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읍내동(邑內洞)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읍내동(邑內洞)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3-12-06 10:13
  • 신문게재 2023-12-07 19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31206084126
백남우 회장
대덕구의 남쪽 계족산을 기대어 자리 잡은 읍내동은 과거 회덕현의 행정 중심지(읍치)였다. 진산인 계족산 아래 잿들과 읍내 사이에 경부선 철도가 통과하며 전통 마을 읍내동은 경관과 공간의 의미를 잃게 된다. 1910년 11월 이전까지는 종전의 지방 관아가 있었던 읍내동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이 이루어졌다. 다나가 레이스이의 『조선대전발전지』에는 "그(회덕군) 군아(郡衙)는 구 회덕읍에 있었지만 한촌벽추여서 불편함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대전으로 이전 문제가 제기되어 급기야 1910년 11월에 회덕관아(懷德郡衙)를 교통이 편리한 본정 일정목(本町 一丁目: 현 원동)으로 이청(移廳)하였다"고 했다. 이로써 대전면은 단순한 신도심에서 회덕군의 수부(首府)를 유치한 명실상부한 지방행정의 중심부로 변모하게 되었다. 그 후 1914년 3월1일 대전군이 신설되면서 종래 본정 일정목에 위치하면서 회덕군 영역만을 관할하던 회덕군청이 대전군청으로 개편되어 "東西 八十里 十町, 南北八里, 面積이 四十九方里에 二十五町"을 관할하는 지방 관아로 확대되었다. 이로써 식민도시 대전의 근대화 과정에서 전통 마을인 읍내동은 해체되어 서서히 사라져 갔다.

현재 읍내동에는 조선시대 회덕현 관내에 있었던 관아 건물이 1동도 남아 있지 않다. 회덕현 관아는 회덕동 행정복지센터 주변 일대에 자리 잡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에 제작되어 규장각에 소장 되어 있는 『회덕현 지도』에는 『여지도서』나 『읍지』 등에서 볼 수 없는 많은 건물의 배치가 상세하게 그려져 있다. 이 자료에 의하면 회덕현 관아의 공간 배치는 진산인 계족산을 배경으로 그 중심에 관아 건물들이 자리를 잡고 있고 관아 좌측 편에 회덕향교가 배치되어 있다. 「해동지도」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사괴석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고 외삼문 앞쪽인 입구 편에 먼저 이 · 호 · 예 · 병 · 형 · 공의 육방관속들이 업무를 집행하는 건물들이 들어서 있다. 관아 입구 좌측면에는 지방 양반 중에서 선임된 덕망 높은 사람을 두어 향사를 규찰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수령을 보좌하였던 향청(향소)이 있다. 향청 뒤에는 이속들이 집무하던 작청이 있고, 그 우측 옆에는 향사의 수장의 집무소인 현사가 있다. 현사 좌측 편으로는 인사나 사무등을 관장하던 작청이 있고 현사 우측에는 좌기소와 남사창이라고도 한 사창들의 창고 시설이 있다. 현사와 창사 사이에 나 있는 길은 동헌으로 들어가는 가장 중요한 길목인데. 이 길목 중심에 국왕의 위패를 봉안하면서 소망 때 대궐을 향해 배례하고 그 양측으로 익실을 두어 왕명을 받들고 내려오는 조정 사신들의 숙소로 이용하던 객사 건물을 두었다.

그리고 동헌으로 들어가는 외삼문과 좌측 편에는 수령의 명령을 전달하거나 집행하는 사령청이 있고 그 우측 편에는 행형을 담당하던 형사청이 있다. 또한 이 외삼문과 동헌으로 들어가는 내삼문 사이 좌측 편에는 연못과 함께 정자가 세워져 있다. 외삼문을 지나 내삼문을 들어서면 목민관들의 지방 행정청이었던 동헌이 있고 그 좌측 편에는 남자 종인 관노들이 거처하는 흡창청과 우측편에는 관아 내에서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는 관청과 루상고가 있다. 이 동헌 공간 뒤편에는 지방 수령의 사적 공간인 내아가 있는데, 내아로 들어가는 외중문을 들어서면 그 위편에 고을 원님의 비서 사무를 담당하기도 하고 또는 수령 자제들의 학문 수양을 위한 책장이 있고, 오른편에는 집안일을 돌봐주는 사람들이 거처하는 행랑이 있다. 이 행랑채에서 다시 중문을 들어서면 관아 내의 가장 뒤편이면서도 가장 깊숙한 부분에 내아가 있었다.

읍내동을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것은 회덕 관아 터 흔적이다. 이 회덕 관아의 동헌 터는 객사 터에서 북쪽으로 현재 회덕파출소 동쪽 기슭에 있었다. 현감이 업무를 보던 관아 터에는 현재 건물이 들어서 있다. 과거에는 오래된 느티나무가 있었으나 언제인가 그마저 베어지고 지금은 주차장으로 사용되어 그 흔적조차 찾을 수 없다. 흔히 대전은 철도와 함께 시작한 근대도시라 한다. 철도의 통과로 근대도시로 성장한 원도심과 달리 해체된 전통 마을의 상처에 대해서도 이제 보듬을 때가 아닌가 싶다. 과거 회덕의 읍치(邑治)였던 읍내동은 다른 여타 동네와 같이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아파트단지의 꿈에 한껏 부풀어 있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