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용전(龍田)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용전(龍田)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4-01-03 10:52
  • 신문게재 2024-01-04 19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40103084808
백남우 회장
대전은 갑천, 유등천, 대전천과 같은 도심을 통과하는 수변에서 발달한 도시여서 그런지 유독 용(龍)자가 들어간 지명이 많다. 동구 용운동·용전동·비룡동·용계동, 중구 용두동, 서구 용문동·용촌동, 유성구 용계동·복룡동·도룡동·구룡동·용산동, 대덕구 용호동과 같이 13개의 법정동명과 동구 가양동의 흥룡, 사성동 모래재의 청룡골, 용운동의 용방이·용수골, 서구 산직동의 용태울, 유성구 성북동의 용바위 등과 같은 지명도 수북하다.

용은 동아시아의 설화에서 뱀과 같은 몸에 새의 다리, 사슴의 뿔, 물고기의 비늘로 된 상상의 동물로 순우리말로는 '미르'라고도 한다. 동양에서는 성스러운 존재이지만 서양에서의 드래곤은 파괴의 상징이기도 하다. 용이 되기 전의 이무기가 도를 닦아 여의주를 획득하면 용이 된다고 하고, 중국에서는 잉어가 오래 묵어 용문에 오르면 용이 된다는 등용문 이야기도 있다. 용과 돼지의 코가 같은 모양에서 용은 돼지와 함께 복(福)을 의미하기도 한다. 용은 왕을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의 문무왕은 지의법사에게 "나는 죽은 뒤 동해의 호국 청용이 되어 불법을 받들고 나라를 수호하고자 한다"고 했다. 또 용의 비늘이 81개로 역린(반대로 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격노한다는 한비자(韓非子)의 〈세난(說難)〉에 나오는 말과 용구자설, 용두사미, 화룡점정, 용호상박 등 용과 관련된 용어 등도 많이 쓰인다.

2014년은 푸른색에 해당하는 갑(甲)과 용을 상징하는 진(辰)인 갑진년 청룡(靑龍)의 해이다. 청룡(靑龍)은 한자 문화권에서는 상상의 동물로, 파란색 또는 초록색을 띤 용을 의미한다. 같은 푸른 창(蒼)자를 써서 '창룡(蒼龍)'이라 부르기도 한다. 수원화성의 동문인 '창룡문'의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용이 도를 깨우치면 비늘의 색이 파란색이나 초록색으로 변해서 청룡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청룡은 사신(四神)들 중에서 가장 존엄하고 고귀한 존재이며 심해 용궁에 살며, 하급 용들의 수장이라고 한다. 풍수지리에서는 동쪽에 흐르는 물을 놓으면 청룡의 힘을 끌어내 길조가 된다고 한다. 청룡은 고구려 벽화 사신도에 나오는 동방의 수호신이기도 하다. 동쪽을 수호하며 오행 중 나무(木)와 봄을 관장하며 청색을 상징한다. 이러한 용(龍)은 비와 구름, 바람과 천둥 번개를 비롯한 날씨와 기후, 식물도 다스린다고 한다. 또 물을 다스려 바다를 다스리는 신을 용왕(龍王)이라고 칭하며, 바닷가 어민들은 용왕에 풍어제를 지내곤 한다.

대전 동구에는 용밭(용전, 龍田)마을이 있다. 용전동 전체 지역을 통칭하기도 하며, 용전동의 납작골 남쪽에 있던 마을을 가리키기도 한다. 납작골 남쪽의 용밭은 지금의 복합터미널 부근이다. 이곳에는 백 년에 한 번씩 용이 하늘로 오르며, 그럴 때마다 정승이 이곳에서 나온다는 전설이 있다. 이런 전설에 따라 승천을 기다리는 이무기가 땅속에서 노는 땅이라고 하여 용 용(龍)자와 밭 전(田)자를 따서 용전이라 하였다. 한편 이와는 달리 이 용전을 주역에 건(乾)의 두 번째 효(爻)에 해당하는 효사(爻辭)로 그것을 「현룡재전(見龍在田)에 이견대인(利見大人)」이라는 귀절에서 용전(龍田)을 따서 붙인 이름이라는 말도 있다. 현룡재전 이견대인은 '현룡이 밭(일터)에 있으니, 대인(大人)을 만남이 이롭다'는 뜻이다. 현룡(見龍)은 잠룡의 시절을 끝내고 물 밖으로 자신을 드러낸 용이다. 현룡재전 즉 '현룡이 밭(일터)에 있다'는 뜻은 뜻을 펼치려는 사람이 그 뜻을 펼칠 수 있는 때(기회)와 터전(일터)을 얻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뜻을 펼칠 수 있는 때(기회)나 일터를 얻었다고 해서 뜻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다. 利見大人(이견대인) 즉 자기를 이끌어 줄 大人(지도자)을 잘 만나야 한다는 뜻이다. 갑진년 새해는 국민의 대표기관인 입법부를 이끌 지도자를 뽑는 총선이 있는 해이다. 청룡은 동쪽과 봄을 상징하며, 힘과 행운, 자유와 창의성, 공동체와 연결의 의미가 있다. 이러한 민의가 잘 반영되는 갑진년 새해가 되길 기원하며 용전(現龍在田 利見大人)의 의미를 다시 되새겨 본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