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69강 박기대용(薄技大用)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69강 박기대용(薄技大用)

장상현/인문학 교수

  • 승인 2023-07-04 00:00
  • 수정 2023-08-02 10:06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69강: 薄技大用(박기대용) : 하찮은 기술이라도 크게 쓰일 수 있다.

글 자 : 薄(얇을 박) 技(기술 기) 大(큰 대) 用(쓸 용)

출전 : 회남자(淮南子) 도응훈(道應訓)

의미 / 비유



세상 모든 사람들은 어떻든 한 가지 재주는 있는 법.

비범한 재주는 비범한 재주대로 유용하고, 하찮은 재주도 반드시 쓰일 곳이 있다.

박한 재주를 하찮게 보아 소홀히 하면 아니 됨을 비유함.



옛날 어른들의 말씀에 "사람은 날 때 모두가 자기 먹을 것은 타고 난다."라고 하시는 말씀이 무슨 말인지 잘 몰랐다가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니 사람들은 어떤 면이든지 한 가지 재주는 반드시 가지고 있어서 자기 밥벌이는 할 수 있다는 말씀이구나 생각하니 천번 만번 옳으신 말씀이라 생각된다.

이 시대는 무한경쟁의 시대이고, 과학을 바탕으로 한 수십만 가지의 기능으로 세상이 얽혀져 운영되고 있다.

그 기능 속에 사람들마다 제각각 머리나 손재주로, 또는 예술 분야나, 운동 분야 등 각자의 타고난 재주로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누구든지 노력만하면 자기가 가진 재주로 세상을 살아가는데 부족함이 없는 세상이다.

초나라 선왕(宣王, 재위 BC369~340) 시대 '자발(子發)'이란 장군은 무엇이나 한 가지 장기(長技)를 가진 자면 모두 휘하에 모아 중용(重用)하였다. 그러한 소문이 퍼지자 각지에서 특기(特技)를 가진 자들이 모여들었는데 그날도 어떤 자가 찾아와 뵙기를 청했다.

"저는 도둑질을 조금하니 거두어 주십시오." 자발(子發)은 옷도 미처 갖추어 입지 않은 채 맨 발로 나아가 그를 맞이하면서 휘하(麾下)에게 잘 대접하라고 명했다. 그러나 부하들은 투덜대며 "장군은 저런 보잘 것 없는 도둑놈을 어디에 쓰려고 거두라 하십니까?"

자발이 말하기를 "그건 그대들이 알 바 아니다."

얼마 후 제(齊)나라가 초(楚)나라를 침공해와 자발도 왕명(王命)을 받고 출전해야 했다. 제나라 군사의 맹렬한 공격에 초나라 군사는 힘을 쓰지 못하고 연속 패했다. 갖가지 계책을 다 써 보았지만 제나라 군사의 기세를 막을 수 없어 위급하게 되었다. 그때에 자발 앞에 그 도둑이 나타났다.

"그동안 미천한 저를 거두어 주시어 감사합니다. 오늘은 제가 장군의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조그마한 기술을 시험해 보겠습니다. 저를 적진(敵陣)으로 보내 주십시오."

"그렇게 하겠네."

자발이 도둑을 적진으로 침투시킨 것을 본 군사들이 비웃었다.

"장군님도 망령이시지 저런 놈을 보내 무엇 하시겠다는 건지, 원!"

적진으로 침투한 도둑은 밤중에 몰래 적장의 침실로 숨어들어 장군의 목도리를 훔쳐왔다.

날이 밝자 자발은 군사 한 사람을 시켜 그 목도리를 제나라 군중으로 보내며 말했다.

"어제 우리 군사들이 땔감을 줍다가 장군의 목도리를 주어 왔기에 돌려드립니다."

둘째 밤에는 적장의 베개를, 셋째날 밤에는 적장의 상투비녀를 훔쳐 돌려보내자 적장은 더럭 겁이 났다.

자신의 침실(寢室)을 거침없이 드나드는 적인만큼 언제 자신의 목을 베어갈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즉시 군사를 거두어 돌아가고 말았다. 그러자 이제까지 자발장군을 비웃던 참모들이 감탄하며 말했다.

"기술은 크고 작은 것이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달렸구나!"

역사적으로 볼 때 인재를 두루 공평하게 등용하여 적재적소에 보직하여 잘 활용한 군주는 찬란한 태형성대를 이루었고, 유능한 인재를 멀리하고 자기 비위나 맞추고 듣기 좋은 말만하는 아첨꾼들을 중용한 군주는 자신도 폐인(廢人)이 됨은 물론 나라까지 망하고 말았다.

이러한 하찮은 재주도 높이 평가하여 성공을 이룬 사람의 대표적인 예가 당태종(唐太宗), 춘추시대 맹상군(孟嘗君)과 주(周)나라 초기 주공(周公)이다. 그들은 특유한 인재관리로 성공하여 鷄鳴狗盜(계명구도) 吐哺握發(토포악발) 등의 유명한 고사성어(故事成語)를 남겼다.

세상 모든 사람들 중 쓸모없는 사람은 없다. 천(賤)한 재주를 가진 사람도 긴요하게 쓰일 곳이 있다. 그리고 그들에게 선(善)을 베풀면 선(善)이 돌아오고, 악(惡)을 베풀면 악(惡)이 돌아온다는 가장 기본적인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 이 세상은 혼탁하고 어지러운 세상이 되는 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장상현/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3.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4.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5. 김장 필수품, 배추와 무 가격 안정화... 대전 김장 담그기 비용 내려가나
  1. 대전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최우수'
  2.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국 신청률 97.5%… 충청권 4개 시도 평균 웃돌아
  3.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4. 대전대 박물관, 개교 45주년·박물관 개관 41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5. 최고 1436% 이자 받아챙긴 40대 대부업자 실형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3일 열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당일 수험생은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반드시 수험표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단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구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을 향해 수능 하루 전인 12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을 안내받을 것을 당부했다.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과목을 확인해야 하며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시험 당..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약 7개월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잇따라 대전을 찾아 충청 민심 다지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4일 한남대에서 특강을 했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5일 대전시청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충청권에서 여야 대표가 맞불을 놓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5일 대전시청에서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과 주요 현안을 점검한다.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