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80강 정중지와(井中之蛙)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80강 정중지와(井中之蛙)

장상현/인문학 교수

  • 승인 2023-08-2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80강: 井中之蛙(정중지와) : 우물 안의 개구리

이는 제한된 환경과 지식 내에서만 세상을 바라보는 현상을 말할 때 사용된다. 마치 우물 안에서만 세상을 바라보는 개구리처럼, 우리 인간들은 종종 우리의 생각과 지식의 한계와 자기가 처한 환경 속에서 자기만을 보고 세상을 이해 및 평가(評價) 하려고 한다.

이런 현상은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과 관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돈, 명예, 권력 등에서 더 심하게 적용된다.

가을비가 때맞게 내려 온갖 냇물이 황하(黃河)로 흘러들자 강(江)을 관장하는 신(神) 하백(河伯)은 세상의 모든 것을 자신이 다 갖고 있다고 생각하며 흡족해했다. 그러다가 강을 따라 동쪽으로 가다가 북해(北海)에 이르러 동쪽을 보았더니 물의 끝이 보이지 않았다. 비로소 하백은 자기의 식견이 좁음을 한탄하며 북해 신(神)인 若(약)에게 하마터면 후세의 웃음거리가 될 뻔 했다고 말했다. 약은 하백에게 일러준다.



"우물 안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해 설명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그들이 좁은 장소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井蛙不可以語於海者 拘於虛也/정와불가이어어해자 구어허야), 여름 벌레에게 얼음에 대해 말해줄 수 없는 것은 그들이 살고 있는 여름만 고집하기 때문이다(夏蟲不可以語於氷者 篤於時也/하충불가이어어빙자 독어시야).'

이렇게 말하고 북해의 신(神)인 약(若)은 하백(河伯)자신이 보잘 것 없다는 것을 깨달았으니 大道(대도)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위의 정중지와(井中之蛙)는 자신이 살고 있는 우물이 전 세계라고 생각하는 개구리의 좁은 소견을 통해,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과 지식만이 전부라고 착각할 수 있는 인간의 소견을 지적해 준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 중 하나이다.

정중지와(井中之蛙)의 교훈은 넓은 세상을 경험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수용하며, 자신만의 생각에 갇히지 않도록 개방된 마음과 폭넓은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며,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는 오늘날의 교육, 사회, 기업, 문화에서도 중요한 가치로 여겨진다.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정중지와(井中之蛙)같은 관점은 개인과 조직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이 고사는 '부지대해(不知大海)'와 함께 한 구(句)로 쓰이니, 곧 '우물 안 개구리는 바다를 말해도 알지 못한다(井中之蛙 不知大海/정중지와 부지대해)'는 뜻이다.

줄여서 '정와(井蛙)' 또는 '정저와(井底蛙)'라고도 한다.

그렇다!

우리 대한민국은 70년이 넘는 긴 세월동안 수많은 역경과 고난을 이기고 때로는 뼈를 깎는 아픔도 겪어가며 이제는 세계무대에서 당당하게 어깨를 겨루며 6대 강국에 드는 선진 국가가 되었다. 모든 분야에서 이른바 "기적(奇跡)"이라는 신화를 이룩한 셈이다.

경제발전이 그렇고 첨단기술, 체육 및 예술을 포함한 문화발전이 그렇다. 그런데 유독 정치(政治)분야에서만 제자리에서 머뭇거리고 있는 듯하다. 그 이유는 우물 안의 개구리 정도의 사람들이 정치(政治)를 운운하기 때문이다. 상대방을 알려고 하지 않는 알량한 자기 고집에 단단히 묶여서 자기가 아니면 대한민국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엄청난 착각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공동체 환경을 떠나서는 살 수 없다. 그것은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내가 할 수 없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내가 할 수 없는 일을 다른 사람은 할 수 있고. 반대로 남이 할 수 없는 일을 나는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인간은 공동체의 환경이 조성될 때 상부상조(相扶相助)하여 삶의 조화를 이루며 살아 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인간은 상부상조하면서 살다가 간혹 남을 다스리는 위치에 서게 되면 정중지와(井中之蛙)의 환경으로 회귀하려는 속성이 있다. 이 속성은 권력(權力)과 재력(財力)이 있을 때 더욱 강하게 작용함을 보아 왔다. 특히 정치를 오래 했다고 자부하는 사람들에게 더욱 크게 작용하는 고질적인 병폐이다.

좀 더 대중(大衆)과 함께하고, 나라를 걱정하는 신선하면서 원칙과 법(法)을 준수하는 정치인이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대한민국이다. 지도자를 꿈꾸는 자들이 정중(井中)을 벗어나 대해(大海)를 보았으면 좋으련만….

종지 그릇은 많은 물을 담지 못한다. 왜?… 그릇이 작기 때문이다.

자기 착각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가련한 자들에게 당부하고 싶다.

국민소득 4만 불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 이때 아직도 우물 안의 개구리(井中之蛙) 에 집착해서 되겠는가?

장상현/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는 서울고법에서 다시 재판받아야 한다. 서울고법은 대법원의 판단 취지에 기속되므로 유죄를 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영재 대법관)는 5월 1일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지난 3월 28일 사건을 접수한 뒤 국민의 관심이 지대하고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의 피선거권 여부가 달려있다는 점을..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