 하루 전인 12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을 안내받을 것을 당부했다.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과목을 확인해야 하며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시험 당..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약 7개월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잇따라 대전을 찾아 충청 민심 다지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4일 한남대에서 특강을 했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5일 대전시청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충청권에서 여야 대표가 맞불을 놓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5일 대전시청에서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과 주요 현안을 점검한다.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