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54강 방휼지세(蚌鷸之勢)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54강 방휼지세(蚌鷸之勢)

장상현/인문학 교수

  • 승인 2023-02-0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54강: 蚌鷸之勢(방휼지세) : 조개와 도요새의 세력 다툼

글 자 : 蚌(민물조개 방) 鷸(도요새 휼) 之(관형격 조사/ ~~의) 勢(기세 세)

출 처 :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비 유 : 서로 맞서서 양보하지 않고 다투는 형세(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의 고사성어는 흔히들 '어부지리(漁父之利)'라는 고사로 더 알려져 있고, 또 많이 인용되고 있다

이 내용은 서로 먹히느냐 안 먹히겠느냐 하고 다투다가 오래 가지 않아 결국(結局)은 제3자(第三者)에게 이익(利益)을 주게 되는 형세(形勢)를 이르는 말이다.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 진(秦)나라는 여러 나라를 병탄(竝呑)하여 천하(天下)를 제패(制覇)하려고 했다.

이때 조(趙)나라와 연(燕)나라 사이에 마찰(摩擦)이 생겨, 조(趙)나라는 연(燕)나라를 침략(侵略)하고자 준비(準備)를 서둘렀다.

이즈음 연나라에 기근(饑饉)이 들어 곤경에 처하자 침략의 준비를 마친 조나라가 마침내 침략하려 하였다. 이러한 상황의 정보를 탐지한 연(燕)나라 소왕(昭王)은 세객(說客) '소대(蘇代)'를 조나라 왕에게 보내어 조나라 혜왕(惠王)을 설득(說得)하도록 했다.

조나라(趙)나라에 도착(到着)한 소대(蘇代)는 한 가지 예를 들어 혜왕(惠王)을 설득(說得)했다.

"제가 이 나라에 들어올 때, 역수(易水)를 지나다가 우연(偶然)히 냇가를 보니 조개(蚌)가 입을 벌리고 볕을 쬐고 있었는데, 도요(鷸)새 한 마리가 날아와 조개를 쪼자, 조개는 급히 입을 꽉 다물어 버렸습니다.

다급해진 도요새가 "오늘도 내일(來日)도 비가 오지 않으면 너는 목이 말라죽을 것이다."라고 하자, 조개도 "내가 오늘도 내일(來日)도 놓지 않고 꽉 물고 있으면 너야말로 굶어 죽고 말걸." 했습니다.

이렇게 한참 다투고 있는데, 지나가던 어부(漁夫)가 이를 보고, 힘들이지 않고 둘 다 잡아가고 말았습니다.

이어서 소대(蘇代)는 "왕(王)께서는 지금 연(燕)를 치려하십니다만, 연나라가 조개라면 조나라는 도요새입니다. ?지금 연나라와 조나라가 공연(空然)히 싸워 국력(國力)을 소모(消耗)하면, 저 강대(?大)한 진秦)나라가 어부(漁夫)가 되어 맛있는 국물을 마시게 될 것입니다." 하고 말했다.

현명(賢明)한 조나라 혜문왕(惠王)은 소대(蘇代)의 말을 알아듣고 연(燕)나라를 침략하려던 계획(計劃)을 중단(中斷)했다고 한다.

생각해 보건대 어울려서 천 년을 사는 산 속 나무는 바람이 부는 쪽에는 가지가 없다.

나무는 가지가 바람에 맞서면 부러진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나무는 본능적으로 바람이 불지 않는 곳으로 가지를 뻗어야 오래 산다는 걸 알고는 있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말이 있다. 평지에 튀어나온 돌은 발길에 걷어차이게 되어 있다. ?인생을 마치 모난 돌처럼 살면 결국 평생을 남과 다투면서 힘들게 사는 처지가 되는 것이다.

우리는 '함께'라는 말을 좋아하고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함께'라는 말은 참 다정하고 소중한 말이다. ?우리는 늘 누군가와 함께하면 행복해진다. 인생을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함께 혹은 어울림의 실천이 아닐까?

서로 양보하며 한 발자국씩 다가서는 '함께하는 행복한 날들' 이 되길 노력하는 인생은 감히 성공한 인생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이러한 쉽고 평범한 진리를 알면서도 막상 욕심 앞에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본의(本意)의 바탕조차 허물어지고 마는 것이다. 그런데 왠지 많이 배우고, 많이 소유하고, 남보다 지위(地位)나 명성(名聲)이 높은 사람들 일수록 더 소유하려 하고, 더 높은 지위와 명성을 얻기에 유달리 집착하는 것을 보면 인간은 욕심을 채우기 위해 생겨난 어리석은 존재인지도 모른다.

더군다나 자기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남을 해치거나 거짓(속임수), 심지어는 공갈(恐喝), 협박(脅迫)으로 행동하는 경우 또한 많다.

동물들은 먹이 사냥을 하고 배가 부르면 더 이상 욕심을 내지 않고 편히 쉬며 한가함을 즐긴다고 한다.

욕심과 쓸데없는 고집으로 화를 불러 결국은 제 3자에게 이득을 주게 되는 '방휼지세(蚌鷸之勢)'와 같은 단순히 우화(寓話)로만 가볍게 넘어갈 말이 아닌 것 같다.

결국 욕심은 재앙을 부르고 그 메아리는 자신에게 곧바로 닥치는 부메랑이 되어 자신과 나아가 자손에게까지 해를 끼치는 참혹한 결과를 맞게 되는 것이다.

지금도 여의도에서는 정쟁(政爭)과 권력다툼으로 매일을 자기들끼리 다투는 일에 전심을 다하고 있다.

그것이 국민들이 손해되는 민생파탄(民生破綻)의 길이고, 적국(敵國), 또는 제 3국을 이롭게 하는 자중지란(自中之亂)의 행동인지도 모르고 열심히 싸우고만 있으니 조개와 도요새만도 못하다는 평을 들을 수밖에 없는 것 아니겠는가?

장상현/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3.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4.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5. 김장 필수품, 배추와 무 가격 안정화... 대전 김장 담그기 비용 내려가나
  1. 대전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최우수'
  2.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국 신청률 97.5%… 충청권 4개 시도 평균 웃돌아
  3. 대전대 박물관, 개교 45주년·박물관 개관 41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4.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5. 최고 1436% 이자 받아챙긴 40대 대부업자 실형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3일 열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당일 수험생은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반드시 수험표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단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구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을 향해 수능 하루 전인 12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을 안내받을 것을 당부했다.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과목을 확인해야 하며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시험 당..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약 7개월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잇따라 대전을 찾아 충청 민심 다지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4일 한남대에서 특강을 했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5일 대전시청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충청권에서 여야 대표가 맞불을 놓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5일 대전시청에서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과 주요 현안을 점검한다.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